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태 기자

kkt@kyeonggi.com

잘 고른 중고 새상품 안부러워?

경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새 상품을 구입하는데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중고나 리퍼브(보수를 거친 전시반품 제품)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24일 온라인 쇼핑사이트 G마켓(www.gmarket.co.kr)이 올해 들어 이달 22일까지 중고상품 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늘었다. 특히 중고 가전(난방냉방청정)의 경우 작년동기의 18배(1,767%)로 불어났다. 이밖에 컴퓨터 부품(276%), 태블릿게임(217%), 카메라 렌즈(150%), 도서(57%), 휴대전화(40%) 등도 중고 시장에서 수요가 급증했다. 같은 기간 11번가(www.11st.co.kr)의 중고상품 전문관 중고스트리트의 거래량도 50% 증가했다. 품목 중에서는 특히 헬스다이어트 용품(432%), 건강실버용품(295%), 스포츠의류운동화(135%) 등의 거래가 작년동기의 2~5배로 불었고, 중고 수입명품(117%) 거래량도 두 배를 넘어섰다. 현재 중고스트리트에 등록된 물품 수는 약 100만개로, 작년보다 40% 정도 늘어난 상태다. 지난해 7월 모바일 중고장터 앱 서비스를 강화한 옥션(www.auction.co.kr)의 올해 중고물품 증가율은 20% 정도였지만, 건강다이어트 식품(435%)이나 이어폰헤드폰스피커(388%), 보디헤어향수(302%), 미씨직장여성 의류(278%) 등의 거래는 4~5배로 급증했다. 특히 옥션에서는 올해 들어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나 많은 리퍼브 제품이 팔렸다. 태블릿 PC 판매량(880%)이 무려 10배로 늘었고, TV홈시어터 등 비싸고 부피도 큰 리퍼브 가전제품도 72% 증가했다. 블랙박스하이패스 등 차량용 전자제품, 전기밥솥 등 리퍼브 생활가전을 찾는 소비자도 지난해보다 각각 186%, 55% 많았다. 현재 옥션에서는 양문형 냉장고드럼세탁기김치냉장고 등 고가대형 가전 뿐 아니라 만능 리모컨미니냉장고전화기등 소형 가전까지 모두 9천500여개 리퍼브 제품이 팔리고 있다.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 유통업체들도 급증하는 중고 상품 수요에 주목하고 활발하게 관련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13~19일 본점에서 전시반품 후 보수를 거친(리퍼브) 전자제품들을 30~70% 싸게 판매했다. 백화점 측은 디지털 가전 전시상품(리퍼브) 대전의 최종 매출이 목표를 20%나 웃돌았다고 설명했다. 모뉴엘 청소기제빵기는 각 400대 이상 팔렸고, ASUSHP 노트북 등도 2~3일만에 모두 매진됐다. 옥션 관계자는 장기 불황으로 중고를 찾는 소비자가 늘자 온라인쇼핑업체들도 중고거래 시스템(플랫폼)을 개선해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강화하고 안전거래신용카드 결제를 지원하는 등 더욱 쉽게, 안심하고 중고 제품을 사고 팔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수원상의, 지역 중소기업 맞춤 경영 컨설팅 지원

수원상공회의소가 수원시와 공동으로 지역내 중소기업이 스스로 회사 발전에 필요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지원 사업을 실시한다. 24일 수원상의에 따르면 상의는 그동안 타 기관에서 실시한 컨설팅 지원 사업이 정해진 인력풀에서 횟수의 제한을 받는 자문 수준이었다고 판단, 올해부터 수원지역 중소기업이 회사 성장에 필요한 전문 분야(법률, 세무, 회계, 인사, 특허, 마켓팅 등)에 대한 전문가 컨설팅을 스스로 선택해 비용(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수원상의는 최근 컨설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참여기업이 선정한 전문가가 소속된 기업과 3자 협약을 맺었으며, 앞으로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컨설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자문 내용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수원상의 관계자는 5년 차 창업기업 생존율이 30%에 불과할 정도로 데스밸리는 창업 성공에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업 참여 대상은 수원시에 주 사업장을 둔 50인 이하 중소기업으로, 수원상의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 받아 작성 후 신청하면 된다.(문의처:수원상의 조사개선팀, 031-244-3453) 김규태기자

대형마트, 최근 3년간 영업이익 급감

대형 할인마트들이 의무휴업 규제와 지속되는 내수 침체 등의 영향으로 최근 3년간 영업이익이 급감하는 등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23일 대형마트 3사에 따르면 롯데마트의 지난해 매출은 5조9천900억원으로, 2013년(6조4천600억원)보다 7% 가량 줄었다. 영업이익도 3천160억원에서 2천240억원으로 29% 급감했고, 영업이익률은 4.9%에서 3.7%로 1.2%p나 떨어졌다. 롯데마트의 연도별 매출은 ▲2012년 6조4천650억원 ▲2013년 6조4천600억원 ▲2014년 5조9천900억원으로, 2012년 이후 2년 연속 줄었다. 하지만 2011년과 2012년 사이 점포 수가 7개나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3년 연속 역성장이라는 게 롯데마트 측의 설명이다. 특히 2011년 3천610억원이던 영업이익 역시 2012년 4월 의무휴업(한달 중 이틀)이 적용된 이후 3년째 내리막이며 영업이익률도 2010년 6.2%에서 불과 4년 사이 절반 가량인 3.7%로 추락했다. 홈플러스의 상황도 마찬가지로 영업이익은 ▲2012년 -21.2% ▲2013년 -24.4% ▲2014년 -0.1% 등으로 3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영업이익률(3.3%)도 2011년(6.4%)과 비교하면 3년새 무려 48%나 떨어졌다. 업계 1위인 이마트 역시 2011년 8%대(8.5%)에 이르던 영업이익률이 지난해 6%대(6.1%)로 하락했다. 업계는 이처럼 수익성이 크게 나빠진 것에 대해 공통적으로 내수 침체와 의무휴업 규제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고 있다. 지난 2012년 이후 한달 중 주말 이틀, 1년 22일 이상 문을 닫으면서 매출이 급감한 반면 인건비나 점포 유지비 등 고정비용은 줄지 않거나 오히려 늘었기 때문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휴업 일수가 20일이 넘는데다 대부분 주말이어서 매출 손실이 크다며 특히 내수까지 얼어붙은 상황이라 마트 영업은 거의 한계에 이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aT, 창조경제 시대 농식품 산업 발전을 위한 전체 자문회의 개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는 2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창조경제 시대 농식품 산업의 과제와 유통ㆍ수급ㆍ수출ㆍ식품 분야와 관련된 전체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허태웅 농림축산식품부 정책기획관, 윤석원 중앙대 교수 등 각계각층의 자문위원 200여명이 초청돼 농수산식품의 창조적 가치 창출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자문을 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또 참가자들은 중장기 정부의 농정운영 방향과 농식품 산업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방안, aT의 역할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이와 함께 임마뉴엘 페스트라이쉬 교수의 한국인만 모르는 한국인의 강점과 비전이라는 주제의 특강을 통해 외국인 박사가 느낀 글로벌 시대 한국인의 강점을 명쾌하게 제시함으로써 참가자들과 함께 창조적 사고와 행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재수 aT 사장은 이번 전체 자문회의를 통해 모아진 다양한 의견은 공사 경영과 사업에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aT는 유통개선과 수급관리, 수출진흥, 농식품산업 육성 등 주요 정책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지난 2012년부터 농업ㆍ식품ㆍ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업별ㆍ지역별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 김규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