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정규 여자경찰 연주자 이수윤 순경

“처음엔 다소 망설였어요. 그러나 해군악대 출신인 교수님의 권유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수 있다는 점에 끌려 해경악대에 지원하게 됐어요” 국내 경찰악대 창설 이래 최초의 정규 여자경찰 연주자 이수윤 순경(23·여·해양경찰청악대). 지난 2월 경희대 음대 기악과를 졸업한 이 순경이 해경악대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졸업 직후 인터넷에서 해경악대원 모집 공고를 본후부터. 이 순경은 신체검사와 체력검사를 통과한 뒤 실기시험에서도 발군의 실력을 발휘, 타악기 부문에서 다른 남자 지원자 2명을 제치고 지난 7월 해양경찰청 악대원으로 당당히 임용됐다. 심사에 참여했던 해경악대장 한 학 경위(51)는 “이 순경은 여성스러운 섬세함 뿐만 아니라 곡의 클라이맥스 부분에 이르러선 폭풍처럼 몰아칠 줄 아는 다이내믹함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33명의 해경악대원 중 악대장과 남자 순경 1명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전원이 자신과 같은 또래인 20대 초반의 전경들인 점도 이 순경에겐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출장 때 방을 따로 써야 하는 점 정도를 빼면 여자라고 해서 어려운 점은 거의 없어요. 또래 전경들 모두가 ‘이 순경님’이라며 잘 대해줘 악대 생활도 즐겁게 하고 있어요” 연주곡 특성에 따라 드럼, 팀파니, 마림바 중 하나의 타악기를 연주하는 이 순경은 합주연습-개인연습-합주연습 등 하루 8시간 가량 계속되는 연습 속에서도 명랑함을 잃지 않아 동료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있다. “최초라는 사실에 만족하지 않고 최고가 되기 위해 항상 노력할 생각이예요”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의왕시민대상 수상자 선정

제8회 의왕시민대상 수상자에 양춘자씨(59)등 5명을 확정됐다. ▲시민봉사분야=양춘자씨(59):90세의 노모를 봉양하면서 노인정의 보일러와 태극기간판을 교체하고 의자를 설치했으며, 5회에 걸친 경로잔치와 노인효친관광을 자비를 들여 실시했다. ▲체육진흥분야=홍명유씨(54):의왕시체육회를 조직하고 3개조직이던 체육가맹단체를 10개단체로 확대했으며, 시장기태권도대회를 창설하기도 했다. ▲사회복지분야=조영철씨(40):장애인단체의 조직을 통합해 장애인연합회를 구성하고 관내 장애인들의 합동생일파티를 열어 주기도 했으며, 중증장애인들의 야외나들이및 장애인 가족행사를 개최했다. ▲지역개발분야=우익환씨(77):부곡노인대학을 설립하고 6회에 걸친 경로잔치를 실시했으며, 왕송저수지의 정화를 위해 27회에 걸쳐 청소를 실시했다. 동정자문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부곡신용협동조합을 설립하기도 했다. ▲지역안정분야=김원균씨(50):소년원퇴소자들을 위한 보금자리를 마련해 주기 위해 지난 78년 겨자씨마을을 설립한 뒤 200여명의 무의탁소년을 양육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16명이 검정고시에 합격, 고교 및 대학에 10여명을 진학시켰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gib.co.kr

수원 중부경찰서 송죽파출소 이재훈경장

무전취식자의 하소연에 귀를 기울여준 경찰 덕분으로 15년만에 헤어졌던 형제가 극적으로 만나 혈육의 정을 나눈 일이 뒤늦게 알려져 훈훈한 감동을 주고 있다. 수원 중부경찰서 송죽파출소 소속 이재훈경장(33)은 지난 14일 오전 10시께 관내 음식점으로부터 무전취식자가 있다는 업주의 신고를 받고 출동, 맹모씨(32·인천시 옹진군 백령면)를 파출소로 데리고 와 조사를 벌였다. 그러나 맹씨로부터 15년전 가족들과 헤어져 연락이 두절된 상태로 인천 백령도 부근에서 선원으로 일하며 근근히 살아왔으나 임금도 받지 못하고 혹사를 당해 도망쳐 나와 어쩔 수 없이 무전취식을 하게 됐다는 딱한 사연을 접하게 됐다. 이에 이경장은 맹씨의 말을 토대로 3시간여 동안 경찰컴퓨터를 이용, 가족찾기에 나섰다. 결국 그의 호적지인 안성군 금광면사무소에서 형(39)이 부천시 원미구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을 확인, 관할 파출소에 협조를 의뢰해 2시간여끝에 전화통화를 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1시간여가 지난 오후 4시께 파출소로 찾아온 형제는 뜨거운 포옹을 하면서 재회의 기쁨을 나눴다. 15년여동안 떨어졌다가 다시 만나게된 이들 형제는 연신 이경장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면서 서로 손을 맞잡고 파출소 문을 나섰다./신동협기자 dhshin@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