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민관협치위원회가 주민들과 갈등을 빚는 동서울변전소 변환설비 증설을 놓고 해법 찾기에 나섰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민관협치위원회는 인허가 문제 등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동서울변전소 갈등에 대한 해법 찾기에 기대(경기일보 5월29일자 인터넷)를 모은 바 있다.
8일 하남시 민관협치위원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발족된 하남시 민관협치위는 지난 4일 동서울변전소 갈등 관련 비공개 회의를 열어 변환설비 증설사업을 주관하는 한국전력공사 HVDC, 사업 반대로 일관 중인 감일동 주민들(동서울변전소 이전촉구 및 증설반대 비상대책위원회), 감일동 유관기관 대표 등의 의견 수렴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날 회의는 전자파 발생 여부와 증설사업에 대한 전반적 추진 과정 등 현안을 듣고 각계 의견 개진 등을 통한 해법을 모색한다는 당초 취지와는 달리 사실상 논의를 이어가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민들이 한전의 설명을 듣기보다는 증설사업에 대한 반대 논리를 유지하면서 더 이상의 진척을 이뤄내지 못해서다.
협치위 관계자는 “논의의 테이블을 마련하면서 갈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는데 무산됐다”며 “반대로 일관하기보다 미래 발전적 위상 구축을 위해 빠른 시일 내 갈등을 풀어 내는 지혜가 도출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한전 측은 변환설비 관련 인허가에 앞서 시가 요구한 경관개선안(주민 의견 반영)을 최종 확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전은 당초 3개 모델을 주민들에게 제시하면서 선호도를 물었고 응답 주민의 41%가 해당 개선안을 선택했다. 이번 경관개선안 선호도 조사에 참여한 단지는 변전소 인근 5곳(2, 6, 7, 8단지, 한라비발디2차)으로 조사됐다.
● 관련기사 : 하남 동서울변전소, 증설 갈등 해법?…市민·관협치위원회 발동
https://kyeonggi.com/article/20250529580375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