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7명은 근무시간 외에도 일 걱정이나 압박감을 느끼는 ‘업무 강박증’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최근 직장인 691명을 대상으로 ‘업무 강박증’을 조사한 결과, 66.4%가 근무시간 외에도 업무 고민 및 압박감에 시달리는 강박증을 겪는 것으로 응답했다고 6일 밝혔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과장급’이 83.2%로 가장 높았고, 이어 ‘대리급’(66.9%), ‘부장급 이상’(65%), ‘사원급’(61.7%) 순이었다. 업무 강박증에 시달리는 이유로는 ‘해야 할 일이 많아서’(58.6%·복수응답)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일을 다 못 끝낼 때가 잦아서’(30.1%), ‘인정받으려면 어쩔 수 없어서’(25.1%), ‘성과 달성에 대한 부담이 커서’(24.8%), ‘상사의 기대에 압박을 느껴서’(20.7%), ‘상시로 업무 대화를 주고받아서’(19.4%), ‘직무 특성상 업무시간과 관계없어서’(18.5%), ‘일 욕심이 있는 편이라서’(18.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업무 강박증의 강도는 ‘약간 예민한 수준’이 49.2%로 가장 많았지만, ‘걱정할 만한 수준’(36.6%), ‘매우 심각한 수준’( 14.2%)이라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이처럼 업무 강박증에 시달리는 직장인 가운데 95.9%는 강박증이 신체적 질병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구체적으로는 ‘극심한 피로감’(68.4%·복수응답), ‘잦은 분노와 짜증’(53%), ‘수면장애’(48%), ‘두통’(41.1%), ‘의욕상실’(37.7%), ‘위장장애’(33%), ‘폭식’(25.7%), ‘우울증, 공황장애 등 정신질환’(17.7%) 등의 증상이 있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지나치게 업무에 치중하다 보면 질병뿐 아니라 번 아웃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행복한 삶은 물론 업무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도 일과 삶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적절한 휴식과 여유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자연기자
취업·창업
정자연 기자
2017-03-06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