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복·협동조합 버스·경기하나철도… 복지에 ‘집중’

[여야 경기지사 후보 공약 검증] 3. 교통분야

6ㆍ4 지방선거 경기지사 선거에 출마한 여야 후보들이 가장 뜨겁게 논쟁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교통 정책’ 분야이다.

다양한 환경의 시ㆍ군이 있고 아직 대중교통 수단이 촘촘하게 구축되지 못해 경기도 현안으로 매번 교통 분야는 빠지지 않고 있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유독 ‘버스’ 정책을 놓고 여야 후보들이 갑론을박을 벌이는 모습이다.

새누리당 남경필 의원은 ‘경기도형 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맞춤형 따복버스 운영’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현재 시장ㆍ군수에 위임된 광역버스 노선 인ㆍ면허권을 도가 회수하고 신규노선도 도가 소유해 버스 준공영제를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또 학생 통합 맞춤형 버스와 통근자 맞춤형 버스, 농어촌 맞춤형 버스 등을 따복버스로 운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병국 의원은 ‘수도권 광역 교통청’ 신설을 주장하고 있다. 현행 수도권 교통본부를 수도권 광역 교통청으로 개편해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한 예산 확보와 중ㆍ장기 계획 수립, 지자체 간 갈등 조율 등의 역할을 수행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 의원은 ‘경기대중 교통공사’설립과 ‘협동조합 버스 활성화’ 등을 약속했다.

경기대중교통공사 설립은 버스 공영제를 실현, 장애인과 노인, 임산부 등에게 각종 할인혜택을 주는 공공 대중교통 정책을 실시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협동조합 버스는 버스 운송사업에 협동조합형 사업자의 진입을 허용해 다양한 노선을 신설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진표 의원은 ‘경기하나철도(G1X)’와 ‘버스 준공영제’를 교통 분야 공약으로 발표했다. G1X는 지하철 연장을 통해 경기도를 하나로 잇는 순환철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며, 버스 준공영제는 노선 입찰제 확대 등으로 도비를 최소화하는 버스 준공영제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김상곤 예비후보는 ‘무상버스’의 단계적 실현을 발표했다.

기본적인 인권인 이동권의 제약을 방지하기 위해 어르신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과 학생들, 비 혼잡 시간 등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무상버스 정책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무상버스 공약은 4년 전 지방선거에서 이슈를 끌었던 ‘무상급식’과 비교되면서 유권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지만 여야 주자 모두에게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이같은 경기지사 후보들의 교통 분야 공약에 대해 전문가들은 “과거 도로 건설위주 방식의 교통문제 해결에서 대중교통에 중심을 두고 정책대결을 벌이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면서도 “그러나 정책 대부분이 서울로의 출퇴근 문제에 국한돼 있고 보행권 문제, 친환경 교통수단 확대 등의 공약 보완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