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숨 막히는 미세먼지…10개 시·도 비상저감조치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13일에 이어 14일에도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곳곳에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다. 환경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는 14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서울, 인천, 경기(연천가평양평 제외) 지역에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다. 수도권에서 이틀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는 것은 지난해 1월과 3월에 이어 세 번째다. 아울러 부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북에서도 이날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다.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는 지역은 총 10개 시도이다. 이날 미세먼지 농도는 전날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보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수도권강원 영서충청권광주전북에서 '매우 나쁨', 그 밖의 권역은 '나쁨' 수준으로 예상했다. 대기가 정체되면서 '나쁨'으로 예보된 지역도 '매우 나쁨' 수준으로 나타날 수 있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기준은 지방자치단체마다 다르다. 수도권은 당일 오후 4시(16시간)까지 하루 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50㎍/㎥를 넘고 다음 날(24시간) 하루 평균 초미세먼지가 50㎍/㎥를 넘을 것으로 예보될 때 발령된다. 비상저감조치 발령에 따라 수도권에서는 행정공공기관 차량 2부제가 시행된다. 수도권 3개 시도에 위치한 행정공공기관 소속 임직원은 차량 2부제를 의무적으로 적용받는다. 14일은 짝숫날이므로 차량번호 끝자리가 짝수인 차량만 운행할 수 있다.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2부제에 동참하면 된다. 서울시 전역에서는 2005년 12월 31일 이전 수도권에 등록된 총중량 2.5t 이상 노후 경유 차량 운행이 제한된다. 위반 시에는 과태료 10만원이 부과된다. 단, 저감장치 부착 등 저공해 조치를 한 차량은 제외된다. 운행 제한 대상 차량은 약 32만대이며, 이 중 서울 등록 차량은 20만대가량이다. 서울시의 노후경유차 운행 제한은 작년 11월 7일 이후 두 번째다. 미세먼지특별법이 시행되는 다음 달 15일부터는 운행 제한 지역이 수도권 전역(서울 ,경기, 인천)으로 확대된다. 운행 제한 대상 차량도 휘발유와 가스차를 포함해 배출가스 5등급 차량(수도권 80만대)으로 늘어난다. 서울시는 아울러 이날 공공기관 주차장 434곳을 전면 폐쇄하고, 관용차 3만3천여대의 운행을 중단한다. 공공기관 대기배출시설 12곳의 가동률도 낮춘다.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은 사흘째 운영을 중단한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441개 건설공사장은 공사시간 단축, 노후건설기계 이용 자제, 살수 차량 운행과 같은 미세먼지 발생 억제조치를 시행한다.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맺은 수도권 사업장 55곳은 액화천연가스(LNG) 등 친환경 연료 우선 사용, 배출시설 효율 개선 등의 조치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많은 화력발전의 출력을 80%로 제한하는 조치를 경남과 전남을 제외한 전국에서 실시한다. 이번 고농도 미세먼지는 북서기류에 의한 국외 초미세먼지와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가 정체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와 환경부는 시민에게 가급적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외출할 경우 보건용 마스크 착용을 당부했다. 연합뉴스

고농도 미세먼지 덮친 주말… 수도권, 올해 첫 ‘비상저감조치’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려 올해 경기도 내 처음으로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가운데 주말 동안 야외 시설을 찾으려던 발길이 끊긴 대신 실내 시설을 찾는 발길이 늘었다. 환경부는 13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도내 연천군, 가평군, 양평군 등 3개 지역을 제외하고 전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 조치가 발령됨에 따라 인천지역 등 화력발전 출력은 제한됐고, 어린이와 노약자 등에겐 야외 외출을 자제하는 권고가 내려졌다. 이 때문인지 도심 밖 거리에는 인적이 줄어들어 다소 썰렁한 모습이었다. 야외 관광지들은 주말 여행객을 잡기 위해 명소 내 마스크를 판매ㆍ비치하거나 물청소를 진행했지만 발길이 크게 늘진 못했다. A 놀이시설은 미세먼지 때문에 매장 운영시간을 단축하거나 폐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 대신 곳곳에 마스크를 뒀다며 방문객이 크게 늘어나진 못했지만 조금이나마 이러한 대책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B 민속촌은 민속촌 곳곳에서 마스크를 판매하거나 물청소를 진행해 미세먼지 피해를 줄이고자 했다면서도 주말이라 관람객이 크게 늘어날 것을 기대했는데 미세먼지가 심한 탓에 결과가 성공적이진 못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카페, 영화관, 백화점 등 실내시설은 미세먼지에 대피한 수많은 발길로 분주한 주말을 보냈다. 복합상영관이 있는 C 대형쇼핑몰을 찾은 한 시민은 영화가 끝나면 곧장 집으로 들어갈 것이라며 미세먼지가 오늘처럼 심한 날은 되도록 실내 활동만 하려고 하는데, 해가 갈수록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 많아지다 보니 야외 활동 횟수가 줄어드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4시까지 하루 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경기(81㎍/㎥), 충북(85㎍/㎥), 전북(79㎍/㎥)에서 매우 나쁨(76㎍/㎥ 이상) 수준을 보였다. 이번 고농도 미세먼지는 중국 북동지방 고기압 영향으로 대기 정체 상태가 지속돼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비상저감조치는 14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며, 수도권에 이틀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는 것은 지난해 1ㆍ3월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 경기도에 332대의 도로청소차를 투입하고, 행정ㆍ공공기관이 운영하는 대기배출 사업장의 단축 운영 등 조치를 내리는 등 미세먼지 저감에 각종 노력을 쏟고 있다며 오는 2월15일부터는 민간까지 참여하는 강도 높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므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문기자

올해 첫 일요일, 낮부터 맑아…미세먼지 '보통'

올해 첫 일요일인 6일은 전국 대부분은 구름이 많다가 낮부터 맑아지겠다. 제주도는 가끔 구름이 많겠고, 울릉도독도에는 5~10cm의 눈이나 5~20mm의 비가 내리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대기 확산이 원활해 전 권역에서 '보통'을 나타내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14~0도, 낮 최고기온은 1~10도로 예보됐다. 기온은 당분간 평년과 비슷한 분포를 보이겠다. 다만 현재 한파특보가 발효 중인 경기 북부강원 영서충북 북부경북 북부의 경우 아침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오전까지는 동해안에 너울로 인한 높은 물결이 해안도로나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어 안전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남해 앞바다에서 0.5~1.5m, 동해 앞바다에서 0.5~2.0m 높이로 일겠다. 먼바다의 파고는 서해 0.5~2.0m, 남해 1.0~2.5m, 동해 1.0~3.0m로 예보됐다. 다음은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 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 오후 강수 확률 ▲ 서울 : [구름많음, 맑음] (-62) 20, 0 ▲ 인천 : [구름많음, 맑음] (-61) 20, 0 ▲ 수원 : [구름많음, 맑음] (-72) 20, 0 ▲ 춘천 : [구름많음, 맑음] (-112) 20, 0 ▲ 강릉 : [구름많음, 맑음] (-17) 20, 0 ▲ 청주 : [구름많음, 맑음] (-63) 20, 0 ▲ 대전 : [구름많음, 맑음] (-75) 20, 0 ▲ 세종 : [구름많음, 맑음] (-94) 20, 0 ▲ 전주 : [구름많음, 구름조금] (-54) 20, 10 ▲ 광주 : [구름많음, 구름조금] (-46) 20, 10 ▲ 대구 : [구름많음, 맑음] (-56) 20, 0 ▲ 부산 : [구름많음, 맑음] (010) 20, 0 ▲ 울산 : [구름많음, 맑음] (-29) 20, 0 ▲ 창원 : [구름많음, 맑음] (-37) 20, 0 ▲ 제주 : [구름많음, 구름많음] (47) 20, 20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