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그라드는 지방·非아파트 전세 시장...거래총액 역대 최저 [한양경제]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한양경제 기사입니다. 전세 시장에서 보증금 보장 불신이 커지며 임차인들이 전세를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세 사기가 주로 일어난 빌라나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 전세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 거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와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부동산 전문 플랫폼 직방이 주택 전세 거래총액을 분석한 결과, 올해 전국 주택 전세 거래총액은 아파트 181조5천억원, 비아파트 44조2천억원으로 조사됐다. 비중을 살펴보면 아파트 80.4%, 비아파트 19.6%다. 주택 전세 거래총액에서 비아파트 비중이 20%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는 2011년 주택 임대 실거래가가 발표된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아파트 전세 시장은 올해 들어 가격이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으나, 비아파트 전세 시장의 침체는 장기화되고 있다. 올해 권역별 주택 전세 거래총액은 수도권 178조4천억원, 지방 47조4천억원으로 조사됐다. 비중은 수도권 79.0%, 지방 21.0%로 나타났다. 지방 주택 전세 거래총액 비중은 2014년 20.3%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22.2%)에 비해 1.2%포인트 낮아져 2015년 이후 가장 큰 폭의 변화가 나타났다. 올해 지방의 비아파트 전세 거래총액 비중은 2.5%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지방 아파트도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비중인 18.5%로 집계됐다. 수도권도 비아파트 주택 전세 거래총액 비중이 17.1%를 나타내면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 비중만 61.9%로 역대 최대를 차지하면서 지역별·주택유형별 전세 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올해 인천과 경기의 아파트 전세 거래총액 비중은 80%를 넘어섰으며, 서울도 75.4%의 비중으로 수도권에 속한 3개 시도지역에서 역대 최대 비중을 보였다. 경기 아파트 전세 거래총액이 80%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고, 인천은 2016년 80.1%를 기록한 이후 두 번째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 거래총액 비중이 70%를 넘은 것도 2017년(70.1%) 이후 처음이다. 지방광역시와 세종시의 아파트 전세 거래총액 비중은 80%를 넘어 90%에 육박하거나 90%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세종은 특별자치시 조성으로 아파트 건설이 집중돼 아파트 비중이 높은 특성이 반영됐으나, 그 외 지역은 비아파트 주택시장의 위축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방 도지역의 아파트시장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호남권과 영남권은 아파트 주택 전세 거래총액이 90%를 넘어섰고, 충북과 강원도 90%에 육박하고 있다. 천안·아산 등 산업기반이 탄탄한 충남, 연세 등 타지역과 다른 임대차 시장 특성을 가진 제주는 상대적으로 낮은 아파트 비중을 보이고 있다. 비아파트 전세 시장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전세의 월세 전환이 아닌 월세, 전세를 포함한 비아파트 임대차 거래가 위축되는 모습이다. 단기적으로는 전세 사기 등으로 임대계약에 대한 신뢰가 상실된 원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비아파트 전세 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선호에 따른 비아파트 수요 감소, 아파트 이동으로 증가한 빈집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아파트 중심의 공급 정책과 생활환경 및 인프라 조성으로 인해 늘어나고 있는 비아파트 주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비아파트 시장 위축의 장기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비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세대는 우리나라 가구의 48.7%에 달한다. 업계에서는 절반에 육박하는 국민이 비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것에 비해 정책과 행정서비스에서는 아파트에 비해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직방 측은 “비아파트 전세 시장에서 안전한 거래를 위한 상호 간의 신용과 거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와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산·용인·구리 6만5천가구… 반도체·수변도시 특화 [국토부, 신규택지 후보지 발표]

오산·용인·구리 등 경기도내 3개 지구에 6만5천500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가 조성된다. '오산세교3'과 '용인이동' 신규 택지는 화성∼용인∼평택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배후 도시 역할을 하는 '반도체 신도시'가 된다. 한강변에 조성되는 '구리토평' 신규 택지는 수변 도시로 특화 조성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수도권 3곳을 비롯해 비수도권 2곳 등 8만 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 후보지 5곳을 15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김포한강2(4만6천가구), 올해 6월 평택지제역 역세권(3만3천가구)·진주 문산(6천가구)에 이어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세 번째 신규 공공택지 발표다. 국토부는 ▲주택 수요 ▲광역교통망 구축 가능 여부 ▲난개발 방지 및 주변 지역 시너지 효과 ▲지자체장의 적극 찬성 등 4개 기준을 적용해 신규 택지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오산세교3(3만1천가구) ▲용인이동(1만6천가구) ▲구리토평2(1만8천500가구) 등 3곳에 6만5천500가구를 공급한다. 비수도권에서는 일자리와 인구가 늘고 있는 충북 청주분평2(9천가구), 장기간 공공주택 공급이 적었던 제주화북2(5천500가구)에 1만4천500가구를 공급한다. 먼저, 오산시 가수동·가장동·궐동 등 433만㎡(131만평) 일대에 조성되는 ‘오산 세교3’은 이번에 발표된 신규 택지 규모 중 최대 물량이다. 이곳은 화성∼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중심부로, 지하철 1호선 오산역에서 서쪽으로 800m 거리에 위치한다. 또 오는 2025년 개통 예정인 수원발 KTX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를 기반으로 철도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곳이다. 정부는 오산세교3의 입지 특성을 고려해 연구·개발(R&D) 업무 등 반도체산업 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인근 세교 1·2지구 거주자까지 이용할 수 있는 복합커뮤니티시설을 만들어 자족형 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용인이동' 신규 택지는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천리·묵리·시미리 일대 228만㎡(69만평)에 들어선다. 지구 남쪽에 용인첨단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있고, 동쪽으로는 용인테크노밸리(1·2차)와 붙어 있다.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도 가깝다. 용인이동 지구를 IT 인재들을 위한 생활 인프라를 갖춘 반도체 배후도시 조성이 필요한 곳으로 봤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거주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 인프라와 서비스를 대폭 강화해 '직·주·락(Work·Live·Play) 도시'로 조성하기로 했다. 또 구리토평 지구는 구리 교문동·수택동·아천동·토평동 일대 292만㎡(88만평)으로 들어선다. 서울과 가깝고 구리시민한강공원 바로 위쪽의 한강변으로 수변 주건단지로 조성된다. 정부는 이 같은 입지 장점을 활용해 주거단지는 한강 조망으로 특화하고, 수변 여가·레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리버프론트 시티(riverfront city)'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특히 한강변 지역을 조망·도시디자인 특화 구역으로 설정해 세계적 수준의 도시 경관을 연출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모든 신규 택지 지구를 기존 도심과 택지지구, 산업단지와 연계해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원 녹지를 지구 면적의 30% 내외로 확보하고, 쉽게 걸어서 하천과 녹지에 닿을 수 있도록 선형 공원도 만든다. 또 지구 내 어린이집, 아이돌봄센터 등 보육시설, 병원·학원 등 지원시설이 한 곳에 모인 ‘아이돌봄 클러스터’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후보지 조사와 관계기관 협의를 지속해 필요한 경우 내년에도 광역교통망이 양호한 지역에 신규 택지를 추가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계삼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구리토평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주요 거점도시로, 용인이동과 오산세교3은 첨단산업 성장에 기여하는 배후 도시가 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협업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2025년 상반기까지 신규 택지의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2026년 하반기 지구계획 승인을 거쳐 2027년 상반기에는 최초 사전청약과 주택 사업계획 승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동산 한파 뚫고 경기도민 25만명 집 샀다

지난해 경기도민 중 25만명가량이 집을 한 채 이상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경기도 내 주택 소유자 중 직전 1년간 한 채 이상의 집을 사들인 사람은 24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그중 집 한 채를 산 사람은 23만8천명(95.7%)이었으며 두 채는 7천명(3.0%), 3채 이상은 3천명(1.4%)이었다. 같은 기간 소유 주택 수가 감소한 개인은 15만5천명이었다. 같은 날 기준 경기지역 일반가구 540만7천가구 가운데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302만4천가구로, 2021년 296만1천가구에 비해 6만3천가구(6.3%) 증가했다. 반면 무주택가구는 238만3천가구로 나타났다. 도내 총 주택은 472만5천호로, 이 중 398만8천호를 개인이 소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8%(7천호)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광주시는 개인 소유 주택 비중이 총 주택(13만6천호)의 93.4%(12만7천호)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택 소재지와 같은 지역에서 사는 소유자 비중은 감소세를 보였다. 개인 소유 주택 중 소유자의 거주지와 소재지가 같은 주택의 비중은 전국 기준 86.4%로 지난해보다 0.1%포인트 감소했다. 외지인의 주택 소유가 상대적으로 더 늘었기 때문이다.

3분기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 감소세 전환…"경기지역 부진 영향"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이 올해 두 분기 연속 호황을 보이다 3분기에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전체 거래량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던 경기도 거래량이 상당량 감소하면서 향후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은 지난 1일 기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2023년 3분기 전국 및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먼저 올해 3분기 전국에서 발생한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는 총 3천399건으로 지난 2분기 3천453건과 비교해 1.6% 줄어들었다. 극심한 불황이던 지난해 4분기(2천797건) 이후 올해 1분기(2.5%)와 2분기(20.4%)까지 연속 우상향하며 회복하는 듯 했으나, 다시 두 분기 만에 하락세를 타게 된 것이다. 3분기 전체 거래금액 또한 6조8천840억원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7조7천733억원) 대비 11.4% 감소했다. 그나마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도에서 728건의 거래가 이뤄지며 가장 활발한 시장 모습을 띄었지만, 이마저 직전 2분기 대비 7.8% 감소한 수준이다. 거래량 자체를 놓고 봤을 때 경남(66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62건이 줄었고, 거래금액 역시 전 지역 중 최대 규모인 6천476억원의 하락액을 보였다. 경기도 부동산 시장 부진이 이번 전국적 시장 부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 외에도 경남(24%)과 제주(15.9%), 전북(11.3%), 충남(9.4%), 대전(8%) 등 7개 지역이 거래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거래금액 역시 총 9개 지역이 직전분기와 비교해 최소 2.4%(대구)에서 최대 36.9%(경남)까지 줄어들었다. 이 같은 경기도의 거래 약세는 서울에서도 나타났다. 서울 지역 3분기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은 총 423건으로 전분기의 389건과 비교해 8.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월별로 놓고 보면 지난 7월(8.8%)과 8월(22%)의 증가로 보합세를 이룬 것일 뿐, 최근 9월 한 달 거래는 전월(166건) 대비 27.1% 줄어든 121건까지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서울시의 위축된 시장 분위기는 거래금액에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3분기 전체 합산 매매거래금액은 3조1천743억원으로 2분기의 3조3천585억원 대비 5.5% 하락했고 9월 기준으로도 9천269억원을 기록, 8월(1조1천474억원)과 비교해서도 19.2% 줄어들며 3개월만에 또 다시 1조원대 밑으로 내려갔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올해 상반기까지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던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이 3분기에는 하락세를 보이며 분위가 반전됐다”면서 “최근 미국 연준발 고금리 장기화 우려의 여파로 4분기 시장 상황을 낙관적으로 바라보기 더욱 어렵게 됨에 따라 연말까지 딜 클로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매매 가격을 한시적으로 할인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11월 분양’ 4만9,944세대 줄 섰다…지방 광역시 집중

11월 분양예정물량이 약 5만세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수도권인 지방은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과 산업단지 위주로 많은 물량이 예정됐다. 6일 직방에 따르면 이번 달 분양예정물량은 56개 단지, 총 4만9천944세대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동월(3만6천922세대) 대비 35% 많은 물량이다. 분양가나 입지 등의 경쟁력에 따라 청약 단지의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달에도 많은 물량이 예정돼 있다. 특히, 이달은 지방광역도시에 많은 물량이 집중될 예정이다. 지난달 청약경쟁률 1위는 수도권에 위치한 단지였지만, 지방도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과 산업단지 인근 위주로 하반기 들어 청약성적이 좋은 모습을 보이며 지방광역도시에 많은 물량이 예정됐다. 전북 전주시 에코시티한양수자인디에스틴은 7월 1순위 청약에서 85.3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고, 대전 서구 둔산자이아이파크는 8월 분양에서 68.67대 1의 경쟁률을 보인 바 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2만3천987세대, 지방은 2만5천957세대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1만4천868세대 △인천 5천637세대 △서울 3천482세대가 공급된다. 지방에서는 △부산 6천806세대 △충남 4천349세대 △광주 4천218세대 △경남 2천489세대 △충북 2천157세대 △경북 1천583세대 △대구 1천409세대 △강원 1천326세대 △대전 818세대 △울산 673세대 순으로 분양이 예정됐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개월 연속 줄어드는 모습이다. 9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5만9천806가구로 전월 대비 3.2%(2천5가구)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7천672가구로 0.1% 감소했고, 지방은 5만2천134가구로 3.7% 줄었다. 분양시장의 분위기가 일부 개선되며 미뤘던 분양이 재개되고 있다.

경기도내 건설사 “관급공사 영상 촬영 조례 현실성 없다”

경기도의회가 이른바 ‘순살 아파트’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관급공사 시공 과정에서 동영상 촬영을 하도록 관련 조례 개정을 추진 중(본보 2일자 2면)인 가운데 경기도내 건설업계에선 인력·비용 등 문제로 인해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5일 도의회에 따르면 지난 1일 이기형 건설교통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김포4)은 ‘경기도 건설공사 부실 방지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해당 개정안은 경기도 발주 관급공사의 시공 과정을 시공사가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골자다. 촬영 대상은 경기도나 도 출자·출연기관, 도 지방공기업이 발주한 공사며, 시공 과정에서 부실한 사안이 발생하면 기존에 찍어 둔 사진 및 영상으로 공사가 원칙에 맞게 진행됐는지 확인한다는 취지다. 이런 가운데 도내 건설업계에선 해당 개정안에 대해 우려 섞인 반응을 내놓고 있다. 현실적으로 인력이나 비용이 부족한 중소 규모 현장에서 영상 등으로 기록을 남기는 것이 어렵지 않겠냐는 것이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동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선 이를 전담으로 관리할 인력이 추가적으로 배치돼야 하기 때문이다. 관급공사 시공 경험이 있는 도내 한 건설업체 대표는 “시공 과정에서 동영상 등으로 증거를 남겨 놓는다는 개정안의 취지에 대해 시공사들도 마다할 이유는 없다”면서도 “공사 현장 규모도 다 다른 상황에서 일괄적으로 영상 촬영을 적용하게 되면 인력이나 비용 등이 부족한 중소 규모 사업장에선 현실적으로 쉬운 일은 아닐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근순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장은 “시공사들도 촬영해야 한다고 하면, 이전보다 시공 과정에서 더 신경을 쓰게 될 것”이라면서도 “근접 거리에서 카메라 기사들이 각도를 잡으며 하루 종일 붙어서 영상을 찍어야 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어렵지 않겠느냐”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이기형 부위원장은 “이번 개정안은 영상 등으로 기록을 남겨 모든 시공 과정을 확인하기 힘든 감리 업무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게 하자는 취지”라며 “건설업계 우려도 인지하고 있는 만큼 중소 사업장에는 무리가 덜 가도록 경기도와도 세부 기준 설정 등에 대해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개정안은 오는 7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열리는 제372회 도의회 정례회에서 심의될 예정이다.

“전세 무서워”…대규모 사기에 경기도 전세 거래 주춤

화성 동탄신도시, 수원특례시 등지에서 빌라 전세 사기가 속출하며 경기도가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전세 기피 현상’으로 도내 전세 거래가 얼어붙고 있다. 4일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올해 들어 9월까지 도내에서 이뤄진 주택(다세대·연립, 오피스텔, 아파트) 전세 거래는 총 21만8천559건으로, 전년 동기간(22만8천524건) 대비 9천965건 줄었다. 이중 최근 수원 일대에서 무더기로 전세 사기가 발생한 다세대와 연립,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류의 전세 거래가 대폭 감소했다. 올 1~9월 다세대·연립, 오피스텔 전세 거래 건수는 4만3천601건으로, 전년(5만7천593건) 대비 약 24%(1만3천992건) 줄었다. 다세대·연립 전세 거래는 지난 1월 2천106건, 2월 2천693건, 3월 3천42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3월 화성 동탄신도시 일대에서 전세 사기가 발생한 뒤 8월 2천503건, 9월 2천585건으로 내려앉았다. 오피스텔의 경우 누적 거래량이 2만91건으로, 전년 동기간(2만3천254건) 대비 13%(3천163건) 줄었다. 반면 아파트 전세 거래는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1~9월 경기도 내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17만4천95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7만931건)보다 4천건가량 늘었다. 이에 대해 전문가는 최근 도내 전세 사기가 늘며 전세 기피 심리가 발생해 그나마 비교적 보증금이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아파트로 수요가 이동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호병 단국대학교 부동산학부 교수는 “요즘같이 경기가 좋지 않을 때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전세사기 사고, 피해 등에 특히 민감할 것”이라며 “경기도 곳곳에서 발생한 전세사기로 전세 기피 현상이 발생한 데다 아파트의 경우 전셋값이 노출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사기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되는 아파트로 수요가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올해 첫 조단위 영업익…54조원 역대급 투자 '박차'

반도체 불황 터널을 지나고 있는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처음으로 조 단위의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메모리 가격 하락세가 멈추고 고성능 D램 등의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4분기에는 실적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2조4천33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7.5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67조4천47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21% 감소했고, 순이익은 5조8천441억원으로 37.76% 줄었다. 이는 삼성전자가 지난 11일 공시한 잠정실적(매출 67조원, 영업이익 2조4천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메모리 적자 폭 축소와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부문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올해 처음으로 조 단위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1분기와 2분기에는 각각 6천402억원과 6천685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친 바 있다.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3조7천5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3개 분기 연속 반도체 적자로, 상반기 적자(8조9천400억원)를 포함하면 올해 낸 반도체 적자만 12조6천900억원이다. 다만 D램 평균판매단가(ASP) 상승과 출하량 증가 등으로 전 분기(-4조3천600억원)보다는 적자 폭을 6천억원가량 줄였다. DS 부문의 3분기 매출은 16조4천400억원이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의 3분기 매출은 44조200억원, 영업이익은 3조7천300억원을 달성했다. 배경에는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이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플립5·폴드5와 태블릿, 웨어러블 제품 등 3분기 신제품의 판매 호조가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SDC)의 매출은 8조2천200억원, 영업이익 1조9천400억원으로, 중소형 패널의 이익이 전 분기 대비 대폭 늘었다. 이런 가운데 3분기까지 누적 36조7천억원의 투자를 집행한 삼성전자는 시설 및 R&D 투자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3분기 시설투자는 11조4천억원이었고, 사업 부문별로 보면 DS부문 10조2천억원, 디스플레이 7천억원이었다. 3분기 누계로는 DS부문 33조4천억원, 디스플레이 1조6천억원 수준이었다. 삼성전자는 올해 연간 시설투자는 약 53조7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삼성전자의 연간 최대 시설 투자 집행 예정액이다. 사업 별로는 DS 47조5천억원, 디스플레이 3조1천억원이다. 메모리의 경우 중장기 수요 대응을 위한 평택 3기 마감, 4기 골조 투자 및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한 R&D용 투자 비중 확대가 예상되며, 특히 업계 최고 생산 수준의 HBM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투자 등 신기술 투자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파운드리는 첨단공정 수요 대응을 위한 평택 생산능력 확대 및 미래 대응을 위한 미국 테일러 공장 인프라 투자 등으로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디스플레이는 IT OLED 및 플렉시블 제품 대응을 위한 투자 위주로 집행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시설투자 및 R&D 투자를 꾸준히 이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