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태 기자

kkt@kyeonggi.com

올해 거래된 분양권 10건 중 4건에 평균 1천400여만원의 프리미엄 붙어

올해 거래된 분양권 10건 중 4건에 평균 1천400여만원의 웃돈(프리미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에 신고된 분양권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까지 거래된 분양권 총 4만1천794건에 총 5천903억609만원의 웃돈이 붙었다. 가구당 평균 1천412만원의 웃돈이 발생한 셈이다. 1천만원 이상∼2천만원 미만의 웃돈이 생긴 아파트가 가장 많은 1만8천247건으로, 전체의 43.7%에 달했다. 이어 웃돈이 500만원 이상 1천만원 미만에 거래된 분양권이 6천964건으로, 전체의 16.7%를 차지했다. 고액의 프리미엄이 생긴 단지도 있다. 웃돈이 1억원 이상인 분양권은 총 205건으로, 이 가운데 1억원 이상∼2억원 미만이 175건, 2억원 이상∼3억원 미만이 24건, 3억원 이상이 6건이었다. 최고가 프리미엄의 주인공은 성남 판교신도시내에서 분양된 주상복합아파트 판교알파리움 전용면적 142㎡였다. 9억8천620만원에 분양된 이 아파트는 지난 2월 13억5천만원에 팔려 웃돈이 무려 3억6천380만원에 달했다. 이어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168.9㎡는 지난 3월 분양가 27억5천만원에서 3억5천만원의 웃돈이 붙어 31억원에 거래됐다. 하남 위례신도시 위례그린파크 푸르지오 전용 113.9㎡는 분양가가 9억9천900만원이었지만, 지난 3월 13억3천140만원에 거래돼 3억3천240만원의 웃돈이 신고됐다. 반면 웃돈이 없거나 분양가 이하에 팔린 경우도 적지 않았다. 4월까지 신고된 분양권 중 분양가와 동일한 금액에 거래된 경우는 총 3천54건으로, 전체의 7.4%를 차지했다. 이러한 분양가 수준의 일명 ‘무피’ 거래 신고는 용산 푸르지오 써밋, 성동구 왕십리 자이 등 분양가가 높은 서울에서 많이 이뤄졌다. 역대 최고 분양가로 화제를 모았던 부산 해운대 엘시티 더샵도 최근 분양가 수준의 전매가 무더기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보다 낮은 ‘마이너스’ 프리미엄 상태로 거래된 아파트는 401건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으로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한화꿈에그린파크 전용 142.8㎡는 분양가가 10억2천999만원이었지만 지난 3월 이보다 3억4천668만원 낮은 6억8천331만원에 전매가 신고됐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올해 들어 청약인기 단지에서 분양권 전매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기대 이상의 웃돈이 붙었다”면서 “하지만 수도권을 중심으로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나타나는 등 시장이 양극화되고 있어 청약 예정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농진청, 표고버섯좀나방 발생 우려… 친환경 방제 기술 활용 당부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올해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표고버섯좀나방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며, 친환경 기술을 활용한 방제에 나설 것을 당부했다. 23일 농진청에 따르면 표고버섯좀나방은 일반적으로 5∼7월에 발생과 피해가 집중된다. 특히 재배시설이 습하고, 그늘지며 일교차가 심한 경우에는 표고버섯좀나방의 발생 및 피해가 더욱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표고버섯좀나방은 톱밥배지 재배시 유충이 배지나 종균, 자실체를 갉아먹어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농진청은 표고버섯좀나방은 등록된 살충제가 없고, 또 표고 수확이 시작되면 살충제를 이용한 방제는 불가능한 만큼 끈끈이트랩과 기생성 천적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에 나설 것을 당부했다. 우선 성충을 유인해 잡아 죽이는 황색 끈끈이트랩은 톱밥배지 재배 시 1∼3m 간격으로 배지 바로 위에 설치하면 표고버섯좀나방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또 기생성 천적인 곤충병원성 선충을 5월 하순부터 한달간 1∼2주 간격으로 해질 무렵이나 흐린 날 등에 뿌려주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 김형환 농진청 원예특작환경과 연구사는 “황색 끈끈이트랩 등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는 표고버섯좀나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깨끗한 재배환경에서 표고버섯의 생산성을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분양 캘린더] ‘레미안 과천 센트럴스위트’ 등 전국 14곳 청약

때아닌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건설사들이 올해 상반기 공급 물량을 대거 쏟아내는 등 분양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2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5월 넷째주에는 전국에서 14개 단지가 청약접수를 진행하고 견본주택 12곳이 문을 연다. 23일에는 고양시 일산 한류월드 시티 프라디움 오피스텔이 청약접수를 시작한다. 25일에는 삼성물산이 과천시 별양동 일대에 공급하는 ‘래미안 과천 센트럴스위트’ 청약 접수가 진행된다. 지하 2층, 지상 25층 9개 동, 전용면적 59∼118㎡ 543가구 중 143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또 27일에는 남양주시 다산신도시 B9블록 힐스테이트 진건과 성남시 태평동 가천대역 두산위브, 화성시 반월동 신동탄 롯데캐슬, 평택시 동삭동 자이 더 익스프레스 3차가 각각 견본주택을 개관할 예정이다. 다음은 주요 분양 일정. ◇23일(월) ▲고양시 일산 한류월드 시티 프라디움 오피스텔 청약접수(~5/24) ☎1644-5011 ◇24일(화) ▲광명시 광명역세권 광명역 태영 데시앙 당첨자 계약(~5/26) ☎02-899-0045 ◇25일(수) ▲과천시 별양동 래미안 과천 센트럴스위트 청약접수(~5/26) ☎02-504-3303 ▲안성시 공도읍 안성 공도 우미린 더퍼스트 청약접수(~5/26) ☎031-658-8700 ◇26일(목)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더샵 파크사이드 청약접수(~5/27) ☎031-717-9200 ◇27일(금) ▲남양주시 다산신도시 B9블록 힐스테이트 진건 견본주택 개관 예정 ☎1522-1283 ▲성남시 태평동 가천대역 두산위브 견본주택 개관 예정 ☎1522-4487 ▲하남시 풍산동 하남 힐즈파크 푸르지오 견본주택 개관 예정 ☎1600-9056 ▲화성시 반월동 신동탄 롯데캐슬 견본주택 개관 예정 ☎1522-0071 ▲평택시 동삭동 자이 더 익스프레스 3차 견본주택 개관 예정 ☎1800-5743

[아파트시세]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 및 전세시장도 훈풍

건설사들이 상반기 분양물량을 쏟아내는 등 부동산시장이 활기를 띠는 가운데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 및 전세시장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2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가는 과천(0.58%), 양주(0.07%), 고양(0.04%), 부천(0.03%), 의왕(0.03%), 시흥(0.02%) 등에서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평택(-0.02%), 군포(-0.03%), 안성(-0.04%), 안산(-0.14%) 등은 하락했다. 과천시는 별양주공6단지ㆍ원문주공2단지ㆍ부림주공9단지 등의 매매가격이 각각 500만~3천500만원 가량 올랐다.양주시는 현진에버빌1단지와 고읍 현대 등이 750만~1천만원 가량 상승했다. 하지만 안산시는 고잔9차 푸르지오ㆍ성포주공10단지ㆍ공작 한양ㆍ군자주공6단지 등의 매매가가 각각 250만~2천만원 가량 떨어졌다. 신도시는 중동(0.06%), 평촌(0.04%), 분당(0.01%), 일산(0.01%) 등에서는 매매가격이 올랐지만 산본(0.01%)은 하락했다. 중동신도시는 은하주공1단지와 한아름 삼환 등의 매매가가 각각 250만~1천만원 가량 상승했다. 평촌신도시는 한가람 신라ㆍ샛별한양1단지ㆍ무궁화 금호 등은 각각 500만~1천만원 가량 올랐다. 경기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은 과천(0.23%), 고양(0.07%), 파주(0.06%), 시흥(0.05%), 인천(0.04%), 군포(0.03%), 이천 (0.03%) 등에서 상승했으나 평택(-0.01%), 안산(-0.06%), 광명(-0.07%), 용인(-0.08%) 등에서는 하락세를 보였다. 과천시는 부림주공9단지가 500만~1천만원 가량 전셋값이 올랐다. 고양시는 현대홈타운2차ㆍ탄현 동신ㆍ별빛건영10단지 등의 전세가격이 각각 250만~1천500만원 가량 상승했다. 신도시는 일산(0.06%), 평촌(0.03%), 중동(0.03%) 등에서 전세가격이 올랐다. 반면 산본(-0.01%), 파주운정(-011%) 등에서는 내림세를 보였다. 일산신도시는 후곡10단지 동아·서안·임광, 백송3단지 우성·한신, 강선9단지 화성 등의 전셋값이 각각 250만~1천만원 가량 상승했다.평촌신도시도 한가람 세경·신라, 무궁화 한양·효성 등이 250만~500만원 가량 전세금이 올랐다. 인천지역에서는 매매가와 전세가격이 모두 올라 간석동 우성이 800만원 가량 매매가가 상승했고, 경서동 청라롯데캐슬은 700만원 가량 전세금이 올랐다. 김규태기자

중소형 아파트 청약시장서도 인기… 경기지역서 100% 중소형 단지 잇따라 선봬

높은 전셋값과 가계대출 규제 등으로 실수요자들의 내집 마련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중소형 아파트로 몰리면서 중소형 아파트가 청약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22일 금융결제원 자료에 따르면 이달 21일까지 전국에 공급된 단지(청약 접수 기준) 중 1순위 청약 경쟁률 상위 10곳 가운데 8곳이 전용 85㎡ 이하의 중소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경기ㆍ인천ㆍ서울)에서는 이 기간 청약 경쟁률이 높은 상위 10개 단지 중 6곳이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만으로 이뤄졌다. 일반분양 물량을 전용면적 59㎡와 84㎡로만 공급한 ‘신반포 자이’의 경우 1순위 평균 경쟁률 37.78대 1을 기록, 올해 수도권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 중소형 아파트의 인기는 매매시장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최근 2년간(2014년 4월~올해 4월) 전국 중소형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3.3㎡당 844만원에서 930만원으로 올라 10.19%의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중대형(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의 매매가 상승률은 6.78%로, 중소형 아파트의 매매가 상승률이 중대형 아파트를 웃돌았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중소형 아파트의 매매가 상승률(10.24%)이 중대형 아파트의 상승률(5%)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중소형 아파트의 거래량도 증가했다. 온나라부동산정보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총 12만7천99건으로 이중 전용면적 85㎡ 이하의 중소형이 전체의 85.73%(10만8천958건)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올해 상반기까지 100% 중소형으로만 구성된 단지들이 경기지역에서 속속 분양에 나선다. 우선 롯데건설은 이달 27일 화성시 반월동 일대에 뉴스테이 ‘신동탄 롯데캐슬’의 견본주택을 개관한다. 지하 2층, 지상 최고 28층 13개 동, 전용면적 59∼84㎡ 1천185가구로 100% 중소형으로만 이뤄졌다.롯데건설이 이달 말 분양을 시작하는 뉴스테이 ‘동탄2 롯데캐슬’도 지하 1층, 지상 최고 20층 9개 동에 전용면적 74∼84㎡ 612가구로 구성됐다. 현대건설이 다음달 중 화성시 동탄2신도시에서 분양하는 ‘힐스테이트 동탄’ 역시 지하 2층, 지상 최고 33층 16개 동으로 전용면적 61∼84㎡ 1천479가구 규모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전세난이 이어지면서 중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면서 “전세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한 중소형 아파트의 인기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규태기자

올해 6~8월 전국 입주 아파트 10건 중 9건은 85㎡ 이하의 중소형

다음달부터 오는 8월까지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 10건 가운데 9건은 85㎡ 이하의 중소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6~8월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는 총 8만6천304세대로, 이 중 90.4%(7만8천56세대)가 85㎡ 이하 중소형이었다. 60㎡ 이하는 2만8천842세대(33.4%), 60~85㎡는 4만9천214세대(57.0%)이며, 반면 85㎡를 초과하는 아파트는 8천249세대(9.5%)다. 지역별로는 절반이 넘는 4만4천496세대(51.5%, 서울 6천513세대 포함)가 수도권에 몰렸다. 나머지 지방 입주 예정 아파트는 4만1천808세대(48.4%)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6월엔 인천용현(3천971세대)과 김포풍무(2천712세대) 등 1만7천402세대, 7월엔 안양관양(1천459세대)과 하남미사(3천55세대) 등 1만5천143세대, 8월엔 서울반포(1천681세대)와 화성 동탄2(1천962세대) 등 1만1천951세대가 입주한다. 지방에서는 6월 대구월배(2천134세대)와 전북혁신(1천91세대) 등 1만571세대, 7월 대전관저5(1천401세대)와 석문국가산단(1천191세대) 등 1만5천249세대, 8월 세종(2천157세대)과 천안제3산단(1천269세대) 등 1만5천988세대가 각각 예정돼있다. 주체별로는 민간 5만5천738세대, 공공 2만6천566세대로 나타났다. 김규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