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의 지난해 출생률 전국 1위는 탄탄한 보육·교육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최근 시민 560명을 대상으로 ‘저출산 정책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출산에 도움이 된 시의 정책으로 ‘양육환경 지원’(274명)이 가장 많이 꼽혔다고 4일 밝혔다.
시는 현재 시비 7천422억6천만원을 투입해 다양한 보육·교육 정책을 시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이 있다.
국공립어린이집은 157곳이 운영 중이며 연말까지 164곳으로 확대된다.
이와 함께 보육 서비스의 전반적 품질 향상을 위해 ‘화성형 어린이집’ 모델이 도입됐다.
이 사업은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보육 수준을 국공립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정책으로 현재 20곳이 선정돼 운영 중이다.
시는 이들 시설에 인건비, 운영비, 시설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점검과 품질 평가를 통해 보육 신뢰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또 12세 이하 아동의 긴급 양육 공백을 지원하기 위해 ‘단독 아이돌봄지원센터’를 전국 최초로 설치한다.
시는 올해 제2차 추경예산안을 통해 설치 예산을 확보하고 내년 1월 개소를 목표로 전담 조직과 기반 마련에 본격 착수한 상태다.
‘다함께돌봄센터’ 역시 시의 대표 정책으로 자리잡고 있다.
센터는 현재 총 18개소가 운영 중이며 연말까지 27곳, 2030년까지 44곳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일부 센터는 오후 9시까지 야간돌봄 서비스를 제공해 퇴근이 늦은 맞벌이 가정의 양육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주고 있다는 평이다.
시는 균형 있는 교육 인프라도 조성하고 있다.
주요 정책은 ▲초등학교 입학생 대상 지원금 지급 ▲중·고교 신입생(대안학교 포함) 대상 교복·체육복비 지원 ▲마을교육공동체 연계 프로그램 운영 등이다.
이와 함께 시는 교육 수요가 집중된 지역을 중심으로 교육당국에 학교 신설을 적극 건의해 왔다.
그 결과 학교 13곳개 설립계획이 교육부와 도교육청 심사를 통과했다.
이에 9월에는 동탄에 현민초등학교와 화성바른초등학교, 내년에는 남양·향남·동탄에 학교 6곳이 순차적으로 개교할 예정이다.
정명근 시장은 “앞으로도 학부모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보육·교육 지원 정책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