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서해안의 대표적인 해양관광도시인 안산시에는 보물섬이라 불리는 대부도가 자리잡고 있다. 안산시가 시화호방조제와 연결된 대부도를 보물섬이라 칭하고 있는 것은 그안 곳곳에 숨겨져 있는 다양한 보물 같은 볼거리가 있기 때문이다.서해안의 이국적 풍경 대부해솔길고품격 저염소금 생산 동주염전우리나라 최초의 동춘서커스석양을 가슴에 담다 낙조전망대
올 들어 가장 추운 매서운 한파가 시작된 지난달 23일, 안산시민시장 인근 기온이 영하 10도까지 내려갔다. 하지만, 시장 내부에는 여전히 칼국수, 신발, 고등어찜 가게 등이 손님맞이에 뜨거운 분위기를 연출해 추위가 무색해졌다. 태생은 포장마차 골목에서 시작했지만, 이제는 어엿한 전통시장으로 거듭난 안산시민시장에서 상인들은 안산시 유일한 전통시장이라는 자부심을 안고 살아가고 있었다.
“성폭력 피해자들의 얼마나 많은 고통을 겪었는지 그 아픔에 공감할 때 진정한 우리 사회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리(五里) - 우 대 식호퍼는 그들의 증세를 지칭하기 위해 고통을 뜻하는 그리스어 ‘노스토스’(nostos)와 귀환을 뜻하는 ‘알고스’(algos)를 합해서 노스탤지어라는 말을 만들었다고 한다. 노스탤지어라는 단어에 이렇게 무거운 사연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나니 고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일 것이다. 나를 낳아주신 어머니의 ‘몸’과 내가 태어난 ‘장소’가 하나로 결합된 곳이 고향이다. 그러하기에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어머니의 몸내에 대한 최초의 기억을 소환하려는 애틋하고 내밀한 감정의 사연이라 할 수 있다.우대식 시인의 오리(五里)는 어머니에 대한 간곡한 그리움을 ‘오리’라는 시어의 반복을 통해 점층화하고 있어 읽는 이의 마음까지 애틋하게 만든다. 화자는 어머니의 무덤을 찾아가는 과정을 ‘오리’라는 단위로 분절하면서 각각의 지점에 그리움의 이정표를 세운다. ‘복사꽃’이 필 것 같은 ‘좁다란 오솔길’을 지나면 ‘술누룩 박꽃’의 ‘향’이 서린 ‘성황당나무’가 나오고, 다시 그곳을 지나면 ‘반달처럼 다사로운 무덤’이 나오는 일련의 과정은 ‘어머니’에게로 귀환하는 그리움의 뒤늦은 여정이라 할 수 있다. 하여, ‘복사꽃’과 ‘박꽃’과 ‘찔레꽃’의 향기를 통해 어머니를 기억하는 ‘오리’의 시간들은 다사로우면서 슬프게 다가온다.우대식 시인에게 ‘오리’는 그 무엇으로도 메울 수 없는 그리움의 거리일 것이다. 그래서 “오리만 더 가면/어머니, 찔레꽃처럼 하얗게 서 계실 것이다”는 화자의 염원이 더 간절하게 다가온다. ‘오리’만 더 가면 과연 우리는 어머니를 만날 수 있을까? 아마, 아닐 것이다. 그리움은 연기(延期)됨으로써 완성되는 미묘함의 정서다. 우대식 시인의 오리(五里)는 무한히 연기되는 그리움의 미묘한 세계를 ‘오리’라는 시어의 반복을 통해 서정적으로 드러내고 있기에 인상적이다. 우리 모두에게 어머니는 영원히 연기되는 그리움이자 귀환과 고통의 노스탤지어일 것이다.글_신종호 시인
성남시가 전국에서 기업하기 가장 좋은 도시로 꼽혔다. 시는 행정안전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 시행한 ‘2017년 전국기업환경지도’ 평가에서 경제활동친화성 개선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대한상공회의소 측은 1월19일 성남시청 2층 부시장실을 방문해 이재철 부시장에게 기업환경 우수지역 인증서(경제활동친화성 개선 1위)를 전달했다.
그동안 정부 반대로 말썽을 빚었던 성남시의 ‘공공산후조리 지원사업’이 3년여 협의 끝에 확대ㆍ시행된다.
광주시는 오포읍 청석로 85 일원에 광주시민체육관을 완공하고 1월 23일부터 2월 28일까지 시범 운영한다. 매주 월요일과 설 연휴 기간에만 시설물 안전관리 및 기능 개선을 위해 휴관한다. 시범 운영기간 중 시민 누구나 실내ㆍ외 운동시설 이용이 가능하다.
광주시청 1층 광장에 설치된 ‘사랑의 온도탑’이 100도를 넘겼다.
이성호 양주시장은 2월 1일 시장실에서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원인 김동영 연구위원을 초청, 미세먼지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