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복사골문학회 거듭나기

“3·1운동은 목숨을 내걸고 잃어버린 내 나라를 찾고자 하는 국민들의 자발적인 의지이자 행동이었지. 모든 것을 초월해 온 민족이 하나로 뭉칠 수 있었던 3·1운동 정신이 퇴색되어 가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야.” 3·1운동 당시 지역 독립운동의 선도적 역할을 한 화성군 장안면 수촌리 마을의 마지막 생존자 김영옥옹(89). 8세의 나이에 3.1운동을 체험한 김옹은 81년전 기억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그때의 뜨거웠던 함성과 피끓던 독립의지를 떠올리다가도 부패한 현 정치권과 국민들의 흐릿한 기치관을 거론해 가며 3·1 정신이 점차 희미해져 가는 것을 못내 안타까워 했다. “3·1운동이 일어나자 한달뒤에 수촌리에도 만세물결이 밀려왔어. 온 주민들이 밤새 만든 태극기와 ‘수촌리’라고 쓴 플래카드를 들고 앞장서서 거리로 뛰어나갔지” 수촌리의 열정적인 독립운동은 교회의 영향이 컸다. 1905년에 김옹의 작은 아버지인 고 김응태씨가 설립한 수촌교회는 당시 수촌리 주민들의 개화사상을 일찍부터 고취시켰고, 인근지역보다 앞장서서 플래카드까지 내걸고 독립운동을 펼쳤다. 이 때문에 일제의 탄압과 만행도 그만큼 잔인하게 자행됐다. “하루는 어머니 옆에서 형하고 자고 있는데 누군가 방문을 열고 들어오더니 불을 지르고 발로 차면서 막 나가라고 하는거야. 밖으로 나가보니 왜놈들이 집집마다 불을 지르는데 불바다로 온 마을이 뒤덮여 대낮처럼 환했어. 끔찍했지.” 상투를 튼 사람은 상투를 자르고 청년들은 인근 야산으로 끌고가 독립운동 주동자를 대라며 마구 짓밟았다고 김옹은 회상했다. “시대가 달라진다고 해서 진리마저 달라지면 안되는 법이야. 3.1운동처럼 나라가 어려울 땐 각지에서 나라를 위한 움직임이 있어야 나라가 살 수 있는데 지금처럼 자기만 살겠다는 하는 것은 나라와 자신 모두를 망치는 길이야” 나라를 위한 ‘공동체의식’을 유난히 강조하는 김옹은 요즘의 총선시민연대의 활동이 3·1독립운동에 참가한 국민들과 맥을 같이 한다면서 이기적이고 부패한 정치권에 대한 따끔한 충고도 잊지 않았다.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인천도시가스 소년소녀가장 자매결연

“사회진출을 축하합니다. 스스로의 몫을 다하고 책임질 줄 아는 사회인이 되길 바랍니다.” 지난 24일 오전 인천시 서구 가좌동 인천도시가스㈜(사장 김정치) 사내 강당. 이 회사로부터 매달 생활보조금을 받고 있는 모범 소년·소녀가장 30명이 오랫만에 자리를 같이했다. 또 새로 결연을 맺을 6명의 새얼굴도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인천도시가스의 도움으로 고교를 졸업하고 대학과 사회로 진출하는 6명의 결연자를 축하하고 이들의 빈자리를 메꿀 새로운 식구를 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상견례 등 행사를 마친 소년·소녀가장들은 평소 후견인 역할을 해주던 각 부서 직원들과 함께 점심식사를 하며 그동안 못다한 대화를 나누는등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인천도시가스측이 소년·소녀가장과 결연을 맺기 시작한 것은 지난 97년. 당시 20명을 선발해 생활보조금을 전달하던 것이 이제 30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이 회사는 보조금 지원외에도 각 부서별로 직원 2∼3명씩이 소년·소녀가장과 별도로 결연을 맺고 형이나 오빠로서 든든한 버팀목이 돼주고 있다. “희망과 꿈을 키우는데 인천도시가스의 도움이 정말 컸다”는 이들 모범 소년·소녀가장들은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해 어려운 이웃을 도우며 살겠다”고 다짐했다. /한경일기자 gihan@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