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주택건설업체 사업포기등 경영난 가중

전국적으로 3천367개 주택건설업체 가운데 97%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주택건설업체들이 사업포기에 따른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주택건설업계에 따르면 IMF체제 이후 극심한 침체를 겪고 있는 중소주택건설업체들의 주택분양실적이 2년째 감소하면서 업체들의 극심한 경영난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 대형업체의 분양 아파트와 중소업체가 분양하는 아파트 사이의 선호도가 뚜렷하게 대조되는 분양시장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자 분양에 나서는 업체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주택건설사업협회에 따르면 사업계획승인 기준으로 중소주택건설업체들은 지난 97년 전국에서 25만8천가구(경기도 2만6천321가구)를 내놓았으나 지난해에는 13만6천가구(도내 1만6천383가구)를 공급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감소세는 올해도 이어져 지난달말 현재 중소업체가 전국에서 내놓은 주택은 3만520가구(도내 1만6천643가구)에 그치고 있어 최근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주택경기를 감안하더라도 연간으로 작년수준에 도달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업체수 기준으로 올 9월말까지 전국에서 분양에 나섰던 중소업체 수는 전체의 2.9%인 100개사(도내 25개사)에 불과해 대부분의 업체들이 사업포기로 인해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 도내 주택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주택보급률이 점차 상승되고 있는 추세에서 중소주택건설업체들이 차별화 대책이 없는 한 주택시장의 양극화 현상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민간주택 공급물량의 60% 이상을 차지했던 중소업체의 몰락으로 앞으로 주택시장은 대형업체 위주의 독점적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11월중 경기·인천지역 아파트공급계획

인기주거지역인 용인일대의 아파트 청약열기로 신규 아파트 공급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는 가운데 주공을 비롯, 주택건설업체들이 11월중 경기·인천지역에서 2만1천17가구분의 신규 아파트를 분양한다.<표참조> 이는 올해 최대물량을 공급한 지난10월 2만1천427가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주택건설업체들은 하반기 용인을 비롯, 수도권 아파트 분양시장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분양 열기의 여세를 몰아 공급물량을 늘리고 있다. 28일 주택공사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11월중 경기·인천지역에서 신규분양되는 아파트는 주공이 4천140가구, 한국주택협회소속 회원사 1만2천608가구, 대한주택건설사협회소속 회원사 4천269가구 등 모두 2만1천17가구분를 공급한다. 경기지역에서 2만652가구가 분양되며 인천지역에서는 365가구만이 분양된다. 주공은 의정부 금오지구에서 국민임대 1천450가구, 수원 정자지구에서 국민임대 341가구, 수원 매탄지구에서 공공임대 414가구, 의정부 송산지구에서 공공분양과 근로복지 등 각각 970가구와 600가구, 인천 화수지구에서 365가구를 공공분양하는 등 모두 4천140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건설사로는 현대산업개발㈜이 수원시 망포동 561가구를, ㈜한진중공업이 구리시 인창동에서 953가구를, SK건설㈜과 LG건설㈜이 부천 상동지구에서 496가구를, 한신공영㈜이 용인시 삼가동에서 514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또 롯데건설㈜이 용인시 수지읍 상현리에서 992가구를, 남광토건㈜이 남양주 퇴계원에서 305가구를, ㈜신일건업이 용인시 구성면 상하리에서 510가구를 공급한다. 이밖에도 현진종합건설㈜이 여주군 가남면 신해리에서 1천67가구의 임대아파트를 분양하는 것을 비롯, 삼호건설㈜이 용인시 수지읍 신봉리에서 1천52가구를 분양한다./박승돈기자

경기·인천지역 산업활동 성장세 다소 둔화

올들어 경기·인천지역의 산업활동은 꾸준히 호전되고 있는 가운데 9월중에는 추석연휴 등의 영향으로 생산과 제품출하 등의 증가율이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 경기·인천통계사무소에 따르면 경기지역의 경우 생산과 출하는 전년동월에 비해 각각 31.9%, 39.0%가 증가, 지난 8월 45.2%, 49.8%가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율은 다소 둔화됐으나 컴퓨터, 반도체 등의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등 지속적인 신장세를 보였다. 인천지역도 추석연휴 등의 영향으로 생산과 제품출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17.4%, 14.5%가 증가해 33.6%, 35.5%가 늘어난 전월과 비교해 증가율은 낮아졌지만 여전히 두자리수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와함께 생산자제품 재고의 경우는 경기지역이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면서 2.0%가 감소한 반면 인천지역은 전월에 1.0%가 늘어난데 이어 또 2.1%의 재고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지역의 주요업종별 출하동향은 휴대용컴퓨터 등 사무계산 및 회계용기계가 147.8%나 늘어난 것을 비롯, 자동차 및 트레일러부문(94.7%), 영상·음향 및 통신기계부문(47.6%), 기타기계 및 장비제조업부문(17.3%) 등도 크게 늘어났다. 또 인천지역은 스프링이나 절삭공구 등 조립금속제품부문이 95.3%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것을 비롯해 자동차 및 트레일러제조부문(36.2%), 기타기계 및 장비부문(23.2%) 등도 지속적인 호조세를 보였다. 이밖에 건설발주액은 경기지역이 1조4천707억8천200만원으로 전년동월비 126.4%, 전월비 39.9%가 증가한 반면 인천지역은 856억3천200만원으로 각각 65.9%, 34.1%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강경묵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