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지역 파주서 6년5개월만에 발생… 방역당국 비상
경계단계로 격상… 전국 확산 땐 ‘심각’으로 강화키로
더욱이 조류인플루엔자 청정지역이던 파주에서 6년 5개월여 만에 발생, 정부가 제주와 전북, 경기, 경남 등 4개 지역을 심각지역으로 판단하고 있어 경기도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 지난해 말 경기도를 강타한 AI로 말미암아 1천500여만 마리의 닭과 오리를 살처분 한 뒤 재입식만을 기다려 온 농장주들은 이번 AI가 부산 기장에서도 발생, 전국적인 확산 조짐을 보이자 재입식 여부에 대한 고민도 더욱 깊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파주시 법원읍 A 농장이 지난달 23일 군산 종계농장에서 들여온 오골계 500마리에 대한 간이검사 결과, AI 양성반응이 나오고 AI 경보가 ‘경계단계’로 격상돼 발령됨에 따라 4일부터 상설방역반 운영에 돌입했다.
앞서 도는 3∼4일 밤사이 이 농장에서 키우던 토종닭과 오골계, 칠면조 등 1천600마리를 살처분하고 4곳에 통제소를 설치한 뒤 3∼10㎞ 내 주변을 통제하고 있다. 더불어 해당 농장을 다녀간 사료·축산 차량이 있는지 등 유입경로에 대한 역학조사도 벌이고 있다.
도는 5일에는 기러기, 오골계, 칠면조 등 특수가금류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고 재래시장 등에서의 살아있는 가금류 유통을 통제한다.
현재 도는 이 농장에서 발생한 AI가 군산 종계농장과 같은 H5N8형일 것을 예상하고 있으며, 고병원성 여부는 5일께 판명될 예정이다.
파주지역에서 AI가 발생한 것은 지난 2011년 1월 이후 6년 5개월 만이다. 당시 1개 농장에서 AI가 확인돼 반경 3㎞ 안에 있는 15개 농장 닭 4만 5천여 마리가 살처분됐다.
이런 가운데 제주, 군산, 파주에 이어 부산 기장의 오리ㆍ닭 사육농장에서도 AI 양성반응이 나오자 도 방역 당국은 물론이고 지난해 말 발생한 AI가 종료되면서 재입식에 나섰던 농가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긴장하는 모습이다.
특히 AI 바이러스의 경우 여름철 높은 기온이나 습도를 견디지 못하고 사멸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철새 이동 시기도 아닌 여름철에 AI가 발생해 방역 당국을 당혹게 하고 있다.
무엇보다 감염 경로가 명확하지 않은 데다 방역 당국의 손이 미치기 힘든 소규모 농가에서 발생한 탓에 이미 인근 지역으로 퍼졌을 가능성도 있어 지난 겨울 전국을 휩쓴 ‘AI 악몽’이 재현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재입식을 추진하던 파주 인근 양주와 포천의 농장주들은 “얼마 전 이동제한 조치가 풀려 재입식을 준비했으나, 또다시 AI 발생 소식이 들려와 망설이고 있다”며 “일단 방역 당국의 조치에 따르겠지만, 이번에는 빨리 진정됐으면 좋겠다”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 농식품부는 고병원성 확진 판정이 나오는 즉시 AI 위기경보 단계를 가장 높은 ‘심각’ 단계로 격상해 방역을 강화키로 했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발생한 AI가 종료되면서 현재까지 재입식 승인을 받은 농가는 안성, 여주, 용인, 이천, 평택, 김포 등 6개 지역 22개 농장”이라며 “하지만, 뜻하지 않게 또다시 AI가 발생한 만큼 확산 속도나 방역 조치, 농림식품부의 승인 등 종합적인 상황 등을 고려해 당분간 재입식을 자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지역에서는 지난해 11월 20일 양주시 백석읍의 한 산란계 농가를 시작으로 14개 시·군 123개 농장에서 AI가 발생해 인근 농장을 포함해 모두 206개 농장의 닭과 오리 등 가금류 1천588만 4천여 마리가 살처분됐다.
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