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확진자 수 602명, 경기 161명… 나흘만에 다시 600명선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나흘 만에 600명대로 올라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602명 늘어 누적 14만5천692명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16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4만622명으로 늘었다. 도내 주요 감염사례를 보면 화성시에서는 8일 어린이집 원아 3명과 가족 2명 등 5명이 확진되면서 이와 관련된 도내 누적 확진자가 모두 10명이 됐다. 부천시 한 레미콘업체에서는 직원 가족 3명과 지인 1명 등 4명이 전날 확진돼 7일 이후 관련된 도내 누적 확진자가 10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안성시 농수산물 물류센터와 관련해서도 확진자가 3명 더 늘어 5일 확진자가 처음 나온 이후 누적 확진자가 29명으로 늘었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가 87명(54.0%)이고,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환자는 53명(32.9%)으로 집계되는 등 곳곳에서 일상감염이 지속됐다. 한편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점차 속도를 내면서 방역 신뢰 국가와 단체여행을 허용하는 트래블 버블(Travel Bubbleㆍ여행안전권역)을 본격 추진한다. 이르면 다음 달부터 트래블 버블이 가능하도록 협정 체결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현재 검토되는 국가는 싱가포르, 괌, 사이판 등이다. 김태희기자

신규확진 454명, 경기 130명… 이틀연속 400명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400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54명 늘어 누적 14만5천91명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130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4만461명으로 늘었다. 주요 감염사례를 보면 안성시 농수산물 물류센터와 관련해 직원 8명과 가족 2명 등 10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아 지난 5일 확진자가 처음 나온 이후 사흘 새 관련 확진자가 26명으로 늘어났다. 수원시 교회 관련해서는 확진자가 2명 더 늘어 지난달 28일 이후 도내 누적 46명이 됐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가 71명(54.6%)이고,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환자는 36명(27.7%)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내주부터 적용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이 오는 11일 발표될 예정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지난 3주간 진행해 온 현행 거리두기(수도권 2단계ㆍ비수도권 1.5단계)를 다음 3주 동안 어떻게 할지 발표할 예정이라며 금요일 오전 11시에 (관련) 브리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7월부터 거리두기 근본 개편안을 적용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만큼 현행 거리두기 단계와 5인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는 이달 말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김태희기자

코로나 신규확진 677명, 경기 192명… 엿새만에 다시 600명대

코로나19 신규확진자 수가 엿새만에 다시 600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77명 늘어 누적 14만1천476명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19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3만9천389명으로 늘었다. 도내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고양시의 한 교회에서 교인 1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아 관련 누적 확진자가 11명으로 늘어났다. 방역 당국은 이 교회에 오는 6일까지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리고 관련자 80여명을 검사 중이다. 화성시 요양병원 관련해서는 직원과 간병인 등 2명이 추가로 확진돼 지난달 29일 선제검사 과정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누적 확진자가 13명이 됐다. 부천시 견본주택과 관련한 확진자도 1명 더 늘어 지난달 15일 이후 총 16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는 92명(47.9%)이고, 감염경로가 불명확해 조사 중인 신규 환자는 85명(44.3%)으로 집계됐다. 한편 오는 4일부터는 코로나19 잔여백신이 주로 60세 이상에게 배정된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6074세 어르신에 대한 접종 사전예약이 3일 마무리되면 그 이후로는 60세 이상에만 잔여백신을 배정하는 방향으로 위탁의료기관 예방접종 시행지침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김태희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