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빠르게 늘고 있는 평택시 인구는 2030년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되면 지금보다 하루에 15만t가량 많은 40만t의 물이 생활용수로 공급돼야 한다.
평택시 물 공급의 변수는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다. 하루에 22만t의 물을 공급받고 있는 평택캠퍼스는 6기 공장까지 전부 가동되면 25만t이 더 필요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삼성전자는 물 부족에 대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2022년 11월30일 환경부,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화성시, 평택시, 오산시,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과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는 수원·용인·화성·오산시 공공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처리해 반도체 사업장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겠다는 얘기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반도체 국내 사업장의 ‘물 취수량 증가 제로화’를 달성한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삼성전자의 이런 계획이 성공하면 평택캠퍼스의 원활한 운영과 함께 생활용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평택캠퍼스는 하수 재이용을 통해 하루에 물 29만t을 수원공공하수처리장에서 받아오려 한다.
그러나 하수 재이용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이 사업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된다. 투자에 나서는 민간사업자가 있어야 한다.
수원공공하수처리장 인근에 들어설 하수재이용처리시설 설치 예산은 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비의 10%만 민자로 조달한다고 해도 600억원이 필요하다. 평택지역 물 공급을 위해 수원시가 수백억원을 떠안아야 할 수도 있다. 민간사업자가 사업제안서를 제출하면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의 사업타당성 평가 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렇게 해서 사업의 경제성이 인정되면 제3자 제안공고와 우선협상대상자 지정을 통해 실시협약이 체결된다. 그리고 1년간 실시설계를 거쳐 30개월간 공사가 이뤄진다.
모든 절차가 순조롭게 이뤄진다 하더라도 2030년 들어서야 비로소 하수 재이용을 통한 공업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하수 재이용을 통해 공업용수가 공급되면 삼성전자는 지금 쓰고 있는 물 22만t에 더해 평택에 공장 6기 전부를 지어 가동하는 데 들어가는 25만t을 추가로 취수할 필요가 없다. 그만큼 시민들을 위한 생활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니까 하수 재이용 시설이 설치될 때까지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어떻게 배분해 물 수요 증가에 대응하느냐는 것이 관건이다.
평택시 인구 예상치에 따르면 2030년 인구는 현재보다 37만명가량 증가한다. 물은 지금보다 15만t가량 더 공급돼야 한다.
평택 반도체 공장 증설도 마냥 늦출 수 없다. 평택 반도체 공장 4, 5, 6기가 더 지어져야 한다. 정부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밀어붙이고 있다. 팔당 물 공급 여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앞으로 평택의 물 사정이 좋다고 보기 어렵다.
설상가상으로 정부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건설을 위해 내년 상반기에 평택시민 3만명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해 온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겠다고 한다.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려면 사라지는 취수원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수원이 필요하다.
문제는 아직 민간 사업제안서조차 받지 못 한 채 구상 단계에 머물러 있는 하수재이용시설을 대체수원으로 볼 수 있느냐는 것이다.
그동안 물 부족을 메워줄 것이라던 해수 담수화나 초순수 개발은 기약이 없다. 하수 재이용도 아직 불투명하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을 위한 막대한 물과 전기 공급 문제는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 있다.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논의에 앞서 하수재이용시설 설치를 현실화하는 일이 먼저다. 국가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 국민의 마실 물이 무엇보다 우선하기 때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