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최적 부지 제시하면… 광역화장장 재검토”

市, 화장시설 신축 이외 대안 無
대상지 변경, 혈세 낭비 등 우려
주민 동의·면적 적합할 경우 수용

양주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조감도. 양주시 제공
양주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조감도. 양주시 제공

 

양주시가 시의회 및 일부 사회단체의 공동형 광역장사시설 부지 재검토 요구와 관련해 최적 부지를 제시하면 재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시는 8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임박한 화장대란과 원정화장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했다”며 “2022년말 기준 화장률은 95.7%로 다시 매장문화로 돌아가지 않는 이상 화장시설 신축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지방선거에서 화장시설 건립을 공약해 선택받았고 종합장사시설건립추진위를 꾸려 2023년 12월 방성1리 일원을 최종 대상지로 선정해 관련 절차를 이행 중이며 공동 추진하는 6개 시와 투자협약 체결 마지막 단계에 와있는 시점에서 재검토 요구는 유감스러우며 물리적으로도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시는 재검토를 위해선 방성1리를 포함해 주민지원사업 대상 지역 주민들의 이해와 양보가 선행돼야 하고 건립추진위 의견도 중요하다며 그동안 투입된 비용 등 혈세 낭비라는 지적에도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공동투자협약을 맺은 남양주·포천·의정부시 등 5개 시와 국방부,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등 그동안 협의해온 기관과의 행정 신뢰도 하락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시했다.

 

한편 시의회가 부지 재검토 필요성을 제시한 것에 대해 2030년 개원에 차질이 없도록 6개월 이내 방성1리보다 나은 대체부지 제시, 대체부지 대상 지역 주민 60% 이상 동의, 공동형 추진에 필요한 면적 등을 갖춘 부지를 제시할 경우 재검토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강수현 시장은 “장사시설은 꼭 필요해 추진하는 것이지 주민들에게 불이익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전국 화장시설 62곳으로 인해 오염이나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우려하는 부분은 충분히 논의하고 대안을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