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8개구단 투수난 허덕

스프링캠프가 한창인 프로야구 8개 구단이 ‘투수난’에 허덕이고 있다.‘방망이는 남아 도는데 마운드 요원이 절대 부족하다’는 것이 각 구단 감독들의 공통된 하소연이다. 국내프로야구에서 최초로 ‘스타 시스템’이란 투수 분업제를 창안했던 이광환 한화 이글스 감독은 자신의 방에 붙어 있는 도표에 빈칸을 메우지 못하고 있다. 제1선발과 2선발로 송진우와 조규수, 셋업맨에 이상군과 김정수를 낙점했지만 나머지 1군 마운드를 지킬 6명의 투수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김응용 감독을 영입해 한국시리즈 첫 우승에 도전하는 삼성 역시 투수난이 골칫거리다. 이승엽-김기태-마해영으로 이어지는 중심타선은 국내 최강으로 평가되지만 마운드는 검증되지 않은 수입 용병 리베라와 토레스의 어깨에 모험을 걸어야하는 형편이다. 지난 해까지 ‘철벽 마운드’로 불렸던 현대 유니콘스조차 운영난속에 에이스 정민태가 일본으로 이적했고 조웅천, 조규제는 SK 와이번스로 현금트레이드 돼 국내프로야구는 어느 팀 하나 투수력을 자랑할만한 구단이 사라졌다. 한국야구는 실업야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60년대부터 전통적인 투수 강국이었다. 각종 국제대회에서 성적을 낼 수 있었던 원동력은 뛰어난 투수력이었다. 전통의 투수 왕국이 21세기에 이르러 ‘투수 구인난’ 소동을 벌이게 된 것은 우수 자원의 지나친 해외 유출때문이다. 94년 박찬호(LA 다저스)이후 미국프로야구에 진출한 아마 유망주 21명 중 투수가 무려 16명이다. 이들은 국내에 남았다면 최소한 선발 한 자리를 꿰찰 수 있는 A급 투수들이다. 또 96년 선동열이후 이상훈, 정민철, 정민태, 구대성 등 프로야구의 간판 투수들도 줄줄이 대한해협을 건넜다. 나이어린 유망주들은 ‘아메리칸 드림’에 부풀어 메이저리그로, 프로야구 에이스들은 몫 돈을 거머쥘 수 있는 일본으로 떠나다 보니 국내프로야구는 선발 5자리를 메우기 어려운 형편으로 전락했다. 심각한 ‘타고 투저’속에 8개 구단 감독들이 올시즌 어떻게 마운드의 해법을 찾아낼지 귀추가 주목된다./연합

2001 프로야구 경기일정 확정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1일 2001년 프로야구 페넌트레이스 경기일정을 확정, 발표했다. 확정된 일정에 따르면 올해 프로야구는 4월5일 현대-롯데(수원), 두산-해태(잠실), 삼성-한화(대구), SK-LG(인천)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9월25일까지 단일리그로 치러지며 8개구단은 팀간 19게임씩 133경기를 소화하게 돼 총 532경기가 열린다. 지난해 99년 성적기준 상위 4개팀인 한화, 롯데, 두산, 삼성이 홈에서 67경기, 원정구장에서 66경기를 치른 반면 올해는 99년 성적 하위 4개팀인 현대, 해태, LG, SK가 홈에서 67경기를 치르게 됐다. 또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주중에 3연전과 2연전이 혼합편성 되는데 지난해는 주말(금.토.일) 3연전 중 우천으로 치르지 못한 경기를 돌아오는 월요일에 우선적으로 편성했던 것을 올해는 금.토요일 경기가 순연될 경우 다음날 더블헤더로 치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로 했다. 또한 KBO는 평일 경기는 모두 오후 6시30분, 토요일 경기는 4,5,9,10월에는 오후 5시, 6∼8월에는 평일과 같은 6시30분에 각각 시작하기로 했고 일요일 및 공휴일경기는 6∼8월(오후 6시30분)을 제외한 전 기간 오후 2시에 열기로 했다. 한편 KBO는 올스타전을 제헌절인 7월17일 잠실에서 치르기로 했으며 올스타전 휴식이 끝나고 하반기일정이 시작되는 7월21일부터 8월말까지는 혹서기임을 감안, 더블헤더를 치르지 않기로 했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