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는 오는 29일 양주회암사지 박물관에서 ‘고대의 매성에서, 현대의 양주까지Ⅱ’란 주제로 한국고대학회와 공동으로 양주대모산성 학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해 양주대모산성에서 출토된 ‘태봉국 목간’을 역사적 측면에서 해석하는 장으로 이를 통해 양주대모산성을 재조명하게 된다.
학술 세미나에서는 한국고대학회장인 백종오 교수가 ‘한국 고대 산성 내 집수 유구의 기능 및 상징, 목간과 권력’이란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이어 정동민 한국외대 연사문화연구소 교수가 ‘한국 고대의 양주, 교통과 관방’, 이준성 경북대 역사학과 교수가 ‘후삼국의 양주, 신앙과 목간’, 황보경 세종대 박물관 학예사가 ‘한국 고대 산성 의례와 양주 대모산성, 제장과 공헌’을 주제로 주제발표를 이어간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현재까지 진행된 양주대모산성의 사업과정과 올해 진행된 양주대모산성 14차 발굴조사 성과발표를 통해 시민들에게 양주대모산성과 태봉국 목간의 가치를 알린다.
한편 지난해 양주대모산성 13차 발굴조사 과정에서 출토된 ‘태봉국 목간’은 국내 최초로 궁예가 세운 태봉국(후고구려, 901~918) 유물의 국내 최초 출토 사례로, 총 123글자로 구성된 목간은 국내 출토 목간 가운데 가장 많은 글자 수가 기록돼 학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한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나 태봉국 목간 출토는 양주대모산성이 삼국시대~후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고대 교통로상의 중요 위치에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동시에 후삼국시대에도 양주대모산성 일대에 정치세력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홍미영 문화관광과장은 “이번 양주대모산성 학술 세미나는 그동안 양주시에서 진행한 양주대모산성 유적의 발굴 성과를 재조명하는 기회로 이를 계기로 역사문화도시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