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2.8배↑…영유아 백신 접종 첫날, 접종 건수 3건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전날의 2.8배로 늘어난 가운데 영유아 백신 접종 첫날 접종자가 단 3명에 그쳤다.  1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4천371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5천174명)보다 9천197명 많은 2.8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말 줄었던 진단 검사 건수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1주 전인 지난 7일(1만6천112명)보다는 1천741명, 2주 전인 지난달 31일(1만9천615명)보다는 5천244명 각각 줄어들었다. 위중증 환자는 245명이며 사망자는 11명이다. 경기지역에선 3천45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지난 13일 시작된 영유아 대상 백신 접종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3일 오후 6시까지 영유아 백신 접종 건수는 3건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유행이 안정세에 접어들면서 예방접종 자체에 대한 관심이 낮아진 데다 이상 반응 등에 대한 우려로 접종을 꺼리는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영유아 백신은 만 6개월에서 4세까지 누구나 맞을 수 있으며, 방역당국은 고위험군 영유아에게 접종을 적극 권고하고 있다. 

일요일 기준 32주 만에 최소… 13일부터 영유아 백신 접종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요일 기준 32주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가운데 13일부터 영유아를 대상으로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1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2천51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1만2천805명)보다 754명 적으며 1주일 전인 지난 5일(1만4천11명)보다도 1천960명 줄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일요일(발표일) 기준으로도 지난해 7월3일(1만36명) 이후 32주 만에 최소치다. 위중증 환자는 268명이며 사망자는 23명이다. 경기지역에선 2천679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13일부터 만 6개월에서 4세까지 영유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처음 실시된다. 접종에는 영유아용 미국 화이자사 백신이 사용되며 8주 간격으로 3회의 기초 접종이 진행된다. 3번째 접종 시점에 5세가 되더라도 소아백신을 맞지 않고 동일하게 영유아용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을 완료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영유아는 소아·청소년보다 중증·사망 위험이 높다”며 “면역이 저하됐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영유아는 주치의와 상의해 접종에 참여해달라”고 밝혔다.

1주 전보다 2천여명 감소… 2가백신별 통증·피로감 유사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들이 1주 전보다 2천여명 감소한 가운데 백신별 접종 후 증상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4천664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1만7천934명)보다 3천270명 적으며 1주일 전인 지난 2일(1만6천856명)보다도 2천192명 줄어든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293명으로 나흘 연속 300명대 아래를 유지했다. 사망자는 34명이다. 경기지역에선 3천46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당국이 코로나19 2가백신(개량백신) 동절기 추가 접종자를 대상으로 능동감시한 결과 백신별로 접종 후 증상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의 자료를 보면 개량백신을 접종받은 1만여명 중 가장 많이 확인된 증상은 주사 부위 통증, 근육통, 피로감 등이다.  이 같은 증상은 화이자 BA.1과 BA.4/5, 모더나 BA.1과 BA.4/5 백신 모두 유사했다. 증상 보고는 모든 2가백신에서 접종 후 1일차에 가장 많았으며  2일차부터 보고 건수가 점차 감소해 7일차에 최저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추진단 관계자는 “접종 후 최소 3일은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1주 전보다 3천여명↓… 질병청장 "중국 비자제한 조기 해제 검토"

일일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이 일주일 전보다 3천여명 감소한 가운데 방역당국이 중국 단기비자 발급 제한 조치에 대해 조기 해제를 검토 중이다.  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6천120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5천850명)보다 1만270명 증가했지만 1주 전인 지난달 31일(1만9천617명)과 비교하면 3천497명 줄어들었다. 위중증 환자는 293명으로 이틀 연속 200명대를 유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1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달 24일(10명) 이후 14일 만에 최소다. 경기지역에선 3천85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당국이 1월 초부터 시행하고 있는 중국인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 제한 조치를 예정됐던 2월 말에서 앞당겨서 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이 상당히 안정·감소세로 돌아선 것이 확실해 보인다”며 “우려했던 춘절 이후 확산 추세와 변이 바이러스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현재 적용 중인 중국발 입국자 PCR 검사 의무화는 예정대로 이달 말까지 유지하되 단기비자 발급 제한 등 조치는 중국 상황을 반영해 조기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작년 6월 이후 확진자 ‘최소치’… 마스크 영향 계속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약 9개월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 역시 감소폭을 그렸다.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1만4천18명)보다 8천168명 적은 5천850명이다. 검사를 희망하는 사람이 적어 확진자도 감소하는 이른 바 ‘휴일 효과’의 영향을 받은 지난 5일 일요일(발표일 기준)보다 감염사실이 더 적게 확인된 것이다. 더욱이 이날 확진자는 지난해 6월27일(3천419명) 이후 224일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또 1주일 전인 지난달 30일(7천412명)보다 1천562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3일(9천215명)보다는 3천365명 줄어 확연한 감소세를 이어갔다. 위중증 환자는 289명으로 지난해 11월1일(228명) 이후 200명대로 내려앉았으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18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천54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처럼 뚜렷한 감소세에 대해 방역 당국은 마스크 착용의 효과로 분석했다.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는 지난달 30일 이뤄졌으나 여전히 많은 시민이 마스크를 쓰고 다니고 있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마스크를 벗는 사람이 늘어나면 감염이 증가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며 “고위험군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2가 개량백신의 접종을 맞아달라”고 당부했다.

일주일 전보다 4천여명 ↓… PCR 검사 후 처음으로 중국발 확진자 0명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 전보다 4천여명 줄어든 가운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가 강화된 후 처음으로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4천18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1만4천624명)보다 606명 감소했다. 또한 1주 전인 지난달 29일(1만8천864명)보다 4천240명, 2주 전인 지난달 22일(1만6천615명)보다는 1천991명 각각 줄어들었다. 위중증 환자는 313명이며 사망자는 22명이다. 경기지역에선 3천12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중국발 단기 체류 외국인 입국자에 대한 PCR 검사를 의무화한 지 약 한 달 만에 처음으로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중대본은 지난 3일 0시 기준 중국에서 출발해 입국한 1천136명 중 단기 체류자 164명이 공항에서 검사를 받았으나 이중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은 0명이라고 밝혔다. 한편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가 시행된 지난달 2일부터 전날까지 중국발 입국자 4만9천630명 중 단기 체류 외국인 9천212명이 검사를 받았으며 이 중 7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누적 양성률은 8.4%다.

전날보다 소폭 증가… BN.1 변이 국내 우세종 됐다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들이 소폭 증가한 가운데 국내에서 BN.1이 기존 바이러스를 밀어내고 새로운 우세종이 됐다.  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420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1만9천629명)보다도 791명 증가했으며 일주일 전인 지난달 25일(1만9천527명)보다 839명 늘어났다. 다만 2주 전인 지난 18일(3만6천892명)과 비교하면 1만6천472명 줄어들었다. 위중증 환자는 359명이며 사망자는 42명이다. 경기지역에선 4천735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국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우세종이 BN.1로 바뀌었다. 이날 중대본이 발표한 주간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을 보면 BN.1의 국내 감염률은 50.4%다. 당국은 특정 변이의 국내 검출률이 50%를 넘으면 우세종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로써 BN.1은 델타, BA.1, BA.2, BA.5 변이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 우세종이 됐다. BN.1의 전체 감염률은 48.9%이며 전주 대비 2.6%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BN.1은 BA.2.75에서 재분류된 하위 변이로 BA.5.2보다 검출률 증가 속도가 45%가량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우세종이었던 BA.5 변이의 검출률은 18.2%로 직전 주보다 3.8%p 낮아졌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