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조성되는 보금자리주택지구에 의료, 보육교육, 택배 등 입주민에게 복지 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이 들어선다.국토해양부는 9일 보금자리주택지구 내 통합 부대복리 시설이나 사회복지관에 사회적 기업을 유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국토부는 또 이를 위해 3월 중에 설치 기준을 마련 하고 업무처리 지침 개정 절차를 거쳐 시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국토부는 이번 지침 개정을 통해 부대복리 시설의 용도에 사회적 기업 운영을 추가하는 한편 소규모 단지를 묶은 통합 부대복리 시설이나 대규모 국민임대주택 단지에 들어갈 사회적 기업의 입주 규모 등을 명시할 예정이다.또 지구 계획 단계부터 입주 기업의 유형 및 입주 공간을 반영키로 했다.하남감북 등 4차 지구와 조만간 발표할 5차 지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입주 공간으로 통합 부대복리 시설을 쓸 수 있도록 지구계획에 반영하고, 이미 사업승인이 이뤄진 1~3차 지구에선 사회복지관 시설 일부를 활용토록 할 방침이다.이들 지구에 적합한 사회적 기업 유형으로는 ▲서민층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생활협동조합 같은 지역공동체 형성 모델 ▲맞벌이 부부 등 입주민을 위한 보육교육서비스 같은 수요자 지원 모델 ▲단지 내 화물 수취배분 및 택배 사업 같은 일자리 창출 모델 등이 검토되고 있다.국토부는 최근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열어 타당성을 검토한 데 이어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해 효과적인 운영지원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이런 가운데 LH(한국토지주택공사)도 국민임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서비스와 일자리를 제공하는 LH 마을형 사회적 기업을 입주시키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한편 마을형 사회적 기업은 임대단지 입주민과 인근 주민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해 제공하고 그에 따른 일자리를 만듦으로써 지역경제 선순환 및 활성화를 도모하는동시에 수익금을 지역사회 공익사업에 재투자하는 기업이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경기지역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물류단지들이 미국발 금융위기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단과 주민 반대 등에 부딪쳐 중단되거나 포기된 것으로 나타났다.6일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서는 안성, 광주 등 9곳에서 531만5천㎡ 규모의 물류단지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다.이에 따라 안성 원곡(경기도시공사), 이천 패션(한국패션유통물류), 광주 초월(미래로지텍), 김포 고촌(한국수자원공사), 화성 동탄(마르스PFV) 등 5곳은 공사에 들어갔거나 착공 준비 중이다.하지만 현재 사업추진예정인 부천 오정, 여주 출판, 남양주 등 3곳이 부동산 경기침체와 주민반대에 부딪쳐 사업이 중단되거나 포기된 상태다.부천시 오정구에 추진 중인 물류단지(54만3천㎡)의 경우 지난 2008년 9월 실시계획까지 받았으나 LH의 재정사정 악화로 추진이 중단됐다.오정 물류단지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3천23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추진될 예정이었다.도는 현재 단지 조성계획이 보류된 상태지만 LH가 사업재개를 선언하면 중지된 용역을 재개하고, 곧바로 보상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특히 (사)한국출판경영자협회가 여주읍 가남면 일원(49만1천㎡)에 추진해온 여주 출판 물류단지 조성사업은 최근 취소됐다.사업부지 일부(30%)가 백두대간에 포함돼 사업성이 떨어져 사업시행자가 사업권을 반납했기 때문이다.사정이 이러하자 한국출판경영자협회는 용인지역을 후보지로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와 함께 남양주시 화도읍 일원에 검토해 온 물류단지도 최근 주민반대에 부딪치면서 LH가 포기를 선언했다.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일부 물류단지가 금융위기 여파에 따른 PF 동결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하지만 LH 등이 사업재개에 나서면 정상 추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최근 전셋값 강세로 신도시를 제외한 경기지역 아파트의 전셋값이 3.3㎡당 400만원을 돌파했다.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경기지역(신도시 제외)의 평균 전셋값은 3.3㎡당 410만원으로 지난해 1월 초 377만원 대비 24만원 상승했다.도내에서 전셋값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과천시로 3.3㎡당 931만원이다. 다음으로는 광명(560만원), 군포(553만원), 의왕(534만원), 안양(523만원), 구리(517만원), 하남(507만원), 부천(480만원), 성남(475만원) 등의 순이다.이처럼 지난 한해동안 전셋값이 강세를 보인 것은 집값 하락 불안감으로 매수수요가 전세수요로 돌아섰고, 값싼 보금자리주택 공급으로 무주택 자격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전세로 몰렸기 까닭이다.특히 보금자리지구가 들어설 광명과 하남시는 지난 1년간 3.3㎡당 전셋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광명시 철산동과 하안동 일대는 대규모 재건축 단지의 신규 입주와 맞물리면서 지난해 초 3.3㎡당 483만원에서 현재 560만원으로 15.9%(77만원)가 올랐고, 하남은 지난해 초 437만원에서 현재 507만원으로 16.2%(71만원) 상승했다.개별 단지로는 과천시 중앙동 래미안에코팰리스 82㎡가 3.3㎡당 1천260만원 선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다.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김포한강신도시 내 건설업체들이 분양 기지개를 펴고 있다.5일 김포시와 LH 김포직할사업단, 건설사 등에 따르면 지난해 보금자리주택과 부동산 불경기로 인해 분양을 포기했던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건설업체들이 오는 3~4월 중 분양에 나설 계획이다.시는 한강신도시의 주택경기 활성화를 위해 시도시개발공사와 지난해 시로부터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LIG건설, 현대산업개발, 한라건설, 모아건설 등 5개 기관 및 건설사와 동시분양을 추진하고 있다.또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우림건설, 반도건설, 중흥건설 등 5~6개 건설사들이 시의 건축심의를 준비하고 있거나 최근 건축심의를 마치고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에 착수하는 등 올 상반기 중 최소한 10여개 업체가 분양에 나설 전망이다.한강신도시 내 건설사들은 이들 업체들의 상반기 분양실적에 따라 올 하반기 한강신도시의 잔여 건설사의 분양에 막대한 영향을 줄 전망이어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그러나 오는 12일부터 한강신도시 내 래미안(579가구)과 e편한세상(955가구) 등 중대형 평수를 중심으로 4천600여가구의 전매제한이 해제돼 분양시장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건설사 관계자는 올 상반기는 전반적으로 주택시장이 호조를 보일 것이라는 부동산 전문가들의 분석과 회사 방침에 따라 3~4월께 분양에 나설 계획이라며 하지만 올해부터 전매제한 1년이 지난 중대형 평수의 상당수 아파트 분양권이 쏟아질 것으로 보여 분양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치열한 재개발재건축 수주전을 벌여왔던 건설사들이 도내 재개발재건축 사업성이 불투명해지면서 전략적으로 뭉치고 있다. 그동안 건설사들은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경우 단독 수주를 위해 제살 깎아먹기식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여 왔다. 5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이후 경기지역에서 발주되는 대규모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건설사들이 단독으로 공사를 수주하기 보다는 2~3개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이는 조합 운영비 등 비용 부담을 줄이고 향후 분양시장 침체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전략적 제휴에는 대형 건설사들끼리 컨소시엄을 구성해 다른 건설사들의 진입을 차단시켜 안정적으로 시공권을 확보하는 전략과 대형사의 브랜드와 중견사의 저렴한 공사비가 결합된 상생 수주전략으로 양분되고 있다.지난해 12월 부천지역에서 시공사를 선정한 원미7B구역과 소사본4B구역 재개발 사업의 경우 원미7B구역 재개발 수주전에는 GS롯데건설 컨소시엄이, 소사본4B구역 재개발 수주전에는 대우삼성건설 컨소시엄이 참여했다.또 대의원회의가 지연돼 작년에서 올해로 시공사 선정총회가 연기된 심곡3B구역 재개발 사업의 경우도 삼성건설과 대림산업이 손을 잡고 입찰에 참여해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시공사 선정총회는 오는 16일 열릴 예정이다.대형건설사와 중견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한 경우는 부천 소사본5B구역과 수원 권선113-6구역 재개발 사업이다.소사본5B구역 재개발 시공사 입찰에는 GSSK코오롱건설 컨소시엄이 참여했으며, 권선113-6구역 재개발 시공사 입찰에는 삼성SK코오롱건설 컨소시엄이 뛰어들었다.이들 건설사가 시공사로 선정될 경우 SK건설과 코오롱건설이 이달에만 2천억원이 넘는 수주실적을 달성하게 된다.재개발 관련업계 관계자는 경기도에서 대규모 정비사업 물량이 쏟아지고 있지만 향후 분양시장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건설사들이 위험분산을 위해 전략적 제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경기도시공사는 광교신도시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18개 필지와 클러스터형 주거전용 단독주택용지 89개 필지 등 107개 필지를 수의계약 형태로 선착순 공급한다고 4일 밝혔다.E9블록의 점포형 단독주택용지 면적은 219319㎡이고 가격은 4억7천355만7억6천343만4천원이다.또 E8, E10블록의 클러스터형 단독주택용지는 202313㎡ 규모이고 3억6천6천50만6천5억4천587만2천원의 가격에 공급된다. 2개 용지 모두 신청예약금은 1천만원이다. 수의 계약체결은 이날부터 광교홍보관 광교분양팀에서 선착순으로 받는다. 김동식기자 dsk@ekgib.com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이 4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8개월만에 80% 탈환에 성공하는 등 경매 시장이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4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www.taein.co.kr)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은 전달 보다 1.93%p 상승한 81.09%을 기록했다.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이 80%대를 돌파한 것은 지난 4월(80.69%) 이후 8개월만이다. 지난해 1월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이어오던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829부동산 활성화 대책 발표 이후 부동산시장이 회복되면서 8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고, 지난달에는 낙찰가율이 넉달 연속 상승 하면서 8월 저점(75.93%)대비 5.16% 상승한 81.08%을 기록했다. 금액대별로도 9억원 초과 고가아파트를 제외하고 모두 80%대의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3억원 초과~6억원 이하 아파트와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아파트는 각각 2.65%, 2.11% 상승하면서 지난 4월 이후 처음으로 80%대에 올라섰다. 수도권 아파트 8개월 만에 낙찰가율 81.08% 기록9억 초과 아파트 78.14% 저점 대비 4.63% 반등9억원 초과아파트의 경우 78.14%로 지난 8월 저점 대비 4.63% 반등했지만 가격에 대한 부담 탓에 여전히 80%대를 밑돌았다. 특히 전셋값 상승에 힘입어 감정가 6억원 이하의 중저가아파트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감정가 3억원 이하 저가아파트와 3억원 초과~6억원 이하 중저가아파트 낙찰가율은 각각 2.72%, 2.65% 상승하면서 모두 80%를 넘어섰지만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중고가아파트와 9억원 초과 고가아파트는 각각 2.11%, -0.49%에 그치면서 중저가아파트 변동폭을 밑돌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같은기간 동안 2.43%p 상승한 80.43%로 지난해 3월(81.41%) 이후 9개월 만에 80%대로 올라선 반면 인천은 1.02%p 하락한 79.5%로 한달만에 80%대를 다시 내줬다. 한편 낙찰률과 입찰경쟁률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도권아파트 낙찰률은 35.78%로 11월 대비 0.99% 포인트 상승하며 지난해 1월(37.86%) 이후 가장 높았고, 입찰경쟁률도 0.63명 증가한 6.92명으로 2009년 8월(7.83명) 이후 가장 많은 응찰자가 몰렸다. 부동산태인 이정민 팀장은 전셋값 상승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올해 집값 전망까지 밝아 선점 차원에서 응찰자들이 투자금액을 높여 공격적으로 입찰에 나서고 있다며 이러한 분위기는 연초효과까지 겹치면서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수도권 전세금 오름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중소형과 중대형 간에 전세금 차이가 별로 없는 단지들이 있어 관심을 가질 만하다.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올해 입주 물량이 많았던 고양, 용인, 파주 등 경기도 일대에 공급면적 100㎡(30평형)대, 140㎡(40평형)대, 170㎡(50평형)대 간 전세금 차이가 크지 않은 단지들이 상당수다. 용인시 동천동 래미안 이스트팰리스(1블록) 146㎡(44평형)와 181㎡(54평형)의 평균 전세가격은 3억2천500만원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시 대화동 대화마을 GS자이 1단지 175㎡(53평형)와 212㎡(64평형)의 평균 전세가격도 1억9천만원으로 같았다. 아울러 파주시 교하읍 벽산아파트 112㎡(34평형) 평균 전세가격은 8천500만원, 145㎡(44평)는 8천750만원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김은진 부동산1번지 팀장은 입주 물량이 집중됐던 고양시, 용인시, 파주시 일대에서는 입주 초기 급전세 매물이 많이 나왔다며 특히 전세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중대형 물량이 많아 중소형중대형 간 전세가격 차이가 크지 않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시세로는 중소형중대형 간 전세금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매물은 풍부하지 않은 상황이다. 오히려 매물이 점차 줄어들면서 전세가격도 상승하는 분위기라고 해당 지역 주변 중개업소 관계자들은 전했다. 용인시 동천동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현재 140㎡(40평형)170㎡(50평형)대 전세 매물은 모두 소진됐고 그 이상 주택형만 일부 남아 있다고 말했다. 파주시 교하읍 벽산아파트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전세가격도 점차 오르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2011년 신묘년 새해가 밝았다. 예로부터 토끼는 부지런함과 다산, 풍요의 상징이기도 하다.올해 경매시장은 그 어느 때 보다 시장의 다양성으로 인해 많은 변화가 예고된다.지난 연말부터 전세자들의 내집 마련에 힘입어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더니 봄 이사철 까지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많다.실수요자들도 내집 마련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수익형 상가는 언제나 투자자들의 관심대상이고, 토지시장도 예외 없이 작년보다는 거래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올 한해 여러분도 부자되는 한해가 되길 진심으로 빌어본다. 홍희정 수원법률경매정보㈜ 대표추천경매물 자료제공: 수원법률경매정보㈜, 문의(031) 212-3007 양평 서종면 주택 버스정류장 인근 전원주택지대▲소재지: 양평군 서종면 수입리 ▲감정가: 2억5천만원 최저가: (64%)1억6천만원 ▲토지면적: 499㎡ (150평) 건물면적: 194.68㎡ (59평) ▲입찰일: 1월24일 보존등기일: 1998년 3층건물 ▲이용 상태: 능곡마을 동측 인근에 위치 부근은 전원 주택지대, 농경지, 순수임야등 혼재. 차량접근가능, 인근에 버스정류장소재, 남측 로폭 약 4미터의 콘크리트 포장도로와 접함. 용인 상현동 아이파크 대규모 단지로 교통편리▲소재지: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860 서원마을3단지아이파크 1 / 17층 ▲감정가: 4억5천만원 최저가:(64%) 2억8천800만원 ▲대지면적:77.2476㎡ (23평) 전용면적: 127.949㎡ (39평) ▲입찰일:1월14일 평형: 48평형 보존등기일 2002년 ▲이용 상태: (방4, 거실, 주방 겸 식당, 욕실2, 현관, 발코니 등) 심곡초등학교 남측 인근에 위치 / 부근은 중, 대규모의 아파트단지로 이루워진 공동주택지대 / 인근에 버스정류장이 소재해 교통사정은 보통 / 아파트 단지 내의 포장도로 개설, 외곽 공도와 연계. 2회 유찰된 저렴한 물건. 대출 80% 가능함. 용인 죽능리 토지 계획관리지역 투자가치 확실▲소재지: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 ▲감정가: 3억8천400만원 최저가: (80%) 3억700만원 ▲토지면적: 3840㎡ (1천160평) ▲평당가: 평당 26만원 입찰일: 1월13일 ▲이용상태: 용인시축구센터 남서측 인근에 위치/부근은 농경지대 및 임야지대이며 근거리에 자연부락이 산재함 / 인근에 노선버스정류장 소재, 대중교통여건 무난 / 동측 노폭 약48M의 도로와 접함, 계획 관리 지역 내의 전으로써 개발 가능한 토지임. 제주 서귀포시 임야 차량출입 가능 저렴한 물건▲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감정가:7억5천960만원 최저가: (34%) 2억6천100만원 ▲토지면적: 1만5천59㎡ (4천555평) ▲평당가: 평당5만7천원 입찰일:1월17일 ▲이용상태: 온평 포구 남측근거리위치 / 주위는 양어장, 임야, 전 등 소재 / 차량출입가능, 인근간선도로소재, 제반교통 사정무난 / 남동측 폭약8미터 아스콘 및 비포장 도로 접함. 바닷가 보이는 토지, 현재는 전으로 사용하는 임야로 34%의 저렴한 물건.
광교신도시내 토지 및 주택분양률이 70~80%대에 머물면서 당초 목표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에 따르면 도시공사는 지난해 말까지 광교신도시내 토지 260만2천㎡와 주택 2만691가구를 공급할 예정이었다.하지만 도시공사가 같은 기간 공급한 토지는 목표치의 83.5%인 217만4천㎡, 주택은 74.9%인 1만5천503가구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이같이 수도권 노른자위 땅으로 불렸던 광교신도시의 분양률이 저조한 것은 부동산 미분양을 우려한 건설업체들이 부지매입을 꺼렸기 때문으로 도시공사는 분석하고 있다.실제로 16만1천585㎡ 규모의 비즈니스파크의 경우, 그동안 3차례에 걸쳐 부지매각에 나섰으나 모두 유찰돼 현재 개별매각이 추진되고 있다.이와 함께 수원시가 조성할 예정인 컨벤션시티21 부지 공급도 지연되고 있다.법제처가 지난해 8월 컨벤션시설을 수의공급할 수 있다고 법령해석을 내렸지만 호텔, 상업용지를 전시시설로 보는 문제를 놓고 국토해양부와 경기도-수원시간 의견충돌이 계속돼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