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태 기자

kkt@kyeonggi.com

최근 3개월간 수도권 경매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 90% 넘어서

최근 3개월간 수도권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이 평균 90%를 넘어서는 등 훈풍이 불고 있는 부동산시장의 여파가 경매시장까지 뜨겁게 달구고 있다. 29일 법원경매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28일까지 수도권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91.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8년 4월(92.2%)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지난 5월 90.5%, 6월 91.4%, 7월(28일 현재) 91.4%를 기록하는 등 3개월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높아진 전셋값과 저금리 기조에 실수요자들이 매매시장과 더불어 경매시장에 뛰어들면서 낙찰가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지옥션 측은 설명했다. 이달 수도권 연립ㆍ다세대의 낙찰가율도 81.1%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11년 6월(81.7%)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처럼 연립ㆍ다세대의 낙찰가율이 높아진 것은 아파트 인기가 치솟으면서 상대적으로 싼 값에 구입할 수 있는 연립ㆍ다세대에 수요자들이 분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최근에는 저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저렴한 연립주택 등을 구입해 안정적인 월세 수익을 노린 투자자들도 가세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아파트와 연립ㆍ다세대 모두 경매 진행 물건이 최근 들어 감소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낙찰가율 상승에 한 몫하고 있다며 다만 최근 발표된 가계부채 대책이 앞으로 주택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반드시 시세와 비교해본 뒤 적정 가격에 응찰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20~30대 “내집 마련” 수요 급증… 올 2분기 주택거래량 사상 최대

올해 2분기(4~6월) 주택거래량이 20~30대의 내 집 마련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200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2015년 2분기 부동산시장 동향분석에 따르면 올 2분기 전국의 주택매매 거래량은 34만743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39.1% 증가했다. 이는 분기별 거래량으로 2006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대 수준이다. 이전 최대 기록은 세계 금융위기 직전 부동산 거품이 일었던 2008년 2분기(30만5천229호)였다. 특히 수도권의 매매거래량은 17만9천902건으로, 작년 동기대비 64.3%나 늘었다. 수도권의 주택매매 거래량은 소형이 5만6천201건, 중형 4만5천208건, 대형 2만266건을 기록, 소형거래가 시장을 주도했다. 비수도권(5개 광역시)은 7만6천609건으로, 지난해보다 26.8%, 전분기보다 17.6% 늘면서 증가세를 유지했다. 이같은 주택매매 거래량 증가는 2030대가 주택매매 시장에 활발하게 참여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15월까지 30대 이하 주택매수자 비중은 전국적으로 25.5%로, 지난해 하반기(712월) 23.1%와 비교해 2.4%p나 늘어났다. 반면 40대와 50대, 60대 이상의 주택매수자 비중은 모두 줄어들었다. 특히 수도권으로 한정할 경우 30대 이하의 주택매수자 비중은 26.7%로 더욱 높았다. KDI 관계자는 2030대 실수요자들이 소형평수 위주로 거래에 나서면서 주택거래량이 크게 늘어났다면서 하반기에도 저금리와 전세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주택거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주유소 휘발유값 6년새 가장 저렴

올 상반기 주유소에서 판매된 휘발유의 평균 가격이 6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오피넷 등에 따르면 올 상반기 보통 휘발유의 주유소 판매가격 평균은 ℓ당 1천514.5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천875.8원) 대비 19.3%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반기 기준으로, 2009년 상반기(1천514.4원) 이후 6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 2009년 하반기(1천652.7원) 1천600원대에 오른 휘발유 가격은 2010년 하반기(1천721.1원) 1천700원대로 상승했고,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으며 급등했던 2011년에 이어 2012년 상반기(2천6원)에는 평균 2천원대까지 치솟았다. 2013년까지 1천900원대를 유지한 휘발유 가격은 국제 유가가 급락한 지난해 하반기(1천779.5원) 1천700원대로 내려왔고, 올해 상반기에는 1천500원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디젤용 승용차 등의 연료로 사용되는 경유 가격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2년 상반기 ℓ당 1천828.6원으로 고점을 찍은 경유 가격은 지난해 상반기 1천690원, 하반기 1천584.2원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1천328.6원까지 떨어져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택시와 렌터카 등의 연료로 사용되는 액화석유가스(LPG)도 마찬가지다. 자동차용 부탄 가격은 지난 1월 ℓ당 887.7원으로, 2009년 10월(803.9원) 이후 처음으로 800원대에 진입했다. 이후 하락세가 이어져 이달 첫째주 기준 805.3원으로 700원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김규태기자

후계 놓고 ‘장남의 난’ 실패 父 신격호 총괄회장도 퇴진

롯데그룹 후계자를 놓고 벌어진 장남 신동주 전 일본 롯데 부회장(61)의 왕자의 난이 사실상 실패하면서 창업주이자 아버지인 신격호 총괄회장(93)도 한국과 일본 롯데그룹 경영일선에서 퇴진하게 됐다. 이번 사태로 롯데그룹은 신 총괄회장의 차남인 신동빈 회장(60)의 2세 경영체제로 전환했다. 일본 롯데그룹의 지주사인 일본 롯데홀딩스는 28일 오전 긴급 이사회를 열고 신 총괄회장을 롯데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에서 전격 해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총괄회장은 이에 따라 일본 롯데홀딩스의 명예회장으로 남게됐다. 신 총괄회장은 지난 27일 장남 신동주 전 일본 롯데 부회장의 주도로 비밀리에 일본으로 건너갔다. 신 총괄회장은 같은 날 오후 일본 롯데홀딩스에 나타나 자신을 제외한 일본롯데홀딩스 이사 6명을 해임했다. 이날 해임된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에는 신동빈ㆍ쓰쿠다 다카유키 대표이사 부회장이 포함돼 있었다. 이에 대해 신동빈 회장 등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 6명은 신 총괄회장의 27일 이사 해임 결정이 이사회를 거치지 않은 불법 결정이라고 규정했다. 신 회장 등 이사진은 28일 오전 일본 롯데홀딩스 긴급 이사회를 열어 신 총괄회장을 일본롯데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에서 해임했다. 한국 롯데그룹 관계자는 일본 롯데홀딩스가 신격호 대표이사를 명예회장으로 추대하는 결정을 내렸다면서 신 명예회장은 앞으로도 한국과 일본의 주요 사안에 대해 보고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입장 발표는 창업주인 신 총괄회장에 대한 예우 차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지난 2000년 현대그룹 왕자의 난을 연상시키는 사태가 발생했지만 신동빈 회장의 경영체제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신 회장이 한일 두나라에 걸쳐 있는 롯데그룹 경영권의 핵심인 일본 비상장 법인 광윤사를 지배하고 있다는 관측에서다. 신 회장과 신 전 부회장 모두 광윤사 지분을 29%씩 갖고 있지만 12%의 지분을 보유한 우리사주가 현재 신 회장의 지지세력으로 알려졌다. 롯데판 왕자의 난을 일으킨 신 전 부회장은 이번 사태 이전인 지난해 12월 일본 롯데 부회장, 롯데상사 대표이사 부회장, 롯데아이스 이사에서 해임된 데 이어 올해 1월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에서도 해임되면서 사실상 후계자 지위에서 멀어졌다. 김규태기자

천정부지 전셋값… 3.3㎡당 1천만원 돌파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격이 3.3㎡당 평균 1천만원을 넘어섰다.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뛰기 시작한 전세가격이 76개월 연속 오른 결과다. 27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전용면적 기준)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세가격은 1천17만원으로 조사됐다. 시ㆍ도별 3.3㎡당 아파트 전셋값 평균은 서울이 1천386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경기(860만원), 대구(758만원), 울산(658만원), 부산(652만원), 인천(649만원) 등의 순이었다. 시ㆍ군ㆍ구별로 3.3㎡당 아파트 전세가격 평균을 살펴보면 서울 강남구(2천228만원), 서초구(2천154만원), 송파구(1천630만원), 용산구(1천625만원), 광진구(1천576만원) 등 상위권을 서울 빅5 지역이 차지했고, 과천시(1천511만원)와 성남시 분당구(1천509만원)가 그 뒤를 이었다.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전월 대비로 2009년 3월부터 지난달까지 76개월째 상승했다. 연도별로는 2009년 4.55%, 2010년 8.85%에 이어 2011년 16.21%로 급등하며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각각 4.29%, 7.15%, 4.36% 상승한 데 이어 올해는 지난달까지 3.07% 올랐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전세가격이 상승세를 타기 직전(2009년 2월) 시점과 비교한 전국 아파트의 전세가격 오름폭은 지난달까지 61.30%였으며, 수도권은 61.58%로 전국 평균을 약간 상회했다. 경기지역 지자체에서는 하남시(93.56%)와 용인시 수지구(90.62%), 수원시 영통구(89.91%), 화성시(89.02%) 등이 90% 안팎의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전세 품귀 현상이 이어지면서 수도권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세가격이 1천만원을 돌파했다며 경기지역 신도시를 중심으로 이같은 오름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가계부채 대책도 막지 못한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

대출요건을 강화하는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발표됐지만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큰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2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경기지역 매매가는 광명 0.31%, 고양 0.13%, 군포 0.10%, 김포 0.08%, 수원 0.08%, 인천 0.07%, 시흥 0.07%, 하남 0.07% 등에서 올랐다. 광명은 전세수요의 매매전환 거래로 인해 매물이 귀한 상태다. 철산동 주공 12ㆍ13단지가 500만~2천만원, 하안동 주공5ㆍ8단지가 250만~1천250만원 상승했다. 고양시 고양동 푸른마을 1ㆍ3단지가 250만~750만원, 화정동 옥빛주공15ㆍ16단지가 500만원 가량 올랐다. 신도시는 중동 0.11%, 일산 0.08%, 광교 0.08%, 산본 0.06% 순으로 올랐다. 중동은 상동 반달건영, 반달동아가 100만~250만원, 중동 한라주공2단지가 250만~750만원 상승했다. 광교는 하동 광교호수마을참누리레이크가 1천만원 상승했다. 경기지역 전세가는 광명 0.26%, 고양 0.20%, 과천 0.12% 등에서 올랐다. 과천 부림동 주공9단지는 1천만~1천500만원 정도 상승했다. 신도시는 중동 0.13%, 평촌 0.10%, 분당 0.09%, 일산 0.08%, 동탄 0.05% 순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평촌 비산동 샛별한양1차(6단지)와 평촌동 초원부영이 500만원 상승했다. 인천은 청라국제업무지구 내 경서동 청라롯데캐슬이 1천만~2천500만원 올랐다. 김규태기자

주거는 물론 아이들과 함께 쇼핑떮문화 ‘원스톱 라이프’... 유모차族 사로잡는다

건설업계가 이동하기 편리하고 여가와 쇼핑은 물론 자녀들의 놀이까지 가능한 공간을 선호하는 유모차족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쇼핑센터 인근 지역에 아파트를 경쟁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유모차족은 주거 지역 인근의 음식점, 카페 등으로 어린 자녀를 데리고 함께 나오는 주부들을 일컫는다. ■ 쇼핑몰부터 대형마트까지 김포 풍무2차 푸르지오 2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이달 말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 김포점 인근에 위치한 김포 풍무2지구 24BL 1로트에서 김포 풍무2차 푸르지오 2천467가구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5층 22개동 전용 59~112㎡ 규모다. 2018년 개통 예정인 김포도시철도 풍무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인근에 홈플러스, 이마트 등이 들어서는 상업지구가 있어 유모차족 사이에서 인기를 끌 것으로 대우건설 측은 내다봤다. ■ 역세권 기흥역더샵롯데아울렛 후광 시흥목감 신안인스빌 8월에는 용인시 기흥역세권지구에서 기흥역더샵 1천219가구(오피스텔 175실)가 분양될 예정이다. 단지는 기흥역세권지구 3-1BL, 3-4BL에 자리 고 있으며 전용 72~172㎡(오피스텔 전용 59㎡) 규모로 조성된다. 분당선 기흥역 역세권 단지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도 수월하며 AK플라자 쇼핑센터도 걸어서 이용이 가능하다. 지난 23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신안은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광명점에서 차량으로 10분 거리에 위치한 시흥시 목감지구에서 시흥목감 신안인스빌을 분양한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5층, 6개동 전용 69~84㎡ 총 576가구로 구성된다. 단지 남서측으로 초등학교가 설립될 예정이고, 중심상업지구와 가까워 편의시설을 이용하기도 쉽다. ■ 시흥배곧 한라비발디 캠퍼스 2차 등 주목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시흥점(2017년 개장 예정)이 들어서는 시흥배곧신도시에서는 시흥배곧 한라비발디 캠퍼스 2차가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40층, 12개동 전용 69~133㎡ 총 2천695가구 규모다. 수인선 월곶역이 인접해 있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시흥~평택 고속도로, 77번 국도 등도 인근에 위치해 교통여건이 뛰어나다. 이와 함께 현대산업개발은 올 하반기에 포천시 군내면 포천3지구 B1-1BL에서 포천아이파크 498가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1층~지상 23층 7개동 총 498가구, 전용 59~84㎡로 구성된다. 2016년 개장 예정인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양주점이 차량 15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단순히 주거가 목적이 아닌 아이들과 함께 쇼핑과 문화 생활 등을 한번에 누릴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주부들이 늘어나면서 건설업체들이 대형 쇼핑센터 인근에 아파트 단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며 이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규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