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피해불구 올해 농사 대풍

올해 2차례에 걸친 태풍피해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내 쌀농사가 지난 87년이래 대풍작을 거뒀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지원장 홍석문)은 지난 10일 도내 520개 표본필지에 대한 쌀예상량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59만2천45t(411만1천석)보다 2.5%인 1만4천561t(10만1천석)이 늘어난 60만6천606t(421만2천석)이 생산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14일 밝혔다. 또 1㎡당 포기수는 22.3개, 포기당이삭수는 21.9개, 이삭당 낟알수는 66.5개 등으로 1㎡당 총낟알수가 지난해 3만438개보다 6.7%가 증가한 3만2천477개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10a당 생산량이 지난 87년 414㎏보다 79㎏이 늘어난 493㎏를 기록하는 등 대풍작을 거둘 것으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은 내다봤다. 2차례에 걸친 태풍피해에도 불구하고 올해 쌀농사가 대풍을 거둔 것은 휴경지와 유휴지의 생산화 등으로 벼재배면적이 지난해 12만2천674㏊보다 0.2%가 증가한 12만2천973㏊에 달하고 있고 도가 3포기 더심기 운동을 전개, 10a당 수확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게다가 지난 8·9월 태풍 ‘앤’, ‘바트’의 피해시 쓰러진 벼를 신속히 일으켜 세우고 수확기에 있는 벼는 조기에 수확했는가 하면 벼멸구와 이삭도열병이 지난해보다 10% 수준에 그치는 등 연중 병해충발생이 크게 줄은 것도 대풍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은 “올해 경기도의 쌀생산량이 지난해보다 늘어남에 따라 내년도 쌀가격 및 수급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 농업기술원은 올해와 같이 생식생장기의 태풍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앞으로 숙기별 품종을 안배해 재배토록 하고 수량이 많고 도복에 강하며 미질도 우수한 양질다수성 품종을 확대 보급하며 재해에 대비한 벼재배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다. /정근호·유재명기자

김용환의원 신당창당설에 술렁

자민련 김용환의원의 ‘벤처신당설’에 충청권 및 영남권 의원들이 술렁거리고 있다. 당지도부나 총리실의 무덤덤한 반응과는 달리 갖가지 계산을 통해 자신들의 실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복잡한 계산을 할 수 밖에 없고 결론을 쉽게 도출해낼 수 없는 것은 2여 합당문제와 선거구제 문제 등이 유동적이기 때문. 내년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어느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유리할 것이냐를 따지기 ㅇ전에 먼저 이같은 문제들의 매듭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김의원의 신당에 누가 참여하게 될지, 어느정도가 따라나설지는 아직 아무도 확언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현욱사무총장은 “충청권의 기본정서가 김종필총리를 중심으로 단합해야 한다ㅡ는 것인 만큼 충청권 의원들의 동요는 것의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힌 것도 아직은‘유동적인 상황’이 의원들을 쉽게 움직이게끔 할 수 없다는 판단때문이다. 충청권의 정일영, 이완구의원 등도 “합당문제가 결론난 것도 아닐 뿐더러 정치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며 김의원의 신당애드벌룬에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합당반대, 소선거구제 지지론자인 이원범의원은 “합당하면 합류하지 않을 충청권 의원들이 많을 것”이라며 김의원의 ‘벤처신당’에 동조하는 세력이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당장 내년 16대 총선에서 충청권 의원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소선거구제를 유지해야 하고, 내각제 유보로 인한 지역민심이 국민회의에 부정적인 만큼 ‘합당’시 합류하는 것은 ‘자살행위’라는 것이다. 이같은 기류는 영남권의원들도 마찬가지. 대체로 중선거구제를 지지하고 있는 이들은 ‘중선거구제가 실제로는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오히려 김의원의 벤처신당이 한나라당과의 연대가능할지에 촉가을 곤두세우는 모습이

1기가 플래시메모리 반도체 개발

삼성전자는 대용량 휴대용 저장매체인 1기가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제품은 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점이 특징으로, 인터넷 오디오인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팜(Palm)PC 등에 탑재돼 사용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저장매체로 고해상도 사진 560장, CD수준의 고음질 음악 32곡을 저장할 수 있는 차세대 NAND형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이다. 삼성전자는 D램 공정기술을 활용해 회로선폭 0.15㎛(1미크론은 100만분의 1㎜) 기술을 적용, 경쟁업체에 비해 6개월-1년 정도 앞서 개발에 성공했으며 기존의 64메가, 128메가, 256메가 플래시메모리 제품공정에 이 기술을 용용, 기존제품의 원가경쟁력을 높여 나갈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미세회로 공정기술을 이용, 2001년 512메가 플래시 메모리와 128메가급 스마트미디어 카드로 본격 양산할 예정이며 1기가 플래시메모리는 2002년부터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세계 시장에서 데이터 저장용 플래시메모리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올해 매출액 2억달러에서 2002년에는 8억달러로 확대, 세계 1위자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용인=강한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