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권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남부본부 수석위원
자동차문화와 교통안전 시스템의 관계는 동전의 앞면과 뒷면의 관계와 비슷하다. 왜냐하면 자동차문화의 정착은 교통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불충분조건이기 때문이다.
자동차문화는 교통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모든 사람의 교통에 대한 가치관과 생활 양식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들의 행동 양식을 규제하는 교통 안전 정책의 추진 체제, 정책 추진 과정의 합리성과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다.
자동차문화는 사회를 지배하는 일반 문화의 하위문화로서 대중문화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정치·경제·사회적 환경과 그 나라 고유의 정신적 요인, 즉 인명중시 사상과 자동차문화에 대한 문제 인식, 자동차문화에 대한 투자 재원 등이 정책 전환 과정에 반영돼 자동차문화에 대한 정책 형성과 집행이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교통의 3요소인 사람, 자동차, 도로 환경 등의 불안전 행위와 조건을 배제하기 위한 행위가 이뤄지면서 자동차문화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전체 사회의 문화 수준은 자동차문화 수준과 정적인 상호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자동차문화의 최대 목표인 교통 안전이 확보되기 위해서는 자동차문화 수준에 입각해 반영된 교통 문제에 대한 요구와 불만을 수용,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 다음 전환적인 정부의 정책 결정 추진 주체에서 정책 형성과 집행을 통해 교통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획화, 조직화, 동작화가 올바르게 이뤄져야 한다.
교통 안전의 확보 여부는 사람, 차량, 도로 환경의 유기적 작용이 결정 짓는다. 이때 체제내적 환경에서 형성된 자동차문화가 전 과정에 걸쳐 영향을 준다.
자동차문화는 도로 교통 시스템 계층 구조에서 최고 상위층에 존재하고 있다. 즉, 자동차문화는 교통 환경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다. 유기체적 개방 시스템으로서 함께 움직이는 운전자와 차량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인성, 동기 부여, 위험 대처 능력, 지각, 운동기능 등 원활성 여부를 결정짓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통 기능의 원활화를 위해 강조돼야 할 우선순위는 자동차문화, 도로 교통 환경, 운전자와 차량의 유기체적 관계 등의 순서로 정책적 배려를 해야 합리적이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