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성길 전국에 눈·비…오후부터 차차 그치고 '기온 뚝'

전국에 흐리고 눈이나 비가 오다가 오후 서해안부터 그치기 시작해 밤에 대부분 그칠 것으로 보인다. 예상 강수량은 지리산 부근과 경남 남해안, 제주 1030㎜, 중부지방, 남부지방(지리산 부근과 경남 남해안 제외), 서해 5도, 울릉도독도 520㎜다. 강원 영서 중북부, 강원 산지에는 15㎝, 강원 영서 남부에는 1㎝ 안팎의 눈이 예보됐다. 일부 중부 내륙과 경북 내륙에는 비 또는 눈이 얼거나 눈이 쌓이는 곳이 있겠고, 그 밖의 지역에서도 비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울 것으로 보여 귀성길 교통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오전 5시 현재 주요 지역 기온은 서울 2.1도, 인천 3.3도, 수원 3.1도, 춘천 -0.1도, 강릉 6.2도, 청주 2.4도, 대전 3.4도, 전주 8.2도, 광주 6.6도, 제주 17.4도, 대구 2도, 부산 10.1도, 울산 6.4도, 창원 3.1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416도로 예보됐다. 기온 분포는 평년보다 510도 높겠으나 오후 6시 이후부터 기온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세먼지 농도는 세종과 충북에서 '나쁨', 그 밖의 권역에서 '보통' 수준으로 예상된다. 다만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은 오전과 밤에 '나쁨' 수준 농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해안과 강원 산지를 중심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고, 내륙에서도 약간 강하게 불 것으로 보인다. 서해안과 내륙에는 짙은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으며 비가 내리면서 가시거리가 짧은 곳이 많을 것으로 보여 교통안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제주 모든 해상(북부 앞바다 제외)과 남해 동부 먼바다에 풍랑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강한 바람과 함께 매우 높은 물결이 일고, 오후부터는 그 밖의 먼바다에서도 물결이 차차 매우 높아지겠다. 바다의 물결은 남해 먼바다에서 1.54m, 동해 먼바다에서 14m, 서해 먼바다에서 13m로 일겠다. 앞바다의 파고는 남해와 동해 0.52.5m, 서해 0.52m로 예보됐다. 연합뉴스

낮부터 기온 떨어져…서울·경기 제외 전국서 비나 눈

31일은 전국이 흐린 가운데 서울경기를 제외한 전국에 비나 눈이 내리겠다. 낮부터는 찬 공기가 유입되면서 평년보다 1~5도가량 낮은 온도를 보이겠다. 이날 낮 최고기온은 -1~5도로 예보됐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0.3도, 인천 -0.6도, 수원 1.0도, 춘천 -1.5도, 강릉 6.2도, 청주 2.6도, 대전 2.8도, 전주 1.1도, 광주 2.0도, 제주 6.4도, 대구 4.5도, 부산 6.7도, 울산 5.2도, 창원 4.2도 등이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에서 '좋음'~'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다만 국내외 미세먼지의 남진으로 전국에서 오전에 '나쁨' 수준의 농도가 나타날 수 있겠다. 예상 강수량은 제주도 10~40㎜, 남해안 5~20㎜, 강원영동남부지방울릉도독도 5~10㎜, 충북남부강원영서남부 5㎜ 미만을 기록하겠다. 적설량은 강원영동전라동부내륙경남서부내륙경북울릉도독도에서 3~8㎝, 전라도경남제주도에서 1~15㎝로 예보됐다. 오후까지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 남부 내륙에는 다소 많은 눈이 내려 쌓이는 곳이 있겠고, 내린 눈이 얼어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있어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바다의 물결은 앞바다에서 서해 0.5~3.0m, 남해 0.5~2.5m, 동해 1.0~3.5m 높이로 일겠다. 먼바다의 파고는 서해동해 2.0~4.0m, 남해 1.5~4.0m로 예보됐다. 대부분 해상에서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높겠다. 제주도 남쪽 해상에는 돌풍과 천둥번개가 치는 곳이 있어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들은 주의가 필요하다. 연합뉴스

중부내륙 출근길 눈 또는 비…강풍 불며 낮부터 기온 뚝

월요일인 28일은 오후부터 찬 공기가 유입되며 기온이 떨어지겠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2.8도, 인천 3.2도, 수원 1.9도, 춘천 1.3도, 강릉 4.4도, 청주 2.3도, 대전 2.7도, 전주 4도, 광주 2.5도, 제주 7.6도, 대구 -1.2도, 부산 2.1도, 울산 1도, 창원 1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211도의 분포를 보이겠다. 기상청 관계자는 "28일 오전까지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으나 오후 들어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며 추워지겠다"며 "29일 아침에는 중부내륙을 중심으로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이 많겠다"고 설명했다. 전국에 구름 많다가 오전부터 차차 맑아지겠다. 강원 영서에는 눈이 내리겠다. 그 밖의 중부내륙과 남부내륙에는 산발적으로 눈이 날리거나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강원 영서, 울릉도와 독도의 예상 강수량은 5㎜ 미만이다. 눈이 내리는 곳은 1㎝ 안팎의 눈이 쌓이는 곳도 있겠다. 서울과 일부 경기도, 강원도, 충북, 경상도, 전남동 부에는 건조 특보가 발효돼 산불 등 화재 예방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이 '보통' 수준으로 예상된다. 다만 황사를 포함한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돼 남하하며 호남권을 포함한 중부지역은 오전에, 영남권과 제주권은 오후에 농도가 높을 것으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내다봤다.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에는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겠다. 먼바다를 중심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고 높은 물결이 일어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 앞바다 0.52.0m, 남해 앞바다 0.51.5m, 동해 앞바다 1.03.0m로 일겠다. 먼바다의 물결은 서해 1.52.5m, 남해 1.03.0m, 동해 2.05.0m로 예보됐다. 연합뉴스

일요일 아침 찬바람…서울 체감온도 -10도

일요일인 27일도 곳곳에서 기온이 -10도 안팎으로 떨어지는 등 강추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14-1도, 낮 최고기온은 311도로 예보됐다. 서울은 아침에 최저 -6도까지 기온이 떨어지고 체감온도는 -10도로 더욱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기 확산이 원활해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모든 권역에서 '보통' 또는 '좋음'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전국이 대체로 맑다가 오후부터 구름이 많아지고, 강원 영동을 제외한 중부지방에 오후 6시 이후 눈이 날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예보됐다. 서울과 일부 경기, 강원, 충북, 경상, 전남 동부에 건조 특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실효습도가 2035%에 머무는 등 대기가 매우 건조하겠고, 그 밖의 지역도 건조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날 새벽까지 해안과 제주를 중심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고 그 밖의 지역도 강하게 불어 산불 등 각종 화재 예방에 신경써야 한다. 남해와 동해 해상은 이날 오전까지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어 물결이 매우 높게 일겠다. 동해안은 너울로 인해 높은 물결이 해안도로나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겠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와 먼바다에서 0.53m와 1.54m, 남해 앞바다와 먼바다에서 0.52m와 0.53m, 서해 앞바다와 먼바다에서 0.52m와 0.52.5m로 일겠다. 다음은 27일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 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 오후 강수 확률 ▲ 서울 : [맑음, 구름많음] (-65) 0, 30 ▲ 인천 : [맑음, 구름많음] (-45) 0, 30 ▲ 수원 : [맑음, 구름많음] (-86) 0, 30 ▲ 춘천 : [맑음, 구름많음] (-115) 0, 30 ▲ 강릉 : [맑음, 구름많음] (-211) 0, 20 ▲ 청주 : [맑음, 구름많음] (-86) 0, 20 ▲ 대전 : [맑음, 구름많음] (-87) 0, 20 ▲ 세종 : [맑음, 구름많음] (-127) 0, 20 ▲ 전주 : [맑음, 구름많음] (-66) 0, 20 ▲ 광주 : [맑음, 구름많음] (-68) 0, 20 ▲ 대구 : [맑음, 구름많음] (-78) 0, 20 ▲ 부산 : [맑음, 구름많음] (-210) 0, 20 ▲ 울산 : [맑음, 구름많음] (-511) 0, 20 ▲ 창원 : [맑음, 구름많음] (-48) 0, 20 ▲ 제주 : [구름조금, 구름많음] (38) 10, 20 연합뉴스

매서운 찬바람에 체감온도 '뚝'…미세먼지는 '보통'

토요일인 26일은 강한 바람이 불면서 체감온도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 5시 주요 도시 기온은 서울 -5.9도, 인천 -4.6도, 춘천 -10.9도, 대전 -5.3도, 전주 -4.1도, 광주 -2.2도, 대구 -3.0도, 부산 -2.3도 등이다. 강한 바람으로 서울 아침 체감온도는 한때 -13도까지 내려가기도 하겠다. 27일 낮부터는 따뜻한 서풍이 유입되면서 추위가 누그러지고 평년보다 따뜻해질 전망이다. 대기 확산이 원활해 미세먼지는 대부분 권역이 '보통' 수준일 것으로 예보됐다. 중국에 위치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강원 남부와 경북 북부 해안가에서는 아침까지 구름이 많고 눈이 오는 곳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아침까지 강원과 경북 지역의 예상 적설량은 1㎝ 내외다. 이곳에서는 밤사이 내린 눈이 쌓여 도로가 미끄러울 수 있다. 남해 앞바다를 제외한 전해상에 현재 풍랑특보가 발효됐다.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파도도 높을 것으로 예상돼 항해나 조업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특히 동해에서는 돌풍과 천둥번개가 예상되며 파도가 해안도로나 방파제를 넘기도 하겠다. 바다의 물결은 앞바다에서 서해 0.5~4.0m, 남해 0.5~2.5m, 동해 2.0~4.0m 높이로 일겠다. 먼바다의 파고는 서해 2.0~4.0m, 남해 0.5~4.0m, 동해 3.0~6.0m로 예보됐다. 연합뉴스

한·중, 미세먼지 2∼3일전 조기경보…발생·이동경로 조사확대

한중 미세먼지 조기경보체계가 공동 구축된다. 양국 간 '청천(맑은 하늘) 프로젝트' 조사 대상 지역과 관측 방식도 확대된다. 환경부와 외교부는 지난 22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중 환경협력 국장회의, 한중 환경협력 공동위원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공동위 및 국장회의에서 양측은 양국 공동관심사인 ▲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및 황사 ▲ 수질오염 예방 및 관리 ▲ 환경산업과 기술 ▲ 해양오염 대응 ▲ 지역 및 글로벌 차원 환경협력 강화방안(NEASPEC, TEMM 등)에 대해 협력 강화방안을 모색했다. 양국은 ▲ 환경 오염의 건강 영향 연구 ▲ 환경기술산업협력 등 7개 기존 협력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우리 측이 새롭게 제안한 대기 질 예보 정보 및 예보 기술 교류, 한중 광산 지역 토양오염 관리 공동연구사업,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한중간 환경 정책 공동연구 등 3개 신규사업에 착수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측은 최근 재난 수준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등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 불안이 가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 삶의 질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저감하기 위해 양국이 함께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중국 측은 자국 내 정책을 통해 2013년 이래 주요지역 대기 질이 40% 이상 개선되는 등 중국 내 생태환경 전반의 질이 뚜렷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기적 대응이 필요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한국 정부와 국민이 인내심을 갖고 중국과 협력해 나가자고 언급했다고 환경부와 외교부는 전했다. 양측은 미세먼지를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해 미세먼지 관련 별도 전문가분과 창설, 대기 질 예보 정보기술 교류 프로그램(미세먼지 조기경보체계) 착수, 한중 공동연구 사업(청천 프로젝트) 범위 확대, 지방정부 간 미세먼지 교류협력 확대 지원에 합의했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조기경보체계에 대해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예보를 통해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우리 환경부가 제안해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유제철 환경부 생활환경정책실장은 "구축이 완료되면 양국의 예보 결과를 실시간 공유해 예보 정확도가 향상돼 고농도 미세먼지가 예상되면 23일 전 경보를 발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협력 내용과 일정 등은 다음 달부터 실무협의를 통해 논의할 계획이다. 논의 결과는 올해 하반기 일본에서 개최되는 제21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 21)에 보고할 계획이다. 양측은 미세먼지 발생과 이동 경로를 규명하기 위해 2017년 5월 시작한 청천 프로젝트 범위를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이 프로젝트 대상 지역은 지난해 중국 4개 도시(베이징바오딩창다오다롄)에 2개 도시(탕산선양)가 추가돼 총 6개 도시로 늘어난다. 청천 프로젝트는 지상과 항공 관측을 중심으로 중국 북부지역 주요 도시의 대기오염물질 특성을 파악하고 오염 원인을 규명하는 한중 공동조사 연구사업이다. 양국을 넘어 다자적인 차원에서는 작년 10월 출범한 동북아 청정대기 파트너십(NEACAP)이 대기오염과 관련한 협력체로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한중 양국이 지속해서 협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LTP) 보고서'를 올해 하반기 일본에서 한중일 환경장관회의가 열릴 때 발간될 수 있도록 한중 양국, 한중일 3국 간 협의할 계획이다. 앞서 한중일 3국은 지난해 이 보고서를 공개할 예정이었지만 중국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이번 회의에 한국 측에서는 공동위에는 권세중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이, 국장회의에는 황석태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중국 측에서는 미세먼지를 담당하는 궈 징 생태환경부 국제합작사 사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