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주민선호 경관개선안 도출 등 주민수용성 확보 종종걸음
주민 반발에 따른 하남시의 인허가 지연 등으로 1년 이상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동서울변전소 변환설비 증설 사업에 대한 해법찾기 일환으로 하남시 현안 논의 협의체인 민·관협치위원회가 공식 발동됐다.
또 변전소 증설에 반대하는 감일동 일부 주민들이 시를 상대로 다자간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데 이어 한전이 약속한 주민 선호 최적의 경관개선안이 도출되면서 새로운 국면이 예고되고 있다.
29일 하남시와 한국전력공사 등에 따르면 한전이 지난 1년 이상 행정심판 등 우여곡절 끝에 동서울변전소 옥내화사업 인허가를 얻어 내면서 관련 사업이 진행 중이다.
하지만 본 사업에 해당되는 변환설비 증설건은 인허가 협의 시작점부터 시가 경관디자인 주민동의 등을 요구하면서 사실상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상황이 이렇자 한전은 인허가 지연에 따른 비용 감당이 어렵다 판단하고 임직원 1인 시위 등의 방법으로 하남시청 앞 시위 등으로 압박과 읍소 작전을 병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하남시가 증설사업 인허가 지연 등으로 대내외적 여론 등이 악화되고 있는 것을 우려, 시정 자문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민·관협치위원회가 공개적 논의에 착수했다.
이 협의체는 이현재 시장을 비롯해 권역별 주민대표와 시의원, 전문가 등 29명으로 구성돼 지역별 현안 논의 등 의견수렴 창구다.
위원회는 다음달 4일 입주자 대표들로 구성된 감일지구 총연합회 등 주민과 한전 등이 참여한 가운데 그간의 추진 과정 등을 듣고 해법찾기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또 증설사업 반대를 주도하고 있는 ‘동서울변전소 이전촉구 및 증설반대 비상대책위원회’도 현안 협의를 위해 최근 하남시를 상대로 한전 등이 참여한 다자간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또한 주민선호 경관개선안을 도출하는 등 주민수용성 확보에 고삐를 죄고 있다.
앞서 지난 19~27일 동서울변환(전)소 경관개선 선호도 조사를 통해 도출된 주민선호 경관개선안을 이날 도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주민선호도 조사는 총 5개 단지(2, 6, 7, 8단지, 한라비발디2차)가 참여했고 한전이 제시한 3개 개선안 중 최적 개선안을 41%를 얻었다.
하남시 관계자는 “민관협치위원회는 법적 가구는 아니다. 다만, 하남시의 현안을 논의하고 해법을 찾고자 구성됐고 각종 잇슈 등을 논의해 가고 있다”면서 “한전과 반대 주민 등 이해 관계자 모두가 참여한 공개 논의를 통해 혜안이 도출돼 갈등 국면이 해소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전 측도 “늦게나마 공개 논의 테이블이 마련돼 다행이다. 비록 대내외적 여건이 녹록지 않지만, 한전은 앞으로 수민수용성을 확보해 가면서 막힌 물꼬를 트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감일지구 총연합회가 최근 감일지구 내 아파트단지 19곳 중 14곳을 대상으로 증설 찬반 등을 묻는 설문조사 결과, 증설 사업 찬성률이 참여가구 5천441가구(52.78%) 중 1천123가구(20.64%)로 나타났다.
하지만, 감일지구 절반의 가구(47.22%)가 조사에 응하지 않았고 특히 변전소와 최인접지 임대단지 중심의 6, 7, 8단지 등 5곳은 불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