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기 무색’ 도내 신규공급 1곳뿐

지난 16일 국토해양부는 1~2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직주근접이 가능한 도심에서 도시형 생활주택 및 준주택 공급확대를 위한 도심 내 소형주택 공급 대책을 확정발표했다. 이에 따라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급 활성화를 위해서 건설 및 공급기준을 대폭 완화하고 주택기금의 대출을 확대할 예정이며, 준주택의 공급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주택의 건설기준을 완화하고 주택기금 지원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국토해양부는 도심 내 무주택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해 마련된 이번 정책들을 계획대로 적극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며, 이를 통해 도심 내 수요에 대응하고, 전월세 시장 안정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1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에 따르면 이번 주 경기인천 분양시장은 청약접수 1곳, 당첨자 발표 4곳, 당첨자 계약 1곳, 모델하우스 개관 2곳 등이 예정돼 있다. 봄 성수기에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4월 청약시장은 한산한 분위기다.22일 벽산건설은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블루밍 레이크의 청약접수를 받는다. 지하 2층~지상 29층 5개동, 전용면적 59~145㎡ 총 521가구로 구성되며, 입주는 2012년 12월 예정이다. 과천~봉담 간 고속화도로를 연결하는 월암IC와 서수원IC가 가까워 서울과천과 안산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영동고속도로, 수인산업도로 등 광역교통망 접근도 편리하며, 왕송호수가 인접해 주거의 쾌적성이 높고, 도보 10분 거리에 입북초교가 위치한다. 같은 날 신안종합건설은 남양주시 별내택지지구 A16-1블록 신안인스빌의 모델하우스를 개관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1층 15개동, 전용면적 84㎡ 총 874가구로 구성된다.23일 한화건설은 남양주시 별내택지지구 A19블록 꿈에그린의 모델하우스를 개관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4층 11개동, 전용면적 84㎡ 총 729가구로 구성된다. 별내지구는 서울시청 동쪽 약 16km 지점에 위치하며, 서울시와 구리시 경계점에 있어 서울 도심으로의 접근성이 우수하다. 주변으로 녹지공간이 풍부해 친환경 요소를 갖췄고, 중심부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통과하며, 경춘선 별내역사(2011년 이후) 신설과 함께 별내~상봉동 간 BRT구간이 신설(11.4km)되면 경춘중앙선과 지하철 67호선도 쉽게 환승될 예정이다. 또한 지하철 8호선 연장선이 2017년 개통 예정이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도심 원룸 등 짓기 쉬워진다

원룸, 단지형 다세대 등 도시형 생활주택의 사업승인 대상이 종전 20가구 이상에서 30가구 이상으로 완화되고, 단지 규모는 현행 150가구 미만에서 300가구 미만으로 확대하는 등 소형주택 지원책이 추진된다.15일 국토해양부는 도심 지역에서 1~2인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소형주택 공급 활성화 대책을 마련했다.이 대책에 따르면 현재 150가구 미만까지 지을 수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 단지는 앞으로 300가구 미만으로 공급 규모가 2배로 확대된다.이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사업성을 높여 일반 건설회사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공급을 늘리기 위한 대안으로 해석된다.또 도시형 생활주택의 사업승인 최소 단위가 현행 20가구에서 30가구로 완화돼 29가구까지는 사업승인보다 인허가가 수월한 건축허가만 받고 지을 수 있게 된다.게다가 상업지역 또는 준주거지역에 지어지는 300가구 미만의 주상복합 형태의 원룸기숙사형 주택은 일반 주상복합아파트처럼 건축허가만 받아 짓도록 했다.특히 준주택의 활성화를 위해 오피스텔 건축기준도 대폭 손질한다. 현행 욕실 설치기준(5㎡ 이하로 1개만 설치 허용, 욕조 금지)과 전체 면적의 70% 이상을 업무용으로 설치하도록 한 기준을 없애 사업자가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완화해 주기로 했다.대신 인명과 관련된 안전, 피난, 소음 기준은 지금보다 강화하고, 전용면적 85㎡ 초과 오피스텔에 대한 바닥난방도 여전히 금지된다.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으로 도심지역의 무주택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안정은 물론 전월세 시장 안정 및 민간주택 공급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보금자리 중대형 민간택지 6월부터 공급

빠르면 6월 하순부터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에서 중대형 등 민영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택지를 민간 건설사에 공급한다.또 하남 미사, 고양 원흥지구에는 보금자리주택 외에 민영 중소형 택지공급이 추진된다.14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사전예약을 받은 하남 미사, 고양 원흥, 강남 세곡, 서초 우면 등 시범지구 4곳 가운데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등 공동주택지를 오는 6월부터 민간 건설사에게 분양한다고 밝혔다.분양될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4곳의 민영주택 용지는 총 21개 필지로 1만3천578가구를 건설할 수 있는 규모다.우선 하남 미사와 고양 원흥은 아직 본격적으로 보상이 시작되지 않아 보상 추이에 따라 이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부터 택지를 공급한다.하남 미사는 전체 3만6천229가구 가운데 9천857가구(14개 필지), 고양 원흥은 전체 8천601가구 가운데 1천996가구(3개 필지)가 민영 아파트와 연립주택, 주상복합아파트로 들어선다.강남 세곡과 서초 우면지구는 오는 6월 각 1개 필지씩 2개 필지를 공급한다. 이들 지구는 각각 60%와 80% 이상 협의보상이 진행돼 보상이 완전히 끝나기 전이라도 택지 선수공급이 가능하다.중대형 택지 분양가는 감정가로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추첨을 통해 민간 건설사에 공급되며,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6월 선수공급을 할 세곡과 우면지구에 대한 택지 감정작업에 착수했으며 조만간 분양가를 확정해 매각공고를 낼 예정이다.국토부 관계자는 중소형 민영주택의 과도한 시세차익을 막기 위해 공급가격(조성원가의 110%)을 감정가 등으로 현실화하는 방안과 함께 중소형에도 채권입찰제를 도입하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1기 신도시 집값 ‘붕괴’

전국의 아파트 가격을 주도했던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 아파트 가격이 급락하면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명품신도시를 표방한 분당의 경우 한주만에 수천만원에서 최고 1억원 정도 가격이 떨어진 급매물까지 속출하고 있다.13일 도내 신도시 부동산중개사사무소와 부동산정보업체에 따르면 이달 첫주 1기 신도시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지난주 대비 -0.14로 감소했으며, 이는 서울(-0.07)의 두배, 수도권 평균(-0.08)보다도 큰 수치를 기록했다.또 산본은 지난주 -0.29를 기록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고, 평촌(-0.22), 중동(-0.09), 일산(-0.08), 분당(-0.06) 순으로 하락했다.학군과 교통여건이 양호한 평촌의 경우 3주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지난달 보합세를 보이던 부천시 중동마저도 하락세로 돌아서 1기 신도시 전체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안양시 평촌동 꿈현대 아파트 221.48㎡형(67평)은 한주 사이 2천만원이 하락한 11억4천만~12억7천만원에 매물이 나와 있지만 찾는 사람이 없다. 또 3주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부천시 중동 팰리스카운티 161㎡형(48평)은 2천만원이 하락한 7억3천만~8억2천만원에 매물이 나왔고, 7억1천만원의 초급매물도 선을 보였다.특히 올 들어 계속 내리막을 걷고 있는 분당은 고층의 주상복합아파트와 중대형을 중심으로 가격이 떨어지고 있으며, 판교신도시 입주 여파까지 겹친 분당 수내동 일대 대형 아파트들은 1억원 이상 떨어져 신도시 신화를 무색케 했다. 좀체 가격 하락이 없던 과천도 이달 초 재건축 단지의 확정 용적률(180~250%)이 당초 과천시 요구안(250%)을 크게 밑돌자 최고 4천만~5천만원 떨어지면서 불경기를 실감케 했다.이 같은 상황은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는 보금자리주택과 함께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규제, 집값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수요자들의 기대치 등이 반영돼 기존 아파트 매입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반값 아파트로 불리는 보금자리주택이 3차에 걸쳐 수도권에 집중 발표되면서 내집 마련을 위해 시기를 조율하려는 분위기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닥터아파트 관계자는 신도시는 낙폭이 큰 대형 아파트가 전체 집값을 동반 하락시켰다며 대규모 보금자리주택 공급 등 입주물량이 쏟아지면서 기존 아파트에 대한 실수요자와 투자자의 관심을 끌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2차 보금자리 분양가 책정 ‘골머리’

정부가 집값 하락에 따라 주변 시세와 큰 차이가 없는 고양 원흥 등 2차 보금자리주택의 분양가 책정을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이는 보금자리주택이 주변 시세의 70% 이하로 공급될 것이라는 정부의 기대치와 달리 최근들어 강남권을 제외하고는 80~90%를 넘어섰기 때문이다.12일 국토해양부와 부동산정보업체들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사전예약을 받은 경인지역 시범지구의 분양가가 이미 80~9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고양 원흥지구의 경우 추정 분양가는 3.3㎡당 850만원선으로 인근의 삼송행신화정동 주변의 3.3㎡당 평균 아파트 시세가 전용면적 59㎡형 860만원, 74㎡형 950만원, 84㎡형이 1천50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주변 시세의 82~94%에 달하고 있다.이 같은 사정은 하남 미사지구도 마찬가지다.지난해 10월 사전예약 당시 제시한 미사지구의 3.3㎡당 분양가는 전용 51~59㎡가 930만원, 74~84㎡는 970만원선이지만, 덕풍풍산신장동 등 주변 지역의 아파트 시세는 평균 1천66만원으로, 분양가가 시세 평균가 대비 87~91%에 달한다.이에 따라 국토부는 이달 말 사전예약에 들어가는 2차 보금자리주택지구 6곳 가운데 강남지구 2곳을 제외한 수도권 4곳의 분양가 책정을 앞두고 고민 중이다.수도권 시세가 70%는 커녕, 일부 단지의 경우 정부가 마지노선으로 잡은 85% 수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특히 부천 옥길지구의 경우 전용 84㎡ 이하 주변 시세(인근 범박동, 계수동, 소사본동, 괴안동 등)는 3.3㎡당 817만~936만원 선으로 지구지정 고시 당시인 지난해 12월초 821만~946만원에 비해 하락했다.옥길지구의 분양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만약 800만원 초중반대로 책정되면 시세의 85%를 넘어설 수도 있다.이에 정부는 직할시공제 도입, 민영 아파트 공급 등으로 보금자리주택의 분양가를 최대한 낮출 계획이지만 토지 보상비가 만만치 않아 애로를 겪고 있다.국토부 관계자는 전국적인 집값 하락과 함께 입지여건이 양호한 보금자리주택 주변 또한 덩달아 하락하고 있다며 정부가 약속한 최하 85%선까지 맞추기 위해 사업시행자들과 고민중이라고 말했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소래논현 ‘더 타워’ 등 경기·인천 3곳 청약

지난 8일 국토해양부는 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11만6천438가구로, 전월 대비 소폭(2천601가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경기도의 미분양 물량 증가로 전월 대비 1천500가구 증가한 2만7천326가구를 기록했고, 지방은 신규분양이 적었던 상황에서 업계의 자구노력과 일부 분양 진행 단지의 분양취소 등으로 전월 대비 4천101가구가 감소한 8만9천112가구를 기록해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1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에 따르면 이번 주 분양시장은 청약접수 3곳, 당첨자 발표 1곳, 당첨자 계약 2곳, 모델하우스 개관 1곳 등이 예정돼 있다. 4월의 봄기운이 완연해진 가운데, 분양 성수기를 맞아 청약사업장이 늘어나는 분위기다. 14일 KCC건설은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KCC스위첸의 청약접수를 받는다. 지하 2층~지상 15층 4개동, 전용면적 84~128㎡ 총 226가구 중 119가구를 일반분양하며, 입주는 2012년 상반기 예정이다. 지하철 1호선 소사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고 2015년에 소사~원시 간 복선전철이 개통될 예정이다. 편의시설 홈플러스, 이마트, 소사구청, 가톨릭대부천성모병원, 세종병원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부원초, 소사초, 부천동중, 시온고, 가톨릭대, 서울신학대 등의 학교가 인접한다. 또한 한화건설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래논현지구 C10블록 에코메트로 3차 더 타워 주상복합아파트의 청약접수를 받는다. 지하 5층~지상 51층 3개동, 아파트 644가구(전용 95~140㎡), 오피스텔 282실(전용 46~81㎡)로 구성되며, 입주는 2013년 10월 예정이다. 에코메트로 12차 단지와 함께 대규모 주거타운이 형성될 예정이고 소래대교와 해양생태공원이 인근에 위치한다. 또한 제3경인고속도로가 2010년 개통될 예정이며, 수원~인천 복선전철 소래역이 2011년 개통되면 교통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16일 벽산건설은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블루밍 레이크의 모델하우스를 개관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9층 5개동, 전용 59~145㎡ 총 521가구로 구성되며, 입주는 2013년 2월 예정이다. 자동차 전용도로 과천~봉담 간 고속화도로를 연결하는 월암IC와 서수원IC가 가까워 서울과천과 안산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영동고속도로, 수인산업도로 등 광역교통망 접근도 편리하며, 왕송호수가 인접해 주거의 쾌적성이 높고, 도보 10분 거리에 입북초교가 위치한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