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실·불통행정 사과하라”… 평택 현덕면, 환경복합시설 반대

image
28일 평택 현덕면행정복지센터 앞에서 주민들이 결의대회를 열고 환경복합시설 추진에 반대하고 있다. 안노연기자

 

“용역보고서에도 현덕면이 인구가 가장 적고 고령화돼 수월하다고 했는데 주민을 무시하는 것 아닙니까?”

 

현덕면 환경복합시설 반대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위원장인 봉하룡 현덕면이장협의회장은 결의대회에 앞서 분통을 터트리며 말했다.

 

이어 “현덕면에 공장 하나 없어 산업폐기물이 나올 것도 없고, 농촌 지역에서 나오는 생활폐기물도 아파트 한 동에서 나오는 것만큼도 안 나온다”며 “그럼에도 불이익을 받는다니 절대 받아들이지 못하겠다는 것입니다”라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현덕면 환경복합시설 반대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28일 현덕면행정복지센터 앞에서 면민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덕면 환경복합시설 반대 결의대회를 열었다.

 

평택시민환경연대, 평택시민사회연대 담쟁이, 평택농민회, 평택시민재단 등 시민사회단체와 전·현직 시도의원도 결의대회에 함께했다.

 

앞서 시는 오는 2030년까지 1조922억원을 들여 현덕면 대안리와 기산리 일원에 총 80만㎡ 규모의 환경복합시설 조성을 추진해 왔다.

 

추진 계획에 따르면 시설은 하루 평균 생활폐기물 250t, 사업폐기물 300t 등을 소각하고 매립시설에선 생활폐기물 175t, 사업폐기물 300t 등 475t을 묻는 등 32년 동안 총 폐기물 466만4천t을 처리한다.

 

현덕면 주민들은 지난 6월5일부터 대책위를 구성하고 거세게 반발하자 시는 이날 열 예정이었던 주민설명회를 취소하고 대상지 선정을 공모로 전환키로 했다.

 

image
28일 평택 현덕면행정복지센터 앞에서 주민들이 결의대회를 열고 환경복합시설 추진에 반대하고 있다. 안노연기자

 

시가 주민설명회 개최를 철회하자 대책위는 환경복합시설을 반대하는 주민 의지를 보이고자 설명회 개최일에 맞춰 계획한 항의 집회를 결의대회로 바꿔 연 것이다.

 

대책위는 성난 민심에 시가 어쩔 수 없이 주민설명회를 철회하고 대상지 선정 방식을 공모로 전환했다고 보면서도 폐기물 처리 공영화와 배출지 처리원칙 준수를 촉구했다.

 

임흥락 평택농민회장은 “주민설명회가 취소돼 반은 마음을 놓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상황을 꼼꼼히 살피고 현덕면민 모두가 반대하는 것을 시장에게 알려야 한다”며 “주민의 반대는 우리들의 구호와 요구로 충분히 전달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학수 도의원도 “무엇을 하든 먼저 이야기하고 주민에게 인정을 받은 뒤 만들어가야지 돈 몇 푼 줄 테니 그냥 가만히 살라는 것이 말이 되는 이야기느냐”며 “서부지역 주민 모두 단결해 환경복합시설을 반드시 막아야 하며 지금부터 싸워나가야 할 시간”이라고 역설했다.

 

또 현덕면을 환경복합시설 대상지로 먼저 선정한 뒤 주민을 설득하려던 것을 지적하며 시의 “밀실·불통행정을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정수일 평택3·1독립운동선양회장은 “현덕면을 비롯해 서부 5개 읍면과 60만에 가까운 평택시민이 행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을 해달라고 투표로 시장을 선출해 권한을 위임해 준 것 아니냐”며 “박정희 때 써먹던 개발독재를 행정독재로 쓰고 있는데 총체적인 책임은 시장에게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기성 전 시의원도 “이런 문제는 밀실에서 결정해서 통과시킬 것이 아니라 시민과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대책을 세워서 해도 될까 말까 한데 80년대 군사정권에서나 할 행정이 평택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에 울분을 토한다”고 성토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