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 안개정국 투자자 불안

증시가 연 6일째만에 하락행진을 멈추고 소폭 상승세로 돌아서며 향후 주가전망에 대한 문의전화가 각 증권사 객장으로 빗발쳤다. 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941.57을 기록한후 추석연휴가 끝난 지난달 27일 37.78포인트 하락에 이어 연 5일째 121포인트가 하락, 폭락행진이 이어졌다. 1일 오전 개장초 11포인트 올랐으나 매수세가 약해지면서 하락세로 돌아선뒤 오후 한때 800포인트까지 떨어지면서 도내 각 증권사 객장에는 추가하락을 우려한 투자자들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채 향후 주가전망에 대한 문의전화가 빗발쳤다. 실제로 수원시 권선구 인계동 S증권 객장에는 오전 400여명의 투자자들이 몰려 그동안의 대한 증시폭락에 대한 반등을 기대한 가운데 개장초 11포인트 올랐으나 매수세가 약해지면서 하락세로 돌아선뒤 820선이 무너지자 투자자들이 초조함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수원시 권선구 인계동 K증권 객장에는 후장들어 낙폭이 더욱 커지자 향후 주가낙폭에 대한 문의 전화가 쇄도하는 등 투자자들이 증권사 직원들과의 투자상담에 대한 문의가 이어졌다. 투자자 조모씨(36)는“그동안 계속되는 주가하락으로 투자액의 절반이상의 손실을 보았다”며“제2의 IMF마저 오지않을까하는 우려감마저 들고 있다”고 말했다. 증권사 관계자는“추가하락에 불안감을 우려해 장중한때 일반투자자들의 경우 무조건 팔고보자는 식의 투매현상까지 나타났다”며“여전히 증시주변상황은 불안한 상태가 상존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후 후반부터 기관들이 주가하락에 대한 반발매수가 이어지며 낙폭을 크게 줄여 +3.17 오른 839.35포인트로 마감했다./박승돈기자

토공, 시흥시 한화땅 특혜매입

한국토지공사가 기업의 부채상환용 토지를 매입하면서 (주)한화의 시흥시 정왕동 소재 68만7천평의 잡종지를 한화측이 요청한 매각희망가격인 939억원에 매입, 특혜를 제공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국회 건교위 한국토지공사 국정감사에서 서한샘의원은 토공이 지난해 9월 단일 건으로는 최대규모인 문제의 땅을 기업토지전담반 현장조사 실무자가 토지조사표를 작성, 매입부적격으로 보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집행간부회의에서 매입적격 판정이 내려져 한화측의 요청가격인 939억원에 매입했다고 주장했다. 서의원은 토지조사표를 분석한 결과 문제의 토지는 화약종합개발 및 성능시험장으로 개발된 한화매립지중 일부로 대부분이 연약지반으로 지반개량에만 평당 11만6천원으로 796억원이 소요되고 기간도 3년이 걸리는데다 성토할 토사가 필요한데도 인근이 그린벨트여서 토취장 확보가 불가하다고 밝혔다. 또 인접지역에 시화공단, 송도신도시, 논현지구 등이 개발중이어서 매각전망이 불투명한데다 이땅중 이용가능한 토지 1천341평을 개발시 총사업비가 5천795억원이 투입되며 회수예상액을 따질때 결국 1천556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지적했다. 서의원은 특히 토공이 한화 대표이사에게 보낸 문서에 ‘매각시기 결정시 한화측의 재매입시기에 대한 의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토공이 매입한 기업토지 817건중 매각자와 환매조건부로 매입한 2건중 하나라고 지적, 결국 해당토지를 담보로 대출을 해준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토공 관계자는 “이 토지는 용도가 제한되고 연약지반이나 취득 및 처분이 불가한 토지가 아니며 열악한 요인이 반영된 감정가격을 기준으로 매입했다”며 “기업경영이 호전될 경우 3년 범위내에서 매입할 수 있는 특약이 있다”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먼 거리의 사람들이 직접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는 원격화상회의는 물론 원격진료, 원격교육 등 영상과 음성을 함께 보내야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최근 초고속 인터넷사업자에 의해 본격화되고 있다. 정보통신부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현황에 따르면 ISDN(종합정보통신망)·ADSL(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 등 ISDN급이상 회선을 이용하는 고속인터넷사용자가 8월말 기준으로 40여만명에 이르고 있으며 2002년에는 230만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등 기존 모뎀을 통한 저속통신에서 불편을 겪는 네티즌들의 고속인터넷 가입이 급속히 늘고 있다. ◇초고속인터넷서비스란 초고속인터넷을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로 지난해부터 빠르게 우리주변에 늘고 있는 PC방은 서버컴퓨터를 중심으로 LAN(근거리통신망)을 설치해 외부 고속전송망을 통해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로 온라인 게임 뿐만 아니라 주식정보, 생활정보 등을 얻고 있는데 사용하고 있다. 물론 집에서 전화선을 이용한 전화선모뎀(56Kbps속도기준)으로 평균 60시간 사용에 7만원가량이 소요되는 것에 비해 저렴하나 업소마다 1시간당 평균 1천500∼2천원의 사용료는 인터넷이용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역시 부담스럽다. 이에 가정에서도 ADSL 또는 케이블 모뎀의 경우 월사용료 3만∼4만원으로 전화요금부담없이 PC방에서 처럼 전송속도 1M∼10Mbps의 전송속도로 이용할 수 있는 가정용서비스 가입자가 늘고 있다. ◇고속인터넷망 가입자 현황 현재 초고속인터넷전용망 서비스를 하고 있는 통신사업자는 한국통신, 하나로통신,두루넷, 데이콤, 드림라인 그리고 위성인터넷망 서비스인 삼성SDS 등 6개 통신사업자가 있으며 이 가운데 정보통신부가 밝힌 8월말기준 가입자현황은 한국통신이 11만5천명, 하나로통신이 12만8천99명, 두루넷이 11만1천218명 순이었다. 이 가운데 한국통신은 기존 ISDN망 가입자에서 하나로통

농사 정보 - 벼농사

벼농사 ▲병해충방제=7월 31일부터 내린 집중호우와 태풍 제7호(올가)의 영향으로 한수북부 전지역과 한수남부의 침관수지역에서는 이삭도열병 발생이 크게 우려되고 있다. 조·중생종벼는 한논에서 이삭이 2∼3개 패기 시작할 때 유제 또는 수화제로 1차 방제하고 5∼7일후에 다시한번 방제하되 약효지속 기간이 긴 빔, 으뜨미, 백만석, 솔라자 수화제나 프로왕 유제등은 한번만 방제해도 된다. 추청벼등 중만생종벼에 있어서도 거름기가 많거나 하엽에 잎도열병이 입제를 뿌리거나 출수 3∼4㎝정도 알맞게 유지하고 키타진, 후치왕 입제를 뿌리거나 출수 7일전부터 직전사이에 약효지속기간이 긴 수화제로 방제한다. 또한 침수되었던 논에는 잎집무늬마름병 병무늬가 빠르게 윗잎으로 번져 피해가 예상되니 이삭도열병을 유제나 수화제로 방제할 때 농약혼용가부표에 따라 잎집무늬병약을 섞어 동시방제한다. 침관수된 논에서는 흰잎마름병 발생이 우려되니 시라겐등 적용약제를 살포하되 일품벼와 이삭팬논을 제외하고 방제하되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이삭이 패고있는 조생종벼는 세균성 벼알마름병 발생이 우려되니 사보라, 논보라, 올타수화제등 도열병과 동시방제되는 약제를 선택하여 방제한다. 요즈음 벼의 생육기는 유수형성기에서 붙어 유숙기에 해당하고 있어 물이 가장 많이 필요한 시기이므로 논물을 말리지 않도록 한다. 채소 ▲고추=붉은 고추는 적기에 수확하여 다음 고추의 자람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고추물 건조기에 말릴 때에는 55℃의 온도에서 48시간 말린 다음 하우스 안에서 2∼3일간 햇볕에 말려서 품질 좋은 마른 고추를 생산하도록 한다. 고온 다습한 포장에서는 탄저병 등 병해가 발생되기 쉬우며, 담배나방도 많이 발생되는 시기이므로 병해충 예찰정보에 따라 적기에 적용약제를 뿌려 주도록 한다. ※풍수해로 쓰러

창업보육센터 도내 13개기관 선정

중소기업청은 최근 올해 제2차 창업보육센터 사업자 75개 기관을 선정해 발표했다. 8일 경기지방중기청에 따르면 전국 75개 기관중 경기지역은 창업보육센터로 대림대학, 동아방송대학, 두원공과대학, 대진대학교, 신흥대학,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국생산기술연구원(시화), 한국항공대학교 등 8개 기관이 인터넷창업보육센터로 강남대학교, 경민대학, 청강문화산업대학, 한신대학, 한양대학교(안산) 등 5개 대학 등 총13개 기관이 선정됐다. 창업보육센터는 사업화능력이 미흡한 예비·신규 창업자 등에게게 입주공간 및 경영, 기술, 마케팅을 집중적인 보육을 통해 창업촉진과 실업난해소 기능을 맡고 있으며 경기지역은 지난해 경희대(수원)를 시작으로 기존 6개 기관에 이번 13개 기관이 추가되어 총19개 기관으로 늘어났다. 이들 창업보육센터 운영기관는 보육센터 설립비용의 80%이내에서 보육센터 건물의 마련, 공용장비 구입 및 고가S/W구입비용, 기타 지원설비 구입비용을 지원받게 된다. 특히 중소기업청은 처음 추진되는 인터넷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에 대한 교육 및 보육에 필요한 운영비도 지원할 계획으로 있어 벤처창업이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심규창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