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태 기자
주택담보대출이 강화되고,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반면 전세시장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안산시(-0.07%), 용인시(-0.06%), 안성시(-0.03%), 고양시(-0.02%), 광명시(-0.01%), 수원시(-0.01%) 등에서 떨어졌다. 안산시는 고잔동 고잔1차 푸르지오, 선부동 주공10단지, 초지동 주공그린빌11단지 등이 150만~1천만원 가량 매매가가 하락했다. 용인시는 신봉동 신봉자이2차, 상하동 강남마을한라비발디 등이 500만~1천만원 가량 떨어졌다. 안성시 공도읍 임광그대가1단지가 500만원 가량, 고양시 탄현동 임광진흥 등도 1천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신도시는 파주운정(-0.12%), 일산(-0.04%), 분당(-0.03%) 등에서 하락한 반면 산본(0.03%), 판교(0.02%), 평촌(0.01%)은 매매가격이 올랐다. 파주운정은 야당동 한빛마을2단지휴먼빌레이크팰리스가 750만원 가량 내렸고 일산은 일산동 후곡18단지현대, 주엽동 강선10단지한양 등이 250만~2천만원 가량 하락했다. 경기지역 전세가는 양주시(0.10%), 의왕시(0.09%), 광주시(0.08%), 안양시(0.06%) 등에서 오름세를 기록했다. 양주시 고읍동 한양수자인, 광사동 한양수자인3단지 등이 500만~1천만원 가량 전셋값이 올랐다. 의왕시 왕곡동 솔거신명, 왕곡동 충무쌍용 등도 500만~1천만원 가량, 광주시 곤지암읍 킴스빌리지도 750만원 가량 상승했다. 신도시는 분당(0.02%), 일산(0.02%), 동탄(0.01%), 판교(0.01%) 등에서 전세가격이 오름세를 보였다. 분당 구미동 무지개LG, 무지개청구 등이 250만원 가량, 일산 일산동 후곡11단지주공, 후곡12단지주공 등이 250만~500만원 가량 상승했다. 인천지역은 간석동 우성이 250만원 가량 매매가가 떨어진 반면 경서동 청라롯데캐슬은 500만원 가량 전세금이 올랐다. 김규태기자
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직무대행 이기만)는 지난 4일 수원 광교신도시내 신풍초교 및 광교중앙역 주변에서 ‘3월 대국민 안전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지역난방공사와 수원남부경찰서, 수원영통구청, 신풍초교 등 4개 기관 관계자 40여명이 참석,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의 안전사고 예방 숙지 및 학교생활에서 지켜야 할 안전수칙 홍보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김규태기자
민간이 만드는 새로운 복합 창업 문화공간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꿈을 만나는 창업카페 퀘스천(Question, 법인명 (주)알천드림)’이 중국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송승민 퀘스천 대표는 6일 오후 수원 인계동 창업카페에서 송수근 신코니(SINCONI)그룹 회장을 만나 창업카페 퀘스천의 비전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신코니그룹은 지난 1992년 설립돼 중국을 기반으로 성장해 현재 홍콩, 일본, 미국 등 10개국에서 제조업과 교육사업 등을 벌이는 다국적기업이다. 송 회장은 이 자리에서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미래 창업CEO를 키우겠다는 퀘스천의 미래 비전을 높게 평가한 뒤 국내 자금 지원과 중국 시장 진출을 돕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송 회장은 “신코니그룹은 중국과 홍콩 등에서 20여년간 활동한 다국적 기업인 만큼 중국내 네트워크를 활용해 창업카페 퀘스천이 중국에서도 통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겠다”면서 “늦어도 올해 상반기 내에는 퀘스천이 중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중국 정부 관계자들과 협의에 나서는 등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송승민 대표는 “앞으로 더 많은 창업 아이템을 개발해 중국에서도 창업카페 퀘스천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면서 “신코니그룹의 지원은 그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퀘스천은 이날 제1기 퀘스천 회원 및 창업에 관심 있는 일반인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정식모임을 갖고, 송수근 회장을 퀘스천 고문으로 추대했다. 김규태기자
정확도가 현저히 낮은 도해지적(그림지적)을 수치지적으로 옮기는 사업이 시행된다. 국토교통부는 도해지적을 수치지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도해지적 수치화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12개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실험사업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실험사업 대상은 한국국토정보공사(LX)의 12개 지역본부가 각 1곳씩 선정해 결정하게 된다. 도해지적은 토지경계가 종이도면에 점과 선으로 표현된 지적이며, 수치지적은 토지경계의 위치가 좌표로 등록된 지적이다. 도해지적은 수치지적에 견줘 정확도가 낮다. 축적이 1대 1천200인 도해지적은 종이도면상 경계선 굵기가 0.1㎜만 굵어져도 실제 지상에서는 12㎝나 차이 나게 된다. 국토부는 이번 실험사업을 시작으로, 내년 시범사업과 2018년 확산사업을 시행해 도해지적의 수치지적 전환을 전국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규모 토지개발사업 등에 대한 토지경계를 좌표로 등록하는 제도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지만 진행이 더뎠다”면서 “이번에는 무인기를 활용해 광범위한 범위를 수치화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수치지적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같은 행정구역내에 2번 이상 분양에 나서는 동일 브랜드 아파트인 ‘시리즈 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기존 분양에 따른 상품성을 인정 받아 매매가격이 높게 책정되는데다가 각종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어 생활 편의성도 높기 때문이다. 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우건설ㆍ대림산업 등이 9개 단지, 7천52가구 규모의 ‘2차’ 단지 분양에 나선다. ■ 대우건설, 평택비전 푸르지오 1차 이어 2·3차 분양 주목 대우건설은 이달 중 528가구 규모의 ‘평택 비전 2차 푸르지오’ 분양에 나선다. 전용면적 59~104㎡, 지하 2층, 지상 18~23층, 아파트 7개 동으로 조성되며 저층 세대 일부에 추가 발코니를 제공한다. 수서발 KTX 개통, 삼성전자 고덕산업단지 조성, 주한 미군부대 이전 등의 호재가 있다. ‘평택 비전 1차 푸르지오(761가구)’의 후속 단지로, 2차 물량과 연내 분양 예정인 3차 물량을 합하면 총 1천925가구 규모의 브랜드 타운이 조성된다. ■ 생활편의시설 풍부·흥행 보장… 대림·한화·우미건설 등 공급 채비 대림산업도 이달 중 1천160가구 규모의 ‘e편한세상 양주신도시 2차’ 분양에 들어간다. 전용면적 60~85㎡, 지하 1층~지상 26층의 아파트 8개 동이다. 단지가 들어서는 A-18블록은 시범지구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 한화건설은 다음달 1천70가구 규모의 ‘김포유로메트로 2차’, 우미건설은 오는 5월 1천298가구 규모의 ‘동탄린스트라우스 2차’를 각각 분양한다. 1차 물량을 더하면 ‘김포 유로메트로’는 2천35가구, ‘동탄린스트라우스’는 1천915가구의 대단지 브랜드 타운을 형성하게 된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시리즈 아파트는 1차 분양에 참여한 소비자들에 의해 상품성이 미리 검증됐고, 문화시설이나 근린생활시설 및 교통ㆍ교육 인프라 등이 잘 갖춰져 있다”며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망세가 이어지는 등 어려움 속에서도 실수요자들 사이에서 시리즈 아파트에 대한 인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앞으로 실수요만 검증되면 공급 규모와 관계없이 물류단지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6일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제 도입 근거를 마련한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후속조치로, 입주 수요의 타당성과 사업자의 사업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세부운영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 때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정량평가 비율을 20%에서 50%로 상향 조정했다. 입지수요 타당성과 사업 수행능력을 평가해 항목 점수가 50% 이상을 충족할 경우 실수요로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실수요 검증반도 검증반장을 포함해 10명 전원을 민간 전문가로 구성한다. 현재까지는 통과 여부만 통보했으나 인정을 받지 못한 경우 그 사유도 구체적으로 알려주도록 했다. 이번에 입법예고 되는 개정안은 관계기관 협의, 법제처 심사 등 입법 후속 절차를 거쳐 다음달 공포ㆍ시행될 예정이다. 김규태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가 올해 공공부문에 872건, 10조7천억원의 공사 및 용역을 발주한다. LH는 6일 “중국 및 자원수출 신흥국의 성장률이 둔화되고 소비침체와 부동산시장 위축 우려 등 국내외 경제여건이 좋지 못하다”면서 “행복주택 등 정책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정부의 투자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올해 공공부문에서 최대 규모의 발주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를 위해 LH는 민간공동사업과 리츠 등 자체사업비 부담을 줄이면서 민간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사업방식을 다각화한다. 기업형 임대주택인 뉴스테이 등 정부정책과 연계한 신규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발주 규모별로는 300억 이상인 대형공사가 79건, 6조3천억원으로 전체 발주금액의 59%를 차지한다. 종합심사낙찰제 적용대상도 총 35개 공사, 2조7천억원 규모다. 공종별로는 건축과 토목공사가 각각 5조6천억원, 2조3천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전기ㆍ통신공사가 1조6천억원, 조경공사가 8천억원 등의 순이다. 분기별로는 1분기에 1조4천억원, 2분기에 3조원으로 상반기에 41%를 발주한다. 3ㆍ4분기 발주액은 각각 4조원, 2조3천억원이 배정됐다. 지역별 발주액은 서울 및 수도권에 6조3천억원, 세종시 1조2천억원, 그 밖의 지역에 3조3천억원이다.이달 발주하는 주요 공사 가운데 조성공사로는 600억원 규모의 의정부 고산, 530억원 규모의 과천지식, 450억원 규모의 세종시 6-4생활권, 380억원 규모의 내포신도시 1-2공구, 3-1공구 공사가 예정돼있다. 또 같은달 환경시설로는 420억원 규모의 시흥장현 수질복원센터 공사를 발주한다. 판교창조밸리 공공지식산업센터 공사(850억원 규모), 창원자은3 1개블록 공동주택 공사(1160억원 규모) 등도 포함돼있다. LH 관계자는 “올해 대규모 발주를 통해 일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업계에 숨통이 트이길 기대한다”며 “행복주택과 뉴스테이 등 정책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정부의 경제살리기에 적극 일조하겠다”고 말했다.자세한 사항은 LH 홈페이지의 전자조달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규태기자
봄 성수기에 접어들었지만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분양 시장도 주춤하고 있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3월 둘째주에는 전국에서 1곳이 청약을 받고 견본주택 7곳이 문을 연다. 9일에는 롯데건설이 안산시 고잔동 일대에 공급하는 ‘고잔 롯데캐슬 골드파크’가 청약을 받는다. 지하 3층, 지상 29층 9개 동, 전용면적 49∼84㎡ 1천5가구 중 224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11일에는 대림산업이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 일대에 공급하는 ‘e편한세상 테라스 오포’의 견본주택이 문을 연다. 지하 4층, 지상 18층 15개 동, 전용면적 76∼122㎡ 573가구로 구성된다.
△소재지: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810-3 삼성1차 2동 2층 201호 △감정가: 1억9천700만원 △최저가: 1억3천790만원 △대지면적: 31㎡ △건물전용면적: 55㎡ △매각기일: 3월10일 △이용상태: 소유자 점유 △소재지: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계원리 303 극동 111동 3층 301호 △감정가: 2억6천300만원 △최저가: 1억8천410만원 △대지면적: 44㎡ △건물전용면적: 85㎡ △매각기일: 3월10일 △이용상태: 낙찰자 인수사항 없음 △소재지: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528-14 한솔강변마을 102동 11층 1103호 △감정가: 2억6천300만원 △최저가: 1억8천410만원 △대지면적: 20㎡ △건물전용면적: 56㎡ △매각기일: 3월10일 △이용상태: 소유자 점유 △소재지: 남양주시 화도읍 묵현리 625 마석역신도브래뉴2차 206동 1204호 △감정가: 3억5천500만원 △최저가: 2억4천850만원 △대지면적: 79㎡ △건물전용면적: 124㎡ △매각기일: 3월10일 △이용상태: 후순위 임차인 점유 △소재지: 하남시 덕풍동 692 하남한솔솔파크 108동 6층 602호 △감정가: 3억8천만원 △최저가: 2억6천600만원 △대지면적: 35㎡ △건물전용면적: 85㎡ △매각기일: 3월14일 △이용상태: 낙찰자 인수사항 없음 △소재지: 김포시 풍무동 764 풍무자이 501동 4층 403호 △감정가: 4억2천500만원 △최저가: 2억89천750만원 △대지면적: 72㎡ △건물전용면적: 133㎡ △매각기일: 3월15일 △이용상태: 후순위 임차인 점유 △소재지: 수원시 권선구 구운동 890 코오롱하늘채 105동 10층 1003호 △감정가: 3억9천만원 △최저가: 2억7천300만원 △대지면적: 61㎡ △건물총면적: 134㎡ △매각기일: 3월15일 △이용상태: 소유자 점유 △소재지: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213-3 삼성그린빌 나동 2층 201호 △감정가: 1억3천만원 △최저가: 9천100만원 △대지면적: 24㎡ △건물전용면적: 51㎡ △매각기일: 3월17일 △이용상태: 낙찰자 인수사항 없음 △소재지: 의정부시 녹양동 374-9 녹양파크빌 A동 2층 203호 △감정가: 1억2천만원 △최저가: 8천400만원 △대지면적: 23㎡ △건물전용면적: 37㎡ △매각기일: 3월11일 △이용상태: 후순위 임차인 점유 △소재지: 안성시 양성면 난실리 34-1 △감정가: 1억5천540만원 △최저가: 1억880만원 △토지면적: 2507㎡ △매각기일: 3월18일 △이용상태: 농지취득자격증명서 제출 필요
개청 50주년을 맞은 국세청(청장 임환수)이 기념행사를 열고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국세청은 제50회 ‘납세자의 날’이자 개청 50주년인 3일 세종청사에서 기념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를 통해 국세청은 개청(1966년), 부가가치세 시행(1977년), 국세통합정보시스템(TIS) 구축(1997년) 등 큰 발자취를 남긴 ‘국세청 발전 10선’을 선정하고, 관련자들에게 기념패를 수여했다. 또 기획재정부로부터 모범납세자 표창을 받은 배우 최지우씨와 조인성씨 등 2명을 국세청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특히 국세청은 이날 국민 공모를 거쳐 선정한 50주년 기념 엠블렘과 슬로건 ‘국민과 함께 희망찬 미래’를 공식 선포했다. 임환수 청장은 기념사를 통해 “국세청이 명실상부한 국가 중추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국민의 적극적인 성원과 변함없는 성실납세에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국민과 함께 호흡하면서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도약과 미래 100년을 위한 초석을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김규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