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14년째 장애인과 불우이웃을 위해 봉사활동을 펼쳐오고 있는 시민단체가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남구 도화동 601 동아아파트 상가 1층에 위치한 ‘나눔회’(대표 임배근·前 나눔선교회)가 바로 그 곳. ‘나눔회’는 최근 인천시와 인천지방검찰청 등이 올해 처음 제정한 ‘밝은사회 봉사대상’에서 첫 수상자로 선정됐다. 회원들이 모은 2천만원으로 전세를 얻어 마련한 10여평 남짓한 나눔회 사무실은 자원봉사자들로 항상 북적인다. 지난 87년 8월 교회 친목회원 7명이 1인당 50만원씩을 갹출, 소년소녀 가장과 불우시설 돕기 차원에서 출발한 나눔회는 봉사활동 10년만에 무려 2천300여명에 이르는 회원들이 가입돼 있다. 봉사활동은 하지 않지만 금전적인 도움을 주는 후원회원(1천596명)과 운영회원(93명)을 비롯, 무료급식·차량운전 등 자원봉사회원(185명), 물품 또는 후원금을 지원하는 찬조회원(212명) 등. 후원회원들이 매월 적립하는 돈 등 봉사활동을 위해 마련되는 재원만도 연간 6천500여만원에 이른다. 지난 97년 4월 운전봉사대원 185명으로 출범한 장애인 이동봉사대에는 현재 240명의 장애인이 차량이용 회원으로 등록돼 있다. 나눔회는 아예 96년부터는 무료급식소를 설치, 매주 수요일 노인들에게 점심을 무료로 급식하고 있으며, 노인가정과 무의탁 노인시설에 월 5만∼20만원씩을 전해주고 있다. 오현철 나눔회 사무국장(34)은 “미력이나마 불우이웃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경제환경국장 유형섭(승진) ▲기획감사담당관 신형균 ▲회계과장 이명우 ▲도시과장 박덕선 ▲건설과장 경규배 ▲양정동장 직무대리 김지호 ▲와부읍 조남태 ▲총무과 풍경섭▲회계과 유영수▲별내면 김상균▲사회복지과 이종림▲정보전산담당관실 황붕진 ▲진건읍 김기흥 ▲화부읍 임동진 ▲종합복지회관 서동희 ▲치수과 박승복 ▲청소행정과 박홍길 ▲건설과 이석주 ▲사회복지과 이남주(승진)
“작은 정성이지만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뜻있게 쓰여졌으면 해요” 김포시의 새벽을 여는 환경미화원들은 비록 삶은 고단하고 생활 또한 넉넉지 않지만 마음만은 부자다. 비록 작은 것이지만 나눔을 통한 기쁨과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려는 배려가 마음에 배어있기 때문이다. 각 동·면에 흩어져 거리창소와 환경정비에 나서고 있는 시청 소속 49명의 환경미화원들은 지난해 연말과 올해 초, 폐품을 모아 판 돈을 불우이웃 돕기 성금과 가정형편이 어려운 이웃의 자녀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내놓았다. 비록 적은 액수지만 이들이 낸 성금에는 나보다는 남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이 더해져 한겨울 불우이웃들의 마음을 훈훈하게 해 주었다. 중풍으로 누워계신 어머니와 살고 있는 김모양(16)은 “생각지도 않았던 환경미화원 아저씨들로부터 성금을 받고 나서 무척 놀랐다”며 “열심히 공부해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이 되겠다”고 말했다./김포=권용국기자 ykkwun@kgib.co.kr
“고발업무는 물론 강도높은 감시활동 등 다양한 사업추진으로 소비자들의 권익신장에 앞장서겠습니다” 권원기 한국소비자연맹 경기지회장(39·신흥대 행정학과 교수)의 취임 첫마디. 제2건국위원회 강사, 자유총연맹 시민교육 교수 등을 맡으며 지역발전에 힘쓰고 있는 권 지회장은 기존의 고발업무는 물론, 올해 특수시책으로 선정한 의정부의 명물 부대찌게에 대한 위생점검을 매달 실시하고 소비자 교육도 병행할 계획이다. 또 LG·삼성·대우 등의 협찬을 받아 이동고발센터를 북부지역 전체로 확대 실시하고 건강소비다짐대회도 대대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의정부=배성윤기자 sybae@kgib.co.kr
유치원생들이 고사리같은 손으로 한푼 두푼 모은 돼지 저금통을 쪼개 불우이웃에 써 달라며 하남시에 기탁,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특히 아이들의 이같은 행동에 유치원 선생님과 학부모들이 적극 동참, 각박한 세태에 참사랑을 전해주고 있다. 하남시 덕풍동 소재 세명유치원 원생 30여명은 최근 지난 1년간 푼푼이 모은 코묻은 돈 27만원이 든 돼지저금통을 시청 사회복지과에 전달했다. 이에 감동받은 유치원 선생님 6명과 학부모 10여명도 현금 10만원과 양말 50컬레(25만원 상당)를 불우이웃돕기에 써 달라며 시에 기탁해 왔다. 세명유치원 원장 유미경씨는 “어른들도 미처 생각하지 못한 아이들의 선행에 부끄럽기만 하다”며 “아이들의 행동이 부끄럽지 않도록 좋은 곳에 쓰여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하남=강영호기자 kangyh@kgib.co.kr
“우리도 눈썰매장 가요” 의정부와 양주군 소재 시설보육원생들을 위한 사랑나누기행사가 경기일보 북부분실 후원으로 14∼17일까지 의정부시 의정부2동 단군뷔페에서 열리고 있어 혹독한 동장군에 움츠러들고 있는 원생들에게 훈훈한 온기를 불어 넣어 주고 있다. 사랑나누기행사는 단군뷔페 권필승 사장(46·여)이 지난 99년부터 수익금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다는 취지에서 매년 여름·겨울방학을 맞아 시설원생들을 위해 실시해 오고 있다. 권사장은 지난 14일 양주군 소재 광명보육원 원생 50여명을 시작으로, 17일까지 보육원생 250여명을 초청, 점심을 제공하고 양주군 주내읍에 위치한 로얄눈썰매장에서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이날 초대된 원생들은 평소 접하기 힘든 음식들이 푸짐하게 차려진 식탁을 보며 함박웃음을 터뜨렸다. 원생 정모군(12·양주군 한국보육원)은 “다 맛있지만 그중에서도 갈비, 탕수육, 김밥, 아이스크림 등이 가장 맛있었다”며 좋아했다. 주방장 정씨는 “평소 성인 입맛에 맞추었으나 오늘은 특별히 어린이 입맛과 칼슘, 비타민 등 어린이 필수 영양소를 따져 조리했다”라고 말했다. 300여평의 통나무 뷔페식당은 이날 하루종일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즐거운 비명소리로 마치 캠프장을 방불케 했다. 이어 원생들은 시·군에서 제공한 대형버스를 이용, 로얄눈썰매장으로 이동해 각종 이벤트와 함께 눈썰매를 마음 껏 즐겼다. 양주군 광명보육원 부원장은 “모처럼 즐거워하는 아이들을 보니 이런 기회를 자주 만들어 주지 못한 미안함이 앞선다”며 “이같은 자리를 마련해 준 경기일보사와 단군뷔페 임직원들에게 감사한다”고 말했다./의정부=최종복기자 jbchoi@kgib.co.kr
◇모집구분=초등학교교사◇ ▲10001 신은섭 ▲10002 남궁영서 ▲10003 김인섭 ▲10004 조현희 ▲10006 정순화 ▲10008 김정희 ▲10010 이기철 ▲10012 한봉규 ▲10015 서안화 ▲10017 김옥령 ▲10018 정영미 ▲10019 최미경 ▲10021 이해정 ▲10023 강경미 ▲10024 최희정 ▲10026 박신영 ▲10027 김재민 ▲10029 김옥희 ▲10030 이하나 ▲10033 김상범 ▲10034 김만규 ▲10036 조종순 ▲10037 이혜경 ▲10039 손동선 ▲10043 이그린 ▲10044 김해성 ▲10045 권보혜 ▲10048 최명환 ▲10050 김안나 ▲10051 하윤천 ▲10052 이일학 ▲10054 이승훈 ▲10055 신정순 ▲10060 박민구 ▲10061 심미경 ▲10063 변설악 ▲10064 남길현 ▲10065 이호경 ▲10066 한구현 ▲10070 안수정 ▲10072 박해숙 ▲10073 이미애 ▲10074 최행선 ▲10077 조경선 ▲10078 이미경 ▲10079 조미수 ▲10081 이금정 ▲10082 김민정 ▲10084 배슬기 ▲10087 한인임 ▲10088 남해진 ▲10089 박선지 ▲10090 김효진 ▲10091 윤찬영 ▲10092 장현숙 ▲10093 김민성 ▲10094 유하나 ▲10095 우인숙 ▲10097 박원이 ▲10098 오진이 ▲10100 정우숙 ▲10101 나은아 ▲10102 강지현 ▲10104 허지영 ▲10105 최현욱 ▲10106 임영태 ▲10107 정수진 ▲10108 장수영 ▲10109 김승희 ▲10110 이유선 ▲10111 이재현 ▲10112 정민지 ▲10114 노명선 ▲10115 노영화 ▲10116 김정인 ▲10117 이지애 ▲10119 김상희 ▲10120 이소희 ▲10121 박상희 ▲10122 문수향 ▲10123 박나현 ▲10125 권진선 ▲10126 정혜정 ▲10127 장정우 ▲10129 신은미 ▲10130 홍윤미 ▲10137 김정은 ▲10138 도현아 ▲10141 김미희 ▲10143 김정화 ▲10144 봉혜영 ▲10145 최자영 ▲10149 이윤미 ▲10153 한동엽 ▲10155 김지연 ▲10156 조민정 ▲10159 김수연 ▲10160 최민석 ▲10161 김해승 ▲10162 이수진 ▲10163 조윤경 ▲10166 윤혜영 ▲10168 유미현 ▲10169 이윤아 ▲10170 박기숙 ▲10172 문혜진 ▲10174 곽윤미 ▲10175 조홍민 ▲10176 박울림 ▲10177 권윤정 ▲10179 최은경 ▲10180 김영은 ▲10181 추미화 ▲10182 홍정수 ▲10184 오경림 ▲10185 한정호 ▲10187 김성진 ▲10189 원건혜 ▲10191 조명선 ▲10192 양혜숙 ▲10194 문경은 ▲10195 이경아 ▲10196 장민경 ▲10197 이강석 ▲10198 이선영 ▲10204 황혜진 ▲10206 이승연 ▲10207 황인애 ▲10209 김민영 ▲10211 최선정 ▲10212 이혜진 ▲10213 김미희 ▲10216 이수경 ▲10218 구민규 ▲10219 김정찬 ▲10220 오지영 ▲10221 박미진 ▲10222 황영선 ▲10228 조선아 ▲10229 홍유경 ▲10231 김주식 ▲10232 이지선 ▲10238 김미연 ▲10240 안해용 ▲10241 선 희 ▲10242 정하나 ▲10245 박현호 ▲10246 박여울 ▲10248 강현정 ▲10249 장미아 ▲10250 이안선 ▲10251 이가영 ▲10252 곽은주 ▲10253 한송이 ▲10254 최라실 ▲10255 장은식 ▲10256 정연희 ▲10257 이영진 ▲10258 이미영 ▲10259 김현령 ▲10260 김향리 ▲10262 강미선 ▲10265 황선우 ▲10266 최은정 ▲10268 김지연 ▲10269 김은희 ▲10270 정현민 ▲10271 신혜선 ▲10273 주미영 ▲10274 장윤선 ▲10276 장형진 ▲10279 이희경 ▲10281 김수진 ▲10282 김인희 ▲10284 안교은 ▲10286 김진호 ▲10287 박 진 ▲10288 정소영 ▲10289 김향미 ▲10290 구자숙 ▲10291 김영아 ▲10292 황주연 ▲10294 성현주 ▲10296 권한나 ▲10298 신택남 ▲10299 박용욱 ▲10300 성인희 ▲10301 신정란 ▲10302 이순삼 ▲10303 최애리 ▲10304 박상희 ▲10306 황원제 ▲10307 정현숙 ▲10308 박준희 ▲10309 금수현 ▲10310 박두열 ▲10311 추미연 ▲10312 김현구 ▲10313 김재웅 ▲10314 김영옥 ▲10315 신재은 ▲10316 김재현 ▲10318 조재란 ▲10319 송승현 ▲10320 김세은 ▲10321 김정영 ▲10324 김아영 ▲10325 박주영 ▲10326 주진희 ▲10329 김재봉 ▲10331 김성득 ▲10332 신정란 ▲10333 박정현 ▲10336 조영철 ▲10337 이순미 ▲10338 최유진 ▲10339 정은주 ▲10340 안 희 ▲10341 김현주 ▲10344 우진희 ▲10346 유 미 ▲10347 윤현진 ▲10348 이영재 ▲10349 조경신 ▲10353 안준언 ▲10356 김종혁 ▲10358 현혜경 ▲10359 송현제 ▲10360 유은지 ▲10361 이혜미 ▲10362 박준미 ▲10363 김현진 ▲10364 석주영 ▲10365 윤종미 ▲10366 신동선 ▲10367 전용호 ▲10368 황연애 ▲10371 김영선 ▲10374 정선진 ▲10375 윤 미 ▲10376 나현아 ▲10377 엄민경 ▲10380 김현주 ▲10381 지정은 ▲10382 정경민 ▲10383 이현주 ▲10384 김윤미 ▲10385 이용희 ▲10386 김진선 ▲10387 최정희 ▲10390 이현정 ▲10395 두진희 ▲10398 김기환 ▲10399 조수경 ▲10400 전민경 ▲10401 유 미 ▲10402 박수영 ▲10403 이영인 ▲10406 성경예 ▲10408 임미영 ▲10410 이상미 ▲10411 이득주 ▲10412 임영빈 ▲10413 윤현주 ▲10415 권세진 ▲10416 안소영 ▲10418 방길영 ▲10420 여혜은 ▲10421 김진이 ▲10422 이영담 ▲10423 이정민 ▲10424 서영원 ▲10425 홍현철 ▲10427 김이슬 ▲10428 강민경 ▲10429 정현아 ▲10430 임효진 ▲10431 권효진 ▲10434 어석원 ▲10435 가연주 ▲10436 오기순 ▲10438 황규진 ▲10440 호명성 ▲10441 최지혜 ▲10442 김은협 ▲10443 김이주 ▲10444 이미선 ▲10445 신보현 ▲10446 이현주 ▲10448 임재은 ▲10449 신윤주 ▲10450 김소연 ▲10451 김민식 ▲10452 박화영 ▲10453 전 혜 ▲10454 오나영 ▲10455 박선영 ▲10457 김현혜 ▲10458 이정아 ▲10459 손금선 ▲10460 전병옥 ▲10461 황혜진 ▲10462 이경아 ▲10464 안나진 ▲10466 나효진 ▲10467 이승희 ▲10468 허민주 ▲10469 최보식 ▲10470 신형민 ▲10471 김지현 ▲10472 박윤아 ▲10473 윤청식 ▲10475 정영숙 ▲10478 유미선 ▲10479 김세정 ▲10482 이승록 ▲10483 박은숙 ▲10484 성숙현 ▲10485 이미나 ▲10487 서은희 ▲10489 김현중 ▲10490 김지영 ▲10491 나미연 ▲10492 백승주 ▲10493 이현희 ▲10494 박윤미 ▲10496 이희천 ▲10497 유 리 ▲10498 허선영 ▲10499 전지영 ▲10500 조미영 ▲10501 김현정 ▲10502 안이경 ▲10503 김종숙 ▲10504 반영순 ▲10505 채혜원 ▲10506 김재웅 ◇모집구분=유치원교사◇ ▲20037 배종복 ▲20048 강운숙 ▲20049 방선영 ▲20057 김경미 ▲20075 강혜정 ▲20099 김은주 ▲20117 최유미 ▲20118 신성옥 ▲20119 이수진 ▲20120 윤은정 ◇모집구분=특수학교(유치원)교사◇ ▲30004 김연숙 ▲30005 홍정민 ▲30014 배지은 ▲30018 백선희 ▲30019 이정화 ▲30026 김소진 ▲30029 박현숙 ▲30030 유신애
●평택시 ▲총무국 총무과 손종표 ▲총무국 회계과 김재수 ▲기획재정국 세정과 김찬영 ▲기획재정국 기획감사과 김영기 ▲사회환경국 가정복지과 배성섭 ▲항만경제국 경제진흥과 박덕희 ▲항만경제국 공업과 현진수 ▲의회사무국 이용헌 ▲건설도시국 하수과 이용철 ▲의회사무국 양우석 ▲차량등록사업소 장인호 ▲공영개발사업소 윤민수 ▲사회환경국 청소과 홍인숙 ▲송탄출장소 민원종합과 원제영 ▲송탄출장소 민원종합과 안경천 ▲안중출장소 총무과 이형재 ▲안중면 이칠훈 ▲송탄출장소 총무과 이상철 ▲〃 박동진 ▲〃 민원종합처리과 정기석 ▲진위면 이규종 ▲송탄출장소 청소환경과 이상희 ▲〃 총무과 정구진 ▲현덕면 유제승 ▲오성면 배상인 ▲건설도시국 도시과 김만회 ▲〃 하수과 서정택 ▲보건소 정병성 ▲사회환경국 사회과 정광수 ▲〃 김영재 ▲보건소 차은열 ▲건설도시국 건축과 임남택 ▲안중출장소 건설도시과 한상엽 ▲팽성읍 김준 ▲서정동 김경숙 ▲공영개발사업소 김진호 ▲수도사업소 신희영 ▲〃 이용군 ▲송북동 황광철 ▲총무국 총무과 최중범 ▲〃 민원종합처리과 최윤순 ▲건설도시국 교통행정과 이영기 ▲공영개발사업소 엄원종 ▲기획재정실 조인수 ▲사회환경국 임창우 ▲〃 정문호 ▲총무국 신동의 ▲기획재정실 김필대 ▲여성회관 박승호 ▲항만경제국 강해진 ▲〃 배점호 ▲의회사무국 공재영 ▲송탄출장소 정해영 ▲세교동 공병선 ▲원평동 최원관 ▲총무국 최효승 ▲사회환경국 김소영 ▲항만경제국 최재임 ▲〃 이종훈 ▲송탄출장소 류주형 ▲총무국 이의재 ▲송탄출장소 최명호 ▲문예회관관리소 신양수 ▲수도사업소 손상곤 ▲농업기술센터 송명석 ▲보건소 서달영 ▲사회환경국 이화영 ▲〃 임태종 ▲〃 윤영배 ▲기획재정국 이만춘 ▲사회환경국 김응윤 ▲항만경제국 이석균 ▲수도사업소 김진욱 ▲건설도시국 전창희 ▲차량등록사업소 정만석 ▲공영개발사업소 허지만 ▲송탄출장소 임인근 ▲안중출장소 박우규 ▲통북동 박혜영 ▲수도사업소 김웅래 ▲〃 윤훈 ▲세교동 우희정 ▲건설도시국 김인옥 ▲기획재정국 이홍재 ▲송탄출장소 허승범 ▲농업기술센터 공석우 ▲안중출장소 이금용 ▲농업기술센터 유병현 ▲안중출장소 강현수 ▲운동장관리소 김희경 ▲문예회관관리소 정계희 ▲농업기술센터 원봉재 ▲수도사업소 김수확 ▲운동장관리소 오정대 ▲원평동 이우열 ▲청북면 임종래 ▲중앙동 이현경 ▲송북동 오인미
●광주시 ▲광주시 부시장 직무대리 이상우
“서부발전 창사 2주년째인 올해는 회사의 비전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나갈 수 있는 해이며, 내부 고객 만족과 수익을 우선하는 자세로 모든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발전소로 만드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전력산업의 구조개편으로 서부발전(주)으로 변신, 새롭게 출발한 평택화력발전처 조우장 처장의 결의에 찬 한마디다. 지난해 4월 한전에서 분리, 설립돼 현재 자산규모만도 3조원에 달하며, 국내 30대 기업과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서부발전(주)은 발전 전문 초우량기업으로 급성장하며 미래의 전력문화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실시된 기업신용도 평가에서 발전회사 최초로 최고 신용등급인 ‘AAA’를 받아 채권투자가 및 기업분석가 등으로부터 국내 최저 금리의 자금을 조달하는 등 대·외 신인도 면에서 그 면모를 인정 받아왔다. 이처럼 평택화력이 발전에 발전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은 조 처장의 숨은 노고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관련자들은 귀뜸하고 있다. 조 처장은 창사 원년인 지난해 평택화력을 전력생산의 최우수 현장으로 만들기 위해 직원의식 개혁을 비롯한 사업소내 비효율제도 및 규제 제로화 추진, 민간기업 경영제도 도입 등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경영능력을 펼쳐왔다. 창사 첫해 발전리더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은 조 청장은 “올해에는 인적자원을 중시하되 모든 구성원의 성취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가치 중심의 평택화력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평택=김덕현기자 dhkim@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