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올림픽의 영향으로 국내외에서 3D TV의 판매 비중이 급격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국내외 가전업체들이 3D TV 판매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시장조사전문기관인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2분기 미국 전역의 소매점에서 판매된 TV중 3D TV 제품의 비중은 30.9%를 기록했다. 이는 1분기보다 3.1%p 증가한 수치로 점유율 30%를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마트 TV 점유율도 1분기 40.9%에서 2분기 44.3%로 증가했으며 LED 백라이트를 채용한 LCD TV 비중 역시 59.2%에서 63.5%로 오름세를 보였다. 이처럼 고급형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2분기 미국 평판 TV 평균 가격은 1분기보다 3% 오른 1천224달러로 최근 2년새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아이서플라이 측은 올해 런던올림픽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이어지면서 소매점들이 고급 TV 제품을 고객에게 선보이려 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에서도 3D TV를 비롯한 고급형 제품의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더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 전자업체들은 3D TV 기술의 우수성을 앞세워 세계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 정도현 부사장은 지난달 실적설명회에서 런던 올림픽은 개막식 등을 3D로 중계한다는 점에서 3D TV 판매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하반기 3D TV 시장 세계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로 마케팅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불황에 불볕더위까지 이어지면서 중고 에어컨의 인기가 급증해 경기지역 중고가전제품 매장마다 에어컨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2일 도내 중고가전매장 등에 따르면 수원 권선동의 리사이클 매장에는 요즘 에어컨 문의전화가 하루에 10여통씩 쏟아지고 있다. 통상 6월에서 7월 중순까지 에어컨 판매가 집중됐던 것과 달리 최근 기록적인 무더위가 계속되자 늦게라도 에어컨을 장만하려는 사람들이 늘었기 때문이다. 매장을 운영하는 이모씨는 벽걸이는 이미 다 판매됐고 스탠드형만 두 대 남아있다며 에어컨을 사고 싶은데 2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 때문에 망설이던 고객들이 중고매장을 찾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중고 매장에 나와 있는 제품들은 대부분 2005년식에서 지난해 출시된 모델까지로 시중가보다 절반에서 3분의 1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이날 매장을 방문한 주부 홍모씨(42)는 거실에 에어컨이 있지만 요즘 너무 더워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어 안방에 놓을 에어컨을 사려 한다며 새 제품을 구입하자니 가격이 부담스러워 중고제품을 알아보러 나왔는데 적당한 에어컨이 없다며 아쉬운 발길을 돌렸다. 성남 야탑동이나 화성 동탄신도시, 용인 성복동 등의 중고매장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에어컨을 찾는 소비자는 크게 늘었지만 물량이 조기에 소진돼 팔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성 중고가전제품 매장 관계자는 보통 에어컨을 신형으로 바꿀 때나 이사를 할 때 중고품을 내놓는데 올해는 경기가 안 좋아 이사도 많이 줄고 에어컨을 바꾸려는 사람도 없어 공급량 자체가 부족하다며 팔려는 사람은 없고 사려는 사람만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지난달 보다 등심 17.4% 축산단체, 판촉 할인전 나서 휴가철을 맞아 삼겹살 판매는 급증한 반면 쇠고기는 수요가 줄고 있어 축산관련단체들이 한우 소비 촉진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일 경기지역 대형마트 등에 따르면 농협수원유통센터 하나로마트에서는 지난 27일부터 31일까지 삼겹살 매출이 한달 전에 비해 21.2% 늘었다. 본격적인 휴가시즌에 들어서면서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 통닭의 매출도 급증해 142.1%의 신장을 보였다. 이는 올림픽으로 인한 야식 특수의 영향도 한 몫 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쇠고기의 판매는 줄어 한우 등심의 경우 17.4% 매출이 떨어졌다. 홈플러스 북수원점도 삼겹살 판매는 한달 전에 비해 30% 급증한 반면 쇠고기 매출은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플러스 북수원점 관계자는 휴가를 떠나기 전 낮에 가족 단위로 장을 보러 와 삼겹살을 사 가는 고객이 크게 늘었다며 삼겹살과 함께 목살의 판매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지만 쇠고기 판매는 주춤한 편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쇠고기 매출이 떨어지면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한우 소비 촉진을 위해 대형 유통업체와 공동으로 한우 암소 6만 마리를 할인 판매하기로 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우선 오는 19일까지 전국 농협유통 56개 매장에서 불고기용 한우 고기를 시중가보다 절반 가량 싼 ㎏당 1만4천200원에 판매한다. 또 AK플라자 분당점에서는 23일까지 유명산지 암소한우 산지직송전을 열어 양평개군한우, 횡성한우 등을 30% 할인된 가격에 내놓는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경기침체와 계절적 요인에 따른 소비부진에 한우소비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할인행사를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불황으로 소비가 위축되면서 경기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경인지방통계청에 따르면 7월 경기도 소비자물가지수는 105.6%(2010년=100.0)로 전월대비 0.3% 하락했고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1.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년 동월비 상승률은 지난 2007년 집계 이후 최저치다. 이처럼 물가상승이 둔화된 것은 물가안정이라는 측면보다는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위축으로 분석되고 있다. 경기가 좀처럼 회복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의식주 등 생활에 필수적인 부분을 제외하곤 지갑을 닫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 가운데 소비자들의 기본생필품을 중심으로 한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6% 하락했으며 전년동월대비 0.6% 상승했다. 생선류, 채소류, 과실류 등을 대상으로 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2.7%, 전년동월대비 0.9% 각각 하락했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0.9% 각각 하락했고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1.0% 하락했지만 전년동월대비 1.3% 상승했다. 전기수도가스는 전월대비 1.9%, 전년동월대비 6.6% 각각 올랐다. 또 집세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4.6% 각각 상승했으며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0.1% 하락한 반면 전년동월대비 1.0% 상승했다. 개인서비스 역시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0.5% 각각 올랐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수원 A호프집은 다음 달부터 병맥주 가격을 500원 올린 4천원에 판매할 계획이다. A호프집은 500㎖ 한 병당 1천700원대에 들여 오는 병맥주를 3년째 올리지 않은 채 3천500원에 판매해 왔지만, 전기료, 수도료, 임대료 등이 줄줄이 오르면서 더 이상 가격을 올리지 않을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번에는 아예 공급되는 맥주값까지 오르면서 원가압박을 견디기 어렵게 됐다. A호프집 업주 이모씨는 그간 맥주 값이 오르지 않은데다 100원, 200원씩 올릴 수 없어 인상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이번에는 하이트맥주를 시작으로 맥주 값이 전반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임에 따라 맥주 값을 15%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라면 값을 4년째 올리지 않은 용인의 B분식점도 이번에는 값을 20% 안팎으로 인상할 예정이다. 분식점에서 취급하는 S라면의 도매가격이 지난해 한 상자(30봉) 1만6천원대에서 1만7천500원으로 5% 이상 올라 하는 수 없이 그동안 유지해 왔던 라면가격을 올리기로 한 것. 업주 김모씨는 한 봉당 30~40원만 올라도 한 상자당 추가비용으로 1천원 안팎이 소요되는데 한 달이면 5~6만원은 훌쩍 넘어선다며 판매가가 소액인데다 서민 음식이라는 인식 탓에 가격을 유지해 왔지만 라면 값이 또 오르면 올리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라면, 맥주 값 인상으로 분식점 및 호프집 등에서 판매되는 음식과 주류 가격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돼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질 전망이다. 30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지난 28일부터 맥주 500㎖ 출고가를 1천19원에서 1천79원으로 6% 안팎으로 인상했고, 삼양식품은 다음 달 1일부터 삼양라면의 가격을 700원에서 770원으로 올리는 등 서민들이 즐겨찾는 6개 품목에 대한 값을 5~10% 인상할 계획이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갤러리아와 함께 올림픽 대표선수를 응원하세요. 갤러리아 수원점이 런던올림픽 기간 동안 풍성하고 이색적인 이벤트를 마련해 눈길을 끌고 있다. 갤러리아 수원점은 SBS와 올림픽 전 경기를 중계할 수 있도록 방송협의를 마쳤으며 중대형 영상차량을 통해 수원시민에게 전 경기를 중계한다. 또 식품관, 푸드코트, 5층 스포츠매장, 8층 카드고객센터 등에 TV를 설치해 우리나라 선수들의 경기를 방영한다. 경품행사도 마련돼 다음달 15일까지 고객들의 응모를 통해 7층 사은데스크에서 골드(1명1천만원), 실버(11명100만원), 브론즈(2천명1만원)를 증정한다. 다음달 7일까지는 금은동메달 개수를 맞추는 고객 1등에 100만원, 2등에 50만원을 증정하고 다음달 12일까지는 매장운영 중 금메달 확정시마다 식품관 1만원 즉시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5만원 이상 구매시, 100명 한정) 이밖에 다음달 2일까지 경기도 대표선수단에 응원 메시지를 보내는 이벤트를 벌이며 백화점 옥외코너에 victory Korea 대표선수단을 응원합니다라는 대형현수막으로 홍보에 나선다. 김종영 점장은 올림픽 기간 중 우리나라 대표선수들의 선전을 기원하며, 나아가 경기도 선수들이 많은 땀을 흘린 만큼 메달을 획득해 건강하게 금의환향했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벤트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해외여행객과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 힘입어 불황에도 상반기 주요 면세점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소비심리 위축으로 상반기 백화점, 대형마트 등 유통업계 전반이 실적 부진에 시달리는 가운데 주요 면세점 매출은 30%대 신장률을 보이며 최고치를 돌파했다. 신라호텔은 신라면세점의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라면세점의 상반기 매출은 9천5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천507억원)보다 39.2% 증가했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601억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152억원)보다 4배 가량 증가했다. 2분기 기준으로는 매출 4천858억원, 영업이익 341억원을 기록, 지난해 2분기(매출 3천387억원영업이익 38억원)보다 43.1%, 797.36% 각각 증가해 역시 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외국인 매출은 중국 관광객의 증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인 비중이 52.6%를 기록, 처음으로 중국인이 일본인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상반기 중국인 매출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1.3% 증가했다. 일본인 매출액은 46.7%, 기타국적 매출액은 20%가 각각 늘었다. 신라면세점은 올해 연 매출이 2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면세점 역시 상반기 사상 최고 매출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소공점의 상반기 매출은 지난해보다 33%가량 늘었다. 제주점 매출은 지난해보다 100%가량 대폭 증가했다. 지난해 롯데면세점은 연매출 2조7천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롯데면세점은 올해 연 매출이 3조원을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면세점도 지난 4월 처음으로 중국인 매출액이 일본인 매출액을 앞서기 시작했다. 제주점을 찾은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만 상반기 12만명(총 86대)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신라면세점과 롯데면세점이 매년 두자릿수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며 상반기 경기불황에도 좋은 실적을 거둔 것은 해외여행객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한 데 힘입은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국토해양부의 지난 25일 발표에 따르면 상반기 국제항공 여객은 지난해보다 14.6% 늘어난 2천287만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0일 상반기 외국인 관광객이 지난해보다 23% 늘어난 533만명을 기록했으며 특히 일본중국 관광객이 30% 이상 늘어났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이번주도 채소값이 소폭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배추는 30일 한 포기에 2천500원으로 지난주에 비해 7.4% 값이 내렸고 시금치도 한 단에 1천800원으로 7.7% 하락했다. 대파도 한 단에 1천450원으로 지난주 1천600원에 비해 9.4% 값이 떨어졌다. 반면 과일값은 지난주보다 상승했다. 배(3입/팩)는 1만4천원으로 지난주 1만1천원에 비해 27.3%, 수박(8㎏/통)도 1만6천500원으로 43.5% 값이 올랐다. 이밖에 돼지고기와 계란도 각각 18.6%, 35.6% 가격이 상승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경기인천지역 주유소 보통휘발유 가격이 일주일새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은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2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경기지역 주유소 보통휘발유 평균가격은 1천934.00원으로 지난 23일(1천910. 68원)에 비해 23.32원 올랐다. 또 인천지역도 이날 주유소 보통휘발유 평균 가격이 1천927.69원을 기록하며 지난 23일(1천904.72)에 비해 22.97원이 비싸졌다. 본격적으로 휴가가 시작되는 다음주 경기지역 주유소 보통휘발유 가격은 1천933원(14)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인천지역도 1천927원(13)도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정유사의 휘발유 공급가격이 7월초부터 3주 연속 큰 폭으로 상승해 휴가철 국내 유가 오름세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유사 휘발유 공급가격은 지난주 대비 ℓ당 27.7원이 오른 886.5원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최저가였던 6월 4주(802.7원) 이후 3주 동안 83.8원이 오른 것이다. 다음주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김모씨(39)는 기름값이 안정세를 찾나 싶더니 장거리 여행을 떠나는 휴가철에 다시 오름세로 돌아서 부담스럽다며 국제 유가가 오를때만 국내 유가가 즉각 반영되는 것 같아 아쉽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는 직전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국내 정유사와 주유소 판매가격에 반영되면서 당분간 국내석유제품 소비자가격은 현재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오는 28일 런던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경기도내 백화점 등 유통업체들이 올림픽 특수를 노린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23일 도내 유통업계에 따르면 AK플라자 수원점은 여름정기세일 마지막 3일인 오는 27~29일 런던 페스티발을 테마로 금메달 상품전, 영국제품 특가전, 스포츠 브랜드 특별할인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 각 층 매장의 인기상품에는 금메달 와펜을 부착해 해당 상품에 한해 최대 70%에서 10%까지 품목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이어 영국 도자기 브랜드인 포트메리온, 로얄알버트에서도 선정된 품목에 한해 할인이 진행된다. 올림픽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는 이벤트들도 다양하다. 경품으로는 순금, 스포츠 브랜드 시착권, 런닝화 등이 제공되고 닌텐도 위와 다트를 이용해 일정점수 이상 획득 시 운동화 교환권 등 여러 상품을 가져갈 수 있다. 갤러리아 수원점도 올림픽 관련 프로모션 준비와 함께 자체 이벤트를 열 예정이다. 수원점은 올림픽에 출전하는 경기도 선수단에 고객들이 응원메시지를 보내는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또 고객이 많이 몰리는 층을 중심으로 매장 곳곳에 모니터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경기를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을 백화점으로 유인하겠다는 계획이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올림픽 특수를 겨냥한 TV 특가 이벤트가 열린다. 인터파크는 런던 올림픽이 진행되는 다음달 13일까지 32인치 LED TV를 동종사양 대비 최저가인 29만8천원에 판매하고 이날부터 9.7인치 스마트패드를 단독 론칭해 300대 한정수량 19만9천원에 판매한다. 도내 한 백화점 관계자는 올림픽 기간 동안 고객들과 함께 대한민국 선수단의 선전을 기원하고자 한다며 런던 올림픽이 침체돼 있는 업계 분위기를 날려버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