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경, 관광명소 정비 등 매년 수만명 생활인구 유치 “타 시·도 사례 두루 살펴야”
‘인구 소멸 위험’에 빠진 경기 북부 시·군들이 ‘생활인구 유입’을 자구안으로 추진 중인 가운데, 전문가들은 타 시·도 사례를 두루 살펴 지역 맞춤형 정책 방향을 먼저 설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AI혁신정책센터장은 “시·군별 문화 자원을 십분 활용하는 게 생활 인구를 늘리는 데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실제 소멸 위기 지역인 경북 문경시와 충남 서천군은 관광 명소 정비, 청년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관광 산업 및 청년 창업활성화를 유도, 매년 수만명의 생활인구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접경 지역의 경우 출산율과 인구 규모 간 괴리를 염두에 두고 인구 유입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박건영 덕성여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5일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강원도 양구군의 사례를 제시, “양구군의 경우 지난해 합계 출산율이 1.43명으로 강원도 1위지만 인구는 계속 감소, ‘인구 소멸 위험 지역’으로 지정된 상태”라며 “이는 지역 청년 인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군인, 군무원 등이 출산 후 전근이나 양육 등 이유로 지역을 떠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 교수는 “도내 일부 접경 지역에서 출산율이 높게 집계되는 이유도 작은 인구 규모 대비 높은 군인, 공무원 비율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당 지자체는 이 같은 특성을 감안해 유입, 유출 청년과 기존 주민이 상생할 수 있는 사회 기반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