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태 기자

kkt@kyeonggi.com

[부동산 시세]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 주춤, 전세시장은 여전히 강세

봄 이사철을 맞아 상승세를 보이던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이 실수요자간 거래가 주춤하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전세시장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가는 과천(1.19%)에서 오름세를 보였지만 안산(-0.04%), 군포(-0.04%), 용인(-0.03%) 등에서는 내림세를 기록했다. 과천시 원문주공2단지, 별양주공4ㆍ6단지, 부림주공8단지 등이 각각 500만~3천만원 가량 매매가격이 올랐다.반면 안산시 군자주공6단지가 250만~1천150만원 가량 하향 조정됐고, 고잔3차 푸르지오도 250만~500만원 가량 매매가가 떨어졌다. 군포시는 당동 쌍용이 500만원 가량 내려갔다. 신도시는 평촌(0.07%), 일산(0.02%), 분당(0.02%) 등이 오름세를 보였으나 산본(-0.22%)은 매매가가 하락했다. 평촌신도시는 꿈우성, 꿈건영3단지가 1천만~1천500만원 가량 매매가격이 오른 반면 산본신도시 수리 한양은 500만~1천500만원 가량 떨어졌다. 경기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은 과천(0.28%), 시흥(0.09%), 수원(0.07%), 의왕(0.07%) 등에서 올랐다. 하지만 하남(-0.30%), 광명(-0.05%) 등은 하락했다. 과천시 주공4단지가 500만~1천500만원 가량, 시흥시 정왕동 금강이 750만~1천만원 가량 전셋값이 상승했다. 반면 하남시는 LH 신동아15단지, 창우동 부영, 신장동 대명강변타운 등이 500만~1천만원 가량 전세가격이 떨어졌다. 신도시는 평촌(0.06%), 일산(0.05%) 등에서 전세금이 오른 반면 산본(-0.22%), 분당(-0.08%), 김포한강(-0.07%) 등은 내려갔다. 평촌신도시내 초원 부영이 250만~750만원 가량 전세가격이 상승했으나, 산본신도시 수리 한양은 1천만~2천500만원 가량, 분당신도시 느티마을 공무원4단지는 2천500만~3천만원 가량 하향 조정됐다. 인천지역은 매매가격(0.03%)과 전셋값(0.02%)이 모두 올라 간석동 우성이 300만원 가량 매매가가 상승했고, 경서동 청라롯데캐슬은 600만원 가량 전세금이 올랐다. 김규태기자

[분양 캘린더] 황금연휴 앞 숨고르기… 견본주택 2곳 오픈

상반기 공급물량을 쏟아내며 열기가 뜨거웠던 분양시장이 어린이날(5일)과 임시공휴일(6일)을 포함한 나흘간의 연휴로 잠시 쉬어가는 모양새다.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5월 첫째주에는 전국 10곳에서 청약을 받고 견본주택 2곳이 문을 연다. 3일에는 화성시 동탄2신도시 A8블록 동탄파크자이와 화성향남2 B7블록 사랑으로부영이 각각 청약접수를 받는다. 4일에도 수원시 호매실지구 C3블록 한양수자인 호매실과 양주시 양주신도시 A18블록 e편한세상 양주신도시가 2차 청약접수를 진행하고, 의정부시 민락2지구 B13블록 우미린이 당첨자 발표에 나선다. 6일에는 고양시 일산동구 킨텍스 원시티가 당첨자 발표를 진행한다. 다음은 주요 분양 일정. ◇2일(월) ▲평택시 소사벌지구 C1블록 소사벌 더샵 당첨자 계약(~5/4) ☎1644-8913 ▲고양시 일산동구 킨텍스 원시티 오피스텔 당첨자 계약 ☎1644-1331 ◇3일(화) ▲화성시 동탄2신도시 A8블록 동탄파크자이 청약접수(~5/4) ☎1644-0061 ▲화성시 화성향남2 B7블록 사랑으로부영 청약접수(~5/4) ☎031-8047-6285 ◇4일(수) ▲수원시 호매실지구 C3블록 한양수자인 호매실 청약접수(~5/9) ☎1544-5898 ▲양주시 양주신도시 A18블록 e편한세상 양주신도시 2차 청약접수(~5/9) ☎031-840-9700 ▲의정부시 민락2지구 B13블록 우미린 당첨자 발표 ☎031-842-9500 ◇6일(금) ▲고양시 일산동구 킨텍스 원시티 당첨자 발표(~5/10) ☎1644-1331

대형 건설사, 1분기 실적 양호… 과징금 폭탄 영향 당기순이익에선 손해

대형 건설사들이 올해 1분기 주택담보대출 심사 강화 등 악조건 속에서도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규모 과징금 폭탄으로 인해 당기순이익면에서의 손해는 피해가지 못했다. 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들은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하는 등 대체로 견고한 실적을 보였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GS건설, 대림산업, 현대산업개발, 코오롱글로벌, 한라 등 주요 건설사들은 이 기간 모두 영업흑자를 기록했다. 우선 현대건설은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 8.7%와 3.3% 증가한 4조2천979억원, 2천72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해외 부문 매출이 확대됐고 수익성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건설은 매출 2조5천503억원, 영업이익 62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13% 줄긴 했지만 9분기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매출의 경우 해외매출이 49% 증가한 1조233억원을 기록,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GS건설은 29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8분기 연속 흑자를 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수치다. 매출은 13.9% 증가한 2조3천158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 성장세는 분양 물량 착공에 따른 주택ㆍ건축 부문이 이끌었다. 대림산업도 매출 2조2537억원(11.67%↑), 영업이익 907억원(32%↑)을 기록했다. 이 기간 주택사업을 맡는 건축사업본부 매출은 8천1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90%나 급증했다. 중견 건설사도 약진했다. 코오롱글로벌은 매출 6천221억원, 영업이익 11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 0.54%와 84.39% 증가했다. 한라는 영업이익이 무려 1724.05% 증가한 242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1.77% 증가한 4천182억원이다. 반면 주요 건설사들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부과한 통영ㆍ평택ㆍ삼척 액화천연가스(LNG) 저장탱크 입찰 담합 과징금을 순이익에 미리 반영하면서 당기순이익에선 저조한 실적을 나타냈다. 공정위가 지난달 26일 13개 건설사에 부과한 과징금 규모는 총 3천516억원이다. 건설사별로는 삼성물산 732억원, 대우건설 692억원, 현대건설 619억원, 대림산업 368억원, GS건설 324억원, 포스코건설 225억원, 한양 212억원, 두산중공업 177억원, SK건설 110억원, 한화건설 53억원 등이다. 현대건설의 경우 과징금을 미리 반영하면서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2.2% 줄어든 869억원을 기록했다. 대우건설도 과징금을 반영, 당기순손실 184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대림산업은 37.53% 감소한 34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는 등 주요 건설사들이 당기순이익에서는 손해를 봤다.김규태기자

국토부, 건설정보모델(BIM) 라이브러리 무료 배포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건설정보모델(BIM) 표준 라이브러리와 활용 애플리케이션을 무료 배포한다고 1일 밝혔다. BIM은 건설 공사의 자재와 공정ㆍ공사비 정보가 입력된 3차원 입체모델이다. 한국형 BIM 표준 라이브러리는 이 가운데 자주 사용하는 창문, 벽 등의 구조물의 3차원 입체모델을 모아 놓은 것이다. BIM 표준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설계 하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설계자들 간의 데이터 호환 및 협업도 가능해진다. 국토부에 따르면 2일부터 국토부 홈페이지와 한국형 BIM 표준 라이브러리 홈페이지에서 한국형 BIM 표준 라이브러리와 활용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한국형 BIM 라이브러리는 설계 필수 요소인 벽ㆍ바닥ㆍ창호 등 대표적인 건축부위 13종의 데이터 1천여개다. 국토부는 자료를 내려 받아 바로 설계 프로그램에 적용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했다. 국토부는 연내 3천200여개까지 데이터 규모를 확대, 추가 배포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3차원인 BIM 모델에서 2차원 도면을 자동 추출하는 활용 애플리케이션도 배포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공개를 통해 그동안 국내 BIM 활용의 걸림돌로 지적돼 온 BIM 콘텐츠 부재를 상당 부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그린벨트에 30만㎡ 미만 공공주택지구 지정 쉬워진다

광역자치단체장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 공공주택지구를 지정하는 것이 쉬워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시ㆍ도지사가 그린벨트에 30만㎡ 미만 공공주택지구를 지정할 때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고 시ㆍ도의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만 받아도 되도록 하는 등의 ‘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 개정안이 시행된다고 1일 밝혔다.다만 개정안은 시ㆍ도지사가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하려는 지역에 환경평가 1ㆍ2등급지가 포함되는 등 개발제한구역법령이 정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중도위 심의를 받아야 할지를 국토부 장관과 사전협의하도록 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공공주택 저층부에 주민편의시설을 설치하면 사회복지시설을 설치했을 때처럼 3층 이상에도 주거약자용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 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은 주거약자용 주택을 3층 이하에 공급하도록 하면서 공공주택 저층부에 사회복지관을 설치하면 3층 이상에도 주거약자용 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예외를 뒀는데 이번에 예외가 확대됐다. 또 개정안에는 공공기관 등이 조성한 토지를 민간건설임대주택사업자에게 우선 공급할 때 토지가격은 감정가격을 원칙으로 하되, 85㎡ 이하 임대주택건설용지를 받아 8년 이상 임대하는 주택을 짓는다고 하면 조성원가의 100%로 하도록 했다.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과 동일하게 조정한 것이다. 이와 함께 매입ㆍ전세임대주택 입주자 선정 시 주거급여 수급자(소득이 중위소득의 43% 이하) 가운데 소득인정액 대비 임차료 비율이 높은 가구에 가산점을 주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소득인정액의 80% 이상이 임차료라면 5점, ‘65% 이상 80% 미만’은 4점, ‘50% 이상 65% 미만’은 3점, ‘30% 이상 50% 미만’은 2점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조치로 30만㎡ 이하 그린벨트에서 시행하는 공공주택사업에 대한 지방정부의 주도가 가능해져 사업 추진이 수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정부, 내년까지 5만가구 임대주택 확대 공급… 서민·중산층 주거비 경감책 내놔

정부가 내년까지 대학생ㆍ사회초년생ㆍ신혼부부 등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 1만 가구와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2만 가구 등 약 5만 가구의 임대주택을 확대 공급키로 하는 등 서민ㆍ중산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 수 있는 맞춤형 주거 지원책을 내놨다. 국토교통부가 28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맞춤형 주거지원을 통한 주거비 경감방안’을 보면, 우선 국토부는 행복주택 공급목표를 2017년까지 14만 가구(사업승인기준)에서 15만 가구로 1만 가구 늘리고 이 가운데 14만 가구에 대해 올해 부지를 확정하기로 했다. 뉴스테이는 2017년까지 13만 가구에서 15만 가구로 2만 가구 확대한다. 전세임대주택 공급물량도 올해 4만1천 가구로, 당초 계획보다 1만 가구 확대했다. 특히 전세임대주택 가운데 대학생 전세임대주택은 ‘청년전세임대’로 확대 개편해 입주대상을 대학 졸업 후 2년이 안된 취업준비생으로까지 넓히기로 했다. 신혼부부 매입임대리츠도 도입된다. 주택도시기금이 리츠를 설립하고 리츠가 기금 출ㆍ융자와 신혼부부가 내는 보증금으로 주택을 매입, 이를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에 위탁해 신혼부부용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올해 시범사업으로 1천 가구를 신혼부부에 공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집주인이 집을 다가구주택으로 개축해 대학생ㆍ독거노인에게 시세보다 임대료가 낮은 임대주택으로 공급하기로 하면 개축비를 저리로 지원하는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사업’에는 ‘매입방식’이 허용돼 올해 600가구가 공급된다. 개인이 새로 다세대 등 주택을 구입해 수리 한 후 LH에 임대관리를 위탁하는 경우에도 대출ㆍ세제 등에서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사업과 동일한 혜택을 제공한다. 무주택 서민과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복지도 강화한다. 국토부는 주택도시기금 버팀목전세대출 금리를 소득ㆍ보증금별 2.5∼3.1%에서 2.3∼2.9%로 0.2%p씩 내리고 대출 한도는 최대 1억2천만원(수도권)으로 높이기로 했다.신혼부부 금리우대 폭도 0.5%p로 0.3%p 높여 최저 1.8%의 금리로 대출을 지원하고, 대출 한도는 1억4천만원(수도권)으로 상향한다. 이와 함께 생애최초주택구입자는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금리를 6개월 한시적으로 기존보다 0.3%p 낮춰 최저 1.6%로 대출해주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자가점유율이 꾸준히 떨어지고 전월세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4년 사이 50%를 넘어서는 등 ‘소유에서 거주’, ‘전세에서 월세로’로 바뀐 주거환경에 맞춰 다양하고 안정적인 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말했다.김규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