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통 크게 나누고 합의에 이르자”…김정은 “미래 내다보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집앞에서 국군의장대 사열을 마친 후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북한 김영철 통일전선부장, 임종석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북한 김여정 당중앙위 제1부부장, 서훈 국정원장, 문 대통령, 강경화 외교부 장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판문점공동취재단=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집앞에서 국군의장대 사열을 마친 후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북한 김영철 통일전선부장, 임종석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북한 김여정 당중앙위 제1부부장, 서훈 국정원장, 문 대통령, 강경화 외교부 장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판문점공동취재단=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10시15분께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에서 정상회담을 시작했다. 두 정상은 회담 시작 전 한반도 평화를 위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고 성과를 내자는 데 공감했다.

 

문 대통령에 앞서 모두발언을 한 김 위원장은 “만감이 교차하는 속에서 100m를 걸어왔다. 평화와 번영, 북남관계가 새로운 역사를 쓰는 출발선에서 신호탄을 쏜다는 그런 마음가짐으로 여기 왔다”고 밝혔다.

 

이어 “현안 문제와 관심사에 대해 툭 터놓고 얘기하고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자”며 “지난 시기처럼 원점으로 돌아가고 이행하지 못하는 결과보다는 미래를 내다보며 지향성 있게 손잡고 걸어가는 계기가 되자”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우리 만남을 축하하듯 날씨도 화창하다 한반도에 봄이 한창이고 한반도의 봄을 온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며 “전 세계의 눈과 귀가 판문점에 쏠려 있고 남북의 국민, 해외 동포가 거는 기대도 크다. 우리 두 사람의 어깨가 무겁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우리 김 위원장이 사상 최초로 군사분계선을 넘어오는 순간 판문점은 분단이 아닌 평화의 상징이 됐다”며 “국민과 전 세계의 기대가 큰데 오늘의 이 상황을 만들어낸 김 위원장의 용단에 다시 한 번 경의를 표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대화도 통 크게 나누고 합의에 이르러서 평화를 바라는 민족과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큰 선물을 만들어줬으면 한다”며 “하루종일 얘기할 시간이 있는 만큼 10년간 못한 얘기를 충분히 나누자”고 제안했다.

 

판문점공동취재단=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