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평택, 전년 比 수만명씩 늘어...일자리·신도시 개발 성공 공통점 ‘인구 소멸’ 위기 포천·가평·연천...생활인구 유입 강화 집중 계획
경기도가 저출산의 늪에 빠진 가운데 경기 북부 내 ‘인구 소멸 위험’ 시·군들이 화성·평택 등 인구 증가 지자체 벤치마킹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자체는 신도시 개발, 대규모 일자리 등 지역 특색을 무기로 주변 지역 인구를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인데, 인구 감소 시·군도 맞춤형 유입 정책을 펼 수 있도록 경기도가 행정, 재정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뒤따랐다.
5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포천·가평·연천 등은 ‘인구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 현재 관광 지원을 토대로 생활인구 유입에 집중하기로 방침을 정한 상태다.
생활 인구는 통근, 관광 등 특정 목적을 갖고 지역을 왕래하는 모든 유형의 비거주민을 말한다. 인구 감소 요인이 청년 인구 유출인 만큼 단기간 내 주민등록 인구 수 회복이나 출생아 수 확대는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린 데 따른 차선책이다.
실제 포천시와 연천군의 인구는 지난달 30일 기준 각각 14만3천510명, 4만1천639명을 기록, 지난해 동기 대비 3천509명, 514명씩 감소했고 가평군 인구(6만2천125명)도 보합세를 보였다.
이들 지자체는 관광 자원과 주변 교통망 활성화로 지역 왕래, 소비 인구를 먼저 늘린 뒤 이들을 겨냥한 일자리가 창출되면 장기적으로 전입인구 증대와 연계 개발을 꾀한다는 구상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북부 지역에서는 고양·양주, 남부 지역에서는 화성·평택 등 유형별 인구 유입에 성공한 지자체 사례를 벤치마킹할 계획”이라며 “도에도 인구 소멸 위험 지역이 맞춤형 정책을 적극 전개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 강화를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달 말 기준 화성시 인구는 94만1천489명으로 전년 동기(90만8천948명) 대비 3만2천531명 늘었고 평택시 인구도 같은 기간 1만1천650명 증가, 59만185명을 기록했다. 등록 외국인 수는 제외한 수치다.
출생아 수 역시 지난해 12월31일 기준 평택시는 3천926명, 화성시는 6천500명으로 집계돼 도내 최상위권을 보였다.
양 지자체는 인구 및 출생아 수 증대 요인으로 ▲대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대거 창출 ▲신도시 개발 성공 ▲생활인구 유치 전략 강화를 꼽는다.
평택시 관계자는 “평택시의 경우 일자리를 찾아 타지역에서 잠시 머무는 1인 가구나 통근 인구가 많다”며 “이들의 지역 전입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우수한 인구 정책 사례를 타 지자체가 접목할 수 있도록 도 차원에서 지원하는 방안은 아직 없는 상태”라며 “다만 지역 소멸 방지와 출산율 제고를 위해 청년 주거, 산업 단지 유치 및 일자리 창출 등 지역 활성화 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