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밥솥 밥맛, 12시간 보온 후엔 제품마다 달라져

소형 전기밥솥으로 밥을 지을 때 처음 밥맛은 대체로 좋지만, 보온 후 밥맛은 제품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소형 전기밥솥들의 밥맛 품질을 평가한 결과를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시험대상 제품은 총 9개 제품이고, 제조사는 대우어플라이언스대웅신일산업쿠쿠전자(2개 제품)쿠첸(2개 제품)키친아트PN풍년 등 7개사다. 시험 결과, 보온 후 밥맛은 제품에 따라 달랐다. 12시간 보온 후의 밥맛은 7개 제품이 양호했고, 쿠쿠전자(CR-0365FR) 제품이 보통이었다. 대웅(DRC-0608) 제품은 바깥 부분의 밥이 현저히 굳어 보온에 적합하지 않았다. 취반(밥을 지음) 직후의 밥맛은 모든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밥의 식감은 취반방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열판 비압력밥솥은 내솥 아랫부분을 가열하는 취반방식으로 밥의 식감이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고슬고슬했다. 고가인 IH 압력밥솥은 고압에서 고온으로 취반하는 특성으로 단단하고 찰진 경향을 보였다. 취반한 밥의 색은 IH 압력밥솥이 열판 비압력밥솥보다 상대적으로 노란색을 띠었다. 제품설명서에 따라 최대 용량(인분)으로 밥을 지었을 때, IH 압력밥솥의 취반시간(25분, 30분)이 열판 비압력밥솥(40분 ~ 75분) 보다 상대적으로 짧았다. 가격은 열판 비압력밥솥(평균 4만 3천원)이 IH 압력밥솥(평균 22만1천원) 보다 저렴했고, 열판 비압력밥솥 중에서는 전원차단기능과 보유기능이 많은 제품이 비쌌다. 연간 에너지비용(전기요금)을 확인한 결과, 쿠첸(CJH-PA0421SK) 제품은 1만3천원, 키친아트(KAEC-A350HLS) 제품은 2만4천원으로 최대 1.8배 차이를 보였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라벨 표시를 위반한 제품도 있었다. 대우어플라이언스(DEC-CM3500), 대웅(DRC-0608), 키친아트(KAEC-A350HLS) 등 3개 제품은 2018년 변경된 등급(4등급 5등급)라벨로 변경부착하지 않아 의무표시사항을 위반했다. 내솥의 유해물질 용출, 압력전기자기장 등의 안전성 시험에선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반복적으로 마찰시키는 내마모성 시험에서도 내솥 코팅에 이상이 없었다. 민현배기자

한샘의 명품 주방 브랜드 키친바흐, 무늬목 도어 4종 출시

10년 품질 보증 서비스와 사전 서비스(Before Service:B/S)로 품질의 차별화 정책을 펴는 한샘의 명품 주방브랜드 키친바흐가 친환경과 내구성을 더욱 강화한 키친바흐 무늬목 도어 4종을 새로 선보였다. 한샘은 올가을 주방가구 키친바흐의 F/W 신제품 쉘 베이지(Shell Beige)와 제트 블랙(Jet Black), 본 브라운(Bone Brown), 미스티 그레이(Misty Grey) 등 4가지 색상의 무늬목 도어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한샘의 키친바흐 무늬목 제품은 기존 원목 제품보다 소재의 내구성을 강화하면서도 다양한 컬러로 원목의 아름다움을 구현, 디자인적 완성도를 더했다. 특히 이번에 출시한 키친바흐 무늬목 도어는 유럽 내 건식 무늬목 패널 판매 1위 업체인 유로플락(Europlac)사의 프리미엄 오크 무늬목을 사용했다. 쉘 베이지(Shell Beige)는 모래 빛깔의 자연스러운 발색이 특징이고 제트 블랙(Jet Black)은 거친 브러쉬 마감으로 부엌의 특별한 디자인 포인트가 된다. 한샘이 이번에 선보인 키친바흐 무늬목 도어 신제품에는 오스트리아 안료업체 아들러(ADLER)의 친환경 수성도료를 사용, 기름을 섞어 만드는 유성 도장과 달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전혀 없다. 일반적인 수성 도료와 비교해 내수성이 높고 변색과 흠집 등에 강하다는 특징도 갖췄다. 특히 한샘은 키친바흐를 대상으로 지난해 4월부터 B/S 등 사전 점검과 10년 무상 품질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B/S는 문제가 생기면 사후에 처리해주는 A/S와 달리 사전에 정기적으로 점검을 진행,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한다. 키친바흐 B/S 전문기사는 수전과 후드, 쿡탑 등 부엌기기의 작동상태와 경첩 배수구 등 제품의 상태를 점검해 부엌이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샘 관계자는 키친바흐는 세계 최고의 프리미엄 부엌 가구 브랜드의 명성에 걸맞은 수준의 품질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며 고객 만족을 위한 제품 개발과 서비스, 품질 개선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안산

아기 입 닦는 해외직구 휴지에서 메탄올 검출…국산은 안 나와

갓난아기에게 쓰는 구강청결용 물휴지 가운데 일부 해외제품에서 보존제미생물메탄올이 검출됐다. 메탄올은 두통구토시력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유아용 구강청결용 물휴지 13개 제품의 안전성을 점검한 결과, 일부 해외직구 제품에서 벤조산(보존제)이 안전기준을 최대 4.3배 초과해 검출됐다고 17일 밝혔다. 국내에서 허가받은 7개 제품은 모두 안전기준을 준수했지만 해외직구 6개 제품 중 2개 제품에서 국내 허용기준(0.06%)의 1.2배~4.3배 초과한 0.07%~0.26%의 벤조산이 검출됐다. 벤조산은 피부눈호흡기에 자극과 구토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국내 허용기준은 0.06%다. 다른 해외직구 1개 제품에서는 위생관련 지표인 세균과 진균이 각각 2천800개/mL 검출됐다. 또 2개 해외직구 제품에선 5~6ppm의 메탄올이 검출됐다. 벤조산 부적합 제품은 뱀부 베이비 투스 앤 검 와이프스(캐나다), 투스 앤 검 와이프스(미국) 등이다. 미생물이 나온 제품은 내추럴 베이비 검 앤 투스 와이프스(호주)이다. 메탄올이 검출된 제품은 일본산 2개 제품이다. 국내허가 제품에서 보존제 및 미생물과 메탄올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구강청결용 물휴지(의약외품)는 품목허가신고 절차를 거치지만, 해외직구 제품은 이런 절차가 없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는 만큼 구매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민현배기자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3’ 티타늄 모델 18일 출시… 헬스 기능 대폭 강화

삼성전자가 대폭 강화된 헬스 기능으로 호평을 받고 있는 갤럭시 워치3의 티타늄 모델을 18일 국내 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갤럭시 워치3 티타늄 모델은 갤럭시 스마트워치 최초로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티타늄 소재를 적용했다. 길이 조절이 쉬운 프리미엄 메탈 스트랩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갤럭시 워치3 티타늄 모델은 혈압ㆍ심전도(ECG)와 같은 헬스 모니터링부터 피트니스ㆍ수면 관리ㆍ낙상 감지 등 통합된 건강 관리 경험을 제공할 뿐 아니라 골프존데카와 공동 개발한 갤럭시 스마트워치용 골프앱도 기본 탑재했다. 기본 탑재된 스마트 캐디(SMART CADDIE) 앱을 통해 사용자는 골프 라운딩 시 필요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전 세계 95% 골프장의 4만 여개 골프 코스 데이터를 실측ㆍ위성지도ㆍ항공사진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국내 골프 코스의 경우, 고저차 정보ㆍ그린 언듈레이션 등도 제공한다. 또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골프 브랜드 PXG와 협업한 갤럭시 워치3 티타늄 PXG 에디션도 1천대 한정 판매한다. 갤럭시 워치3 티타늄 PXG 에디션은 PXG 로고가 새겨진 스페셜 패키지에 갤럭시 워치3 티타늄 모델과 PXG 골프용품 2종ㆍPXG 전용 스트랩 2종ㆍ충전기ㆍ워치 페이스 등으로 구성됐다. 갤럭시 워치3의 베젤을 모티브로 제작된 볼마커와 디봇툴을 제공하며, 가죽 소재를 수작업으로 완성한 가죽 스트랩과 스포츠 스트랩이 포함돼 다양한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했다. 전용 워치 충전기가 포함되며, 스마트워치와 해당 기능이 지원되는 갤럭시 스마트폰이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있으면 충전 시 PXG 스마트폰 테마와 전용 워치 페이스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된다. 김태희기자

볼보, 4년만에 신형 S90 국내 출시… 사전계약 돌풍

볼보자동차코리아는 플래그십 세단 신형 S90을 국내에 공식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볼보는 홍보대사 손흥민이 등장하는 새 광고도 함께 공개했다. 볼보의 신형 S90은 2016년 국내 출시 이후 4년 만에 선보이는 부분변경 모델로 사전계약만 2천500대를 기록했다. 이번 모델은 정교해진 디자인과 동급 최고의 차체 크기, 넓어진 실내 공간과 혁신 기술, 친환경 파워트레인 등이 특징이다. 전장은 5천90㎜로 이전 모델 대비 125㎜ 늘었고, 휠베이스는 120㎜ 확대됐다. 친환경 파워트레인은 250마력 B5 가솔린 마일드하이브리드와 총 405마력 T8 트윈엔진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및 8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했다. S90 모든 트림에는 어드벤스드 공기 청정기능 및 미세먼지 필터, 대형 파노라믹 선루프, 휴대전화 무선충전(T8 제외) 및 2열 더블 C-타입 USB 등을 탑재했다. 또 모든 트림에는 첨단 안전 패키지인 인텔리 세이프가 도입됐다. 앞 차량과 간격을 유지하며 차선 중앙에 맞춰 조향을 보조하는 파일럿 어시스트 II와 차량보행자자전거대형 동물을 감지하고 교차로 추돌 감지 기능이 추가된 긴급제동 시스템 시티세이프티가 적용된다. 아울러 케어 키 옵션이 국내 최초로 제공된다. 이 키는 과속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주행 가능 최고 속도를 운전자가 사전에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신형 S90의 본격적인 고객 인도는 9월 둘째 주부터 시행된다. 이윤모 볼보자동차코리아 대표는 디자인, 친환경 파워트레인까지 이번 모델을 통해 럭셔리의 진화를 경험해보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민현배기자

코로나19에 경기도 소상공인 매출 '뚝'… 정점 달했던 3월 수준까지 하락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회복세를 보이던 소상공인 매출이 또다시 주저앉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기존 2단계에서 2.5단계로 격상하면서 소상공인 매출 타격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30일 경기일보가 소상공인 카드 결제 정보관리기업인 한국신용데이터의 경기도 내 소상공인 카드 매출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재확산이 시작된 8월 셋째주(17일~23일) 경기지역 소상공인 카드 매출은 지난해 대비 83%까지 쪼그라들었다. 이는 둘째주(지난해 대비 91%)와 비교 시 8% 가까이 급락한 것이다. 소상공인 카드매출이 전주 대비 8% 이상 급락한 것은 코로나 사태 이후 두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앞서 2월 넷째주에는 감염병 위기경보가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서 전주 대비 17% 감소한 바 있다. 이번 소상공인 매출 감소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재확산하면서 감염을 우려한 사람들이 야외활동을 줄이면서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8월 셋째주 소상공인 카드매출은 코로나19가 정점에 달했던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추이를 보면 2월 넷째주(지난해 대비 74%), 3월 첫째주(지난해 대비 78%)에 이어 세 번째로 낮다. 이와 관련 수도권발 코로나19 재확산 이전 경기도 소상공인 카드 매출은 전년 대비 90% 이상 수준을 유지해왔다. 4월 이후 전년 대비 90%대의 매출을 유지하지 못한 적은 기록적인 폭우가 덮쳤던 8월 첫째주(지난해 대비 86%)가 유일하다. 정부와 경기도가 각종 지원금을 지급한 직후인 5월 초에는 작년 대비 매출을 넘어서는 모습도 관측됐다. 한편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수도권에 한해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실시, 음식점과 카페 등의 영업이 제한되면서 현재와 같은 소상공인 매출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김태희기자

삼성전자, 유럽서도 ‘프로젝트 프리즘’… 인공지능 세탁기·건조기 신제품 선봬

삼성전자가 생활가전 사업 비전인 프로젝트 프리즘(Project PRISM)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세탁기ㆍ건조기 신제품과 비스포크 냉장고를 선보이며 유럽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맞춤 세탁ㆍ건조가 가능한 그랑데 AI의 주요 기능을 대거 도입한 신제품을 이달 말부터 영국ㆍ프랑스 등 유럽 주요 시장에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제품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코스와 옵션을 기억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여주는 AI 맞춤추천 ▲세탁기가 빨래 무게를 감지해 물과 세제를 적정량만 자동으로 투입하는 AI 맞춤세탁 ▲세탁 코스에 맞는 건조 코스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AI 코스연동 기능 등이 적용됐다. 이와 함께 삼성 비스포크 냉장고는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색상ㆍ소재를 조합할 수 있으며, 빌트인 제품에 익숙한 유럽 소비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 6월 중국, 8월 러시아 등에 비스포크 냉장고를 출시한 바 있다. 오는 10월에는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에 판매를 시작하고, 내년에 출시 국가를 확대할 계획이다. 양혜순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는 이번 신제품 출시로 유럽 가전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