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남부 최대 120㎜…배수구 물 역류 등 유의

월요일인 17일은 대체로 흐리겠으며 곳곳에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서울, 인천과 경기북부는 소강상태를 보이는 곳이 있겠으며 경기남부 중심으로 다소 강하고 많은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예상 강수량은 내일(18일)까지 서울·인천·경기북부에 10~60㎜, 경기남부에 30~100㎜로 예보됐다. 평택, 안성, 여주, 이천 등은 최대 120㎜의 비가 내릴 것으로 관측된다. 아침 최저 기온은 22∼24도, 낮 최고 기온은 26∼29도 분포를 보이겠다. 주요 도시 예상 최저기온은 수원 23도, 용인 22도, 광명 23도, 안양 24도, 과천 23도, 고양 22도, 가평 22도, 양평 23도, 인천 23도, 서울 23도 등이다. 예상 낮 최고기온은 수원 29도, 용인 27도, 광명 27도, 안양 27도, 과천 28도, 고양 27도, 가평 27도, 양평 28도, 인천 26도, 서울 27도다. 경기남부(평택, 안성, 여주, 이천 등)에는 돌풍(15~20m/s)을 동반한 시간당 10~30㎜의 다소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으니, 침수지역 감전사고와 자동차 시동 꺼짐에 대비하고 하수도와 우수관, 배수구 등에서 물이 역류할 가능성에 대비해야겠다. 또 건설현장·비닐하우스·현수막 등의 시설물 점검과 관리를 철저하게 해야겠으며 시설물 파손과 간판, 나뭇가지 등 낙하물에 의한 2차 피해가 우려되니 보행자 안전과 교통안전에 각별히 조심해야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쏟아지는 '물 폭탄'…호우특보 발효 시 행동요령은?

7월 한 달 내내 비가 온다던 ‘장마 괴담’이 현실이라도 되는 듯 강하고 많은 양의 비가 쏟아지고 있다. 특히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돌풍과 천둥·번개, 우박까지 동반할 것으로 예보된 이번 비는 오는 17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4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10분 기준 수도권 지역에는 시간당 30~100㎜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경기남부지역의 경우 시간당 150㎜ 이상 비가 내릴 것으로 관측된다. 수도권 주요 지역의 일 강수량은 창현(남양주) 204㎜, 노원(서울) 199㎜, 청평(가평) 190.5㎜, 오산 180.5㎜, 구리 175.5㎜ 등으로 기록된 상태다. 이미 전국 곳곳에 호우특보가 내려진 상황에서, 이날까지 돌풍, 천둥·번개, 우박 등이 더해질 것으로 예보됐다. 지난해 8월 여름 장마 당시 수도권에는 각종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른바 ‘100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로 경기도에서만 29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190세대가 이재민이 됐다. 재산피해도 약 995억원에 달했다. 호우, 강풍 등 거센 비 속에서 어떻게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지 행동 요령을 살펴봤다. ■ 기상 상황 수시 체크·위험 요인 사전 제거…외출 자제해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기상 상황을 수시로 체크하는 것이 좋다. 장마철 내내 TV, 라디오 방송이나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 등으로 기상상황을 실시간으로 미리 파악해 가족과 주변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 대비해야 한다. 주변 배수로나 빗물받이도 빈번하게 청소하고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이 위험한 경우 정비하거나 관할 지자체에 미리 신고를 해야 한다.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에선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비치해 비상 상황에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상이 악화될 경우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조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두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과 긴급 연락망을 미리 확인하는 게 좋다. 가급적 위험 요인을 사전에 없애기 위해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가 많은 어르신 등의 안부도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 호우특보 발효 시 안전 행동 요령 집안에서 호우를 대피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가장 먼저 전기 전원을 차단하고, 수위가 30m 이하일 경우 신속히 문을 열고 탈출해야 한다. 이때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 주택·건물 등을 피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게 중요하다. 가로등, 공사장, 고압 전선 근처에서는 공사 자재가 넘어지거나 감전 위험이 있어 되도록 접근을 피하는 것이 좋다. 호우특보가 발령되면 외출을 삼가하는 게 가장 좋지만, 외출 중 갑작스럽게 ‘비 폭탄’이 몰아 닥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 중에는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속도를 줄이고, 침수 가능성이 높은 지하차도나 교량에 진입하는 것을 삼가한다.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 있을 경우 주변인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즉시 이동한다. 계곡에 고립되거나 급류를 만났을 경우 계곡 비탈면 가까이에 가지 않고 유속이 빠르고 물의 높이가 무릎까지 차 있을 땐 신속히 119에 신고해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기상청 관계자는 “장마 비 피해에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며 “특히 최근 비가 많이 내린 탓에 지반이 약화돼 추가적인 피해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외출을 삼가하고 사전에 안전 행동 요령 등을 숙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