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 내년도 예산 올해보다 12% 늘어난 1조2천525억원 규모

국·도비 늘어났으나 자주재원 부족 투자사업 축소돼
우선순위 사업 지정 등 선택과 집중으로 예산 평성

양주시청 전경
양주시청 전경. 양주시 제공

 

내년도 양주시의 예산(안)이 올해보다 12% 늘어난 1조2천525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예산 1조1천181억원보다 12%(1천343억원) 늘어난 1조2천525억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내년 예산안은 일반회계가 1조6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5%(1천104억원), 특별회계는 전년 대비 15%(239억원) 늘어난 1천826억원 규모다.

 

일반회계의 주요 세입은 지방세·세외수입 2천834억원, 지방교부세·조정교부금 2천943억원으로 자주재원은 올해보다 656억원 증가했으며, 국·도비 보조금은 4천679억원으로 올해보다 482억원 늘어났다.

 

일반회계 세출을 보면 자체 사업이 4천276억원, 국·도비 보조사업이 6천423억원으로 구성됐다. 국·도비 보조사업의 경우 사회복지사업이 확대되면서 올해보다 650억원(11.2%) 증가했다.

 

일반회계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사회복지 5천34억원(47%) ▲일반 공공행정 849억원(7.9%) ▲교통·물류 800억원(7.5%) ▲국토·지역개발 771억원(7.2%) ▲환경 718억원(6.7%) ▲농림·해양수산 402억원(3.7%) ▲문화관광 374억원(3.5%) ▲보건 210억원(1.9%)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199억원(1.8%) ▲ 교육 185억 원(1.7%) ▲공공질서 및 안전 50억원(0.4%) 순으로 편성했다.

 

한편 대외여건 악화와 경기 둔화로 인한 국세수입 감소가 지속되면서 지방교부세는 예년 수준에 머무르고 부동산 거래량 감소 등에 따른 지방소득세, 지방소비세 감소세로 두드러지면서 자체 지방세 수입이 28억원 감소해 올해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내년도 예산 규모 자체가 올해보다 늘어났으나 목적재원인 국·도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증가액의 43%를 차지, 시가 자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원의 한계가 투자사업의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양주시는 민선 8기 후반기 핵심 추진전략 수립을 통해 우선순위 사업을 선정하고 은남산업단지, 양주테크노밸리 조성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 광역교통망 확충, 교육발전특구 시범 운영,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생애맞춤형 사회보장체계 구축 등 선택과 집중으로 예산을 편성했다.

 

강수현 양주시장은 예산안을 시의회에 송부하면서 “내년도 예산은 어려운 재정여건을 고려해 모든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했다”며 “재정 낭비요소를 차단해 마련한 재원으로 복지 강화와 신성장 동력 기반 구축 등 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부분에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