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이슈] 차기 서울시장에 고한다 : 기피시설 떠넘기기 그만

서울시장 주요 예비 후보. 연합뉴스 제공

“서울시의 편익은 서울시민이 취하고 고통은 경기도민이 떠안고 있습니다. 누가 차기 서울시장이 되든 고민해야 합니다”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6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경기도와의 상생 협력을 강조하는 후보가 없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경기도는 ‘수도 서울시의 발전’이라는 명목 아래 각종 기피시설을 떠안고, 편의시설 및 교통 인프라에서도 우선순위에 밀려왔다.

그러나 전국 최대 지방정부로 올라선 경기도가 이제는 불합리한 구조를 깨고, 동등한 지방정부로서 협상 위치를 가져야 한다는 당위성도 커졌다. 이에 경기일보는 서울시로 인해 피해를 본 주요 현장을 살펴보고, 해결책을 오는 4월7일 치러지는 보궐선거 서울시장 후보들에게 제시한다.

8일 오전 고양시 덕양구 대덕동(현천동) 주거단지. 어디선가 나는 음식물 쓰레기 냄새에 자꾸만 주위를 둘러본다. 악취의 원인은 주거단지와 약 400m 떨어진 서울시 소유 난지물재생센터(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692의2 일원)다. 난지물재생센터(하루 처리용량 하수 86만㎥)는 서울 지역 21개구의 하수, 분뇨, 음식물 등을 처리하는 ‘거대한 쓰레기통’이다.

지금은 인근 소규모 단독주택들이 주요 거주민이지만 내년 10월부터 총 5천여가구의 덕은지구 공동주택 입주가 시작, 관련 민원이 더 증폭될 전망이다.

근처 상인 김민우씨(가명ㆍ33)는 “5년 전 악취개선공사로 다소 나아지긴 했으나 비가 오는 여름철에는 냄새 때문에 머리가 지끈지끈할 지경”이라고 불평했다.

구로차량 기지 광명 이전을 놓고 광명시민들은 서울시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구로차량기지를 2026년까지 광명시 도덕산 일원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웠다.

소음 및 분진 등 구로구 주민 민원 때문이다. 이에 광명시민들은 “구로구 민원해소를 위해 왜 우리가 희생해야 하는가”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밖에 고양시는 지역에 위치한 서울시 소유 서울시립승화원 방문객으로 인한 만성 교통난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시 용산구가 양주시에 지은 가족휴양소를 치매 안심 마을로 조성하기로 추진하면서 양주시민의 반발이 시작됐다.

반면 경기도에 꼭 필요한 사안임에도 서울 지역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는 사례도 있다. 부천시는 9천300세대 규모의 옥길지구 내 공영차고지 부재로 주차 문제에 직면해 관내 옥길동에 이 시설을 설치하려 했지만 인근 서울시 구로구가 소음 등의 문제로 제동을 걸고 있다.

양주 옥정~포천 7호선 연장, 신분당선 서북부연장 등도 서울시와의 의견 충돌로 난관에 부딪혔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경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서울시 정책은 더는 서울시만의 것이 아니다”라며 “어떤 후보가 당선되든 서울시로 인한 피해를 함께 해결해야 할 책무가 있다”고 말했다.

로컬이슈팀=여승구ㆍ이정민ㆍ채태병ㆍ김현수ㆍ최태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