김성수 전 의원, 양주 구석구석 땅이름 전설의 유래 모은 책 펴내

김성수 전 국회의원이 출판기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 전 의원 제공
김성수 전 국회의원이 출판기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 전 의원 제공

 

15대째 양주 마전동 광산김씨 집성촌에서 살고 있는 김성수 전 국회의원.

 

자신의 뿌리이자 정치적 발판인 양주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노인들의 기억을 채록하고 정리해 책을 냈다.

 

‘양주 문화기행2-땅이름과 전설을 찾아서’는 김성수 전 의원이 지난 2002년 기행문 형식으로 양주지역의 땅 이름과 전설의 유래를 모아 펴낸 동명 책의 신간이다.

 

조선시대 평양감사 부럽지 않았다던 양주목의 영광부터 한국전쟁 이후 군 시설이 집중되면서 개발이 지연된 아픔과 경기북부 핵심 지역으로 떠오른 오늘에 이르기까지, 고향을 향한 김성수의 지극한 애정과 방대한 지식, 집념에 가까운 취재가 총망라돼 있다.

 

김성수 전 의원, 양주 구석구석 땅이름 전설의 유래 모은 책 펴내
김성수 전 국회의원이 출판기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 전 의원 제공

 

지난 18일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출판기념회에는 윤상현 국회의원, 김무성 전 국회의원, 강석호 자유총연맹 총재, 안상수 전 인천시장, 홍일표·염동열·박종희·박혁규·이범관·김선동·박순자 전 국회의원, 김학규 전 용인시장, 박정현 전국시도의정회협의회 회장 등 많은 전·현직 정치인들과 윤창철 양주시의회 의장, 현삼식 전 양주시장, 최용수 전 동두천 시장 등을 비롯한 지역 정계 인사와 시·도 의원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김성수 전 의원은 인사말에서 “도시가 발전하면서 옛 이야기와 역사가 담긴 지명은 하나둘 사라지고, 새로운 지명과 도로명으로 불리고 있다”며 “지역의 발전과 개발은 반가운 일이지만 콘크리트와 함께 옛 역사와 이야기까지 묻혀버릴까 걱정됐다. 부족하나마 양주의 빛나는 역사와 이야기를 후대에 전하는 창구가 되길 바라며 이 책을 썼다”고 설명했다.

 

김성수 전 의원은 고려대 교육학과를 졸업했으며 제3대 경기도의회 의원, 제18대 국회의원(양주·동두천)을 지냈다. 현재 사단법인 포럼케이비전 이사장, 대진대학교 특임교수, 한국자유총연맹 전임교수, 한국전력기술 상임감사 자문위원, 서울교통공사 정책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