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3사 재연 프로그램 '뒷말 무성'

시청자로부터 특이하고 흥미있는 사연을 받아단편 형식으로 꾸미는 이른바 재연 프로그램이 방송 3사에 넘쳐나고 있다. MBC ‘타임머신’ ‘신비한 TV서프라이즈’ ‘꿈꾸는 TV 33.3’, KBS ‘러브스토리’ ‘기적체험 구사일생’, SBS ‘깜짝 스토리랜드’ ‘우리들의 영웅’등 열거한 프로그램만 해도 3사가 2개 이상씩을 방송중이다. 이 프로그램의 홈페이지 및 방송사 메인 화면에 ‘시청자 제보’란이 눈에 잘 띄게 배치해놓은 것도 재연 프로그램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시청자의 사연 및 제보가프로그램 제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시청자를 수동적인 수용자 위치에서 참여자 혹은 제작자의위치로 격상시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비슷한 포맷의 프로그램이 만연하다 보니 웃지못할 해프닝이 발생하기도한다. 11월 24일 오전 11시대에 방송된 KBS 2 ‘기적체험 구사일생’과 MBC ‘신비한TV서프라이즈’에는 같은 시간대에 동일한 제보자가 화면에 나와 시청자를 어리둥절하게 했다. ‘혹시 짜고 하는 것 아니냐’는 네티즌의 의혹이 제기되자 급기야 제작진 뿐만아니라 제보자 본인이 직접 해명에 나섰다. 몇달 사이를 두고 두 방송사에 제보한다른 사건이 공교롭게도 같은 날짜에 전파를 탔타는 것.시청자의 사연 중 흥미위주의 자극적인 소재가 주로 채택되는데 대한 비판적 견해도 적지않다. 지난 8일 방송된 SBS의 ‘깜짝 스토리 랜드’의 세번째 코너 ‘사건파일! 범인을사랑한 피해자들!’은 강도,강간 행각을 벌이던 범인에게 피해를 입은 여성 3명이 범인을 동시에 사랑한다는 내용을 방송했다. 방송이 나간 뒤 “여자들이 성폭행 당하는 것을 좋아하는 걸로 오해를 살 수 있다”, “모방범죄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게시판에 잇따라 올라왔다. ‘매체비평 우리스스로’의 조은숙 부장은 “시청자 제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대부분의 재연프로그램들이 타 프로그램과 차별화를 내세우기 위해 과장되거나 흥미위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를 위해 재연프로그램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조선시대 관리 생활은 어땠을까'

조선시대 관리들은 입궐한 뒤 점심은 어디서 먹고 연봉은 얼마나 받았고 휴가는 며칠이나 썼을까? 7일 밤 8시에 방송되는 KBS ‘역사스페셜’은 하급관리에서 병조판서까지 거친 조중회가 45년간의 관직생활을 기록한 ‘입조일기(入朝日記)’를 통해 조선시대 관리의 일상을 소개한다. 조선시대 모든 양반자제의 꿈은 과거급제. 그러나 과거급제 이후에는 혹독한 신고식인 ‘면신례’가 기다리고 있다. 벌주, 얼굴에 오물칠하기, 광대짓 등의 각종 육체적 학대 뿐만 아니라 선배들에게 값비싼 술과 음식을 접대하느라 가산을 탕진하기도 했다. 관리들의 출근길은 일반적으로 가마를 타는 모습이 연상되나 품계가 낮은 경우 걷거나 당나귀를 타고 출근하기도 했다.조선관리들은 여름에는 오전 5∼7시, 겨울에는 오전 7∼9시 출근했고 매월 6차례 임금이 주재하는 조회가 열리는 날은 새벽 3∼5시까지 출근해야 했다. 또 조선시대는 일반적으로 아침과 저녁 하루 2식이 기본이었다고 한다.결국 조선관리들은 점심을 굶었고, 대신 퇴근후 관리들의 저녁시간은 화려했다. 회식은 관청, 관리의 집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이뤄졌다.또 조선관리들은 지금 공무원처럼 박봉을 겪어야 했다. 과거급제 후 조중회가 받은 첫해 연봉은 쌀 3석, 현미 15석, 차조 2석, 백태 5석, 밀 3석, 정포 7필 등이다.지금 가격으로 환산하면 대략 1천416만원.당시 일반적 양반가의 가족수와 부리던 노비를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액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급제에 매달렸던 이유는 4대에 걸쳐 관리를 배출하지 못하면 후손들은 더 이상 양반신분을 유지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인사관리는 매년 6월과 12월 관리에 대한 인사고과 종합심사인 도목정이 실시됐다.인사고과에 대한 기준은 경국대전에서 명확하게 규정돼 있었고 평가는 근무실태 조사로 이뤄졌다. 하루 관청에 나오지 않으면 이름밑에 동그라미를 치고 20일을 나오지 않으면 파면시켰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