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발전협의회 “평택항 여객터미널 박물관 등 친수시설로 시민에 돌려줘야”

28일 평택문화원 대동관에서 ‘평택항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에 따른 구 터미널 활용 방안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안노연기자
28일 평택문화원 대동관에서 ‘평택항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에 따른 구 터미널 활용 방안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안노연기자

 

평택항 신국제여객터미널 건립으로 빈 공간이 될 현 여객터미널을 박물관 등 친수시설로 조성해 시민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평택시발전협의회가 28일 평택문화원 대동관에서 개최한 ‘평택항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에 따른 구 터미널 활용 방안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박기철 평택대 중국학과 교수와 변백운 평택항정책개발협의회 공동대표 등이 현 터미널 건물과 부지를 친수시설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현 여객터미널을 박물관 등 지역 문화와 역사를 소개하는 공간으로 활용해 평택항과 주변 지역의 관광자원을 강화하는 등 관광 및 문화공간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포함해 국제교류센터, 비즈니스허브, 교육 및 연구센터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며 “활용은 그 혜택이 평택항 이용자와 시민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공청회 등을 통해 지금까지 실수를 반복하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기조발제 뒤 진행된 지정토론에서도 친수공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유승영 시의원은 “평택의 바다를 시민에게 돌려주는 것을 대전제로 삼아야 함은 분명하다”며 “중장기적으로 친수공간을 조성하기까지 현 여객터미널은 그 역할의 일부를 담당할 거점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훈 금요포럼 공동대표도 “역사박물관을 세워 고대로부터 이어진 평택항도 홍보하고 산책로와 대형카페 등 편의시설로 서해대교와 노을을 보며 힐링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