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 3만9천425명…‘2가 백신’ 사전예약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만명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코로나19 개량백신을 활용한 겨울철 추가접종 사전 예약이 시작됐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만9천425명 늘어 누적 확진자는 2천467만3천663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1만4천168명)보다 2만5천257명 늘었지만, 통상 월요일에는 주말 동안 줄었던 진단 검사 건수가 다시 늘어나는데 이 같은 경향이 이날 집계에 반영돼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화요일 발표치만 따지면 이번 재유행 초기인 지난 7월12일(3만7천336명) 이후 11주 사이 가장 적은 수준이다. 위중증 환자 수는 401명으로 전날(427명)보다 26명 줄었다.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26명으로 직전일(33명)보다 7명 감소했다. 신규 사망자는 80대 이상이 15명(56.7%)이고 70대 3명, 60대 6명, 50대 1명, 10세 미만 1명이었다. 이와 함께 경기지역에선 총 1만1천38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아울러 이날부터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BA.1)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된 모더나 개량백신 접종을 위한 사전예약이 시작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2가 백신’에 대한 사전 예약을 이날부터 받고 있다. 이번 개량백신 접종은 60세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건강 취약계층이 1순위 접종 대상이다. 추진단은 향후 BA.4나 BA.5에 기반한 2가 백신도 도입하기 위해 관계 부처·제약사와 협의하고 있으며, 도입 계획이 수립되는 대로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독감 동시 유행 등에 대비하려면 감염취약시설과 고령층 등 건강 취약계층의 동절기 추가 접종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정규기자

신규확진 77일 만에 최저…경기도 역시 11주 만에 5천명 아래로

코로나19 재유행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26일 신규 확진자 수가 1만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4천168명 늘어 누적 2천463만4천296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2만5천792명)보다 1만1천624명 줄어 여름 재유행 초기인 지난 7월 11일(1만2천672명) 이후 77일(11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월요일 발표 기준으로도 11주 만의 최소 규모다. 통상 월요일에는 주말 진단 검사 수 감소 영향으로 신규 확진자 수가 적게 발표되는 경향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확연한 감소세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일부터 이날까지 1주간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4만7천897명→4만1천269명→3만3천5명→2만9천108명→2만9천353명→2만5천792명→1만4천168명으로, 일평균 3만1천513명이다. 위중증 환자 수는 427명으로 전날(416명)보다 11명 늘어, 사흘 연속 400명대를 유지했다. 전날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33명으로 직전일(73명)보다 40명 줄었다. 경기도에서는 4천168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전날인 24일 7천88명보다 2천920명 줄었고, 한 주 전 같은 일요일이었던 지난 18일 5천756명보다는 1천588명 감소했다. 신규 확진자가 5천명 아래로 내려 온 것은 지난 7월 10일(3천987명) 이후 11주 만이다. 이날까지 누적 확진자는 661만6천190명이다. 사망자의 경우 12명이 발생해 누적 사망자가 7천100명이 됐다. 양휘모기자

신규확진 사흘째 2만명대…정부, 코로나19 출구전략 모색

코로나19 재유행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코로나19 출구전략 모색에 한층 속도를 내고 있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2만5천792명 늘어 누적 확진자 수는 2천462만128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2만9천353명)보다 3천561명 감소했다. 일요일 발표 기준으로는 지난 7월10일(2만383명) 이후 11주 만에 최저치다. 일주일 전인 지난 18일(3만4천743명)보다 8천951명, 2주일 전인 지난 11일(2만8천195명)보다는 2천403명 적다. 하지만 위중증과 사망자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는 416명으로 전날(418명)보다 2명으로 다소 줄었지만,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73명으로 직전일보다 10명 증가했다. 신규 사망자는 80대 이상이 50명, 70대 17명, 60대 6명이다. 경기지역에선 7천8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아울러 정부가 남은 방역 정책도 완화하며 코로나 19 ‘출구 전략’에 한층 속도를 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전면 해제에 이은 다음 수순은 입국 후 코로나19 검사 의무와 요양병원·시설 면회, 확진자 격리 의무 기간 등을 조정하는 것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추가적인 방역 완화 조치들을 계속 논의하고 있으며, 조만간 종합 계획(로드맵)을 제시할 계획이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남은 여러 방역조치들에 대해 그 영향과 국민 불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용성 있는 조정안을 계속 만들고 있다”며 “앞으로 완화 가능한 항목을 발굴해 단계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며 그 로드맵을 발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정규기자

26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의무 전면 해제된다…실내는 ‘당분간 유지’

오는 26일부터 실외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전면 해제된다. 50인 이상이 모이는 야외 집회에 참석할 때나 공연,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때도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재유행의 고비를 확연히 넘어서고 있다”며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한 총리는 “일률적인 거리두기가 없어도 한결같이 방역에 힘을 모아주고 계신 국민께 감사드린다. 정부는 방역 상황과 국민 불편 등을 감안해 위험성이 낮은 방역규제는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하나씩 해제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당분간 유지된다. 한 총리는 “독감 환자 증가와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 등을 고려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 총리는 국민 1만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에서 “백신접종과 자연감염을 통해 약 97%가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자연감염에 의한 항체양성률은 약 57%로, 같은 기간 확진자 누적 발생률 38%보다 약 19%포인트 높게 나타났다”며 “이는 20% 내외의 미확진 감염자가 존재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앞으로 항체 수준 변동에 대한 장기 추적조사를 하는 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대책 수립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임태환기자

목요일 기준 두달여 만에 최저치…“2주 후 2만명대로 감소”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3만명대로 줄어든 가운데 방역 당국이 23일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에 대한 완전해제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2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4만1천286명)과 비교해 8천277명 적은 3만3천9명이다. 일주일 전인 지난 15일(7만1천451명)보다 3만8천442명, 2주일 전인 지난 8일(7만2천620명)보다는 3만9천611명 각각 감소한 수치다. 이날 확진자는 목요일 기준(발표일)으로 지난 7월7일(1만8천494명) 이후 11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기지역에선 9천8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50인 이상 야외 행사 등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와 관련, 완전 해제를 예고했던 방역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방역 완화책을 23일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전날 이를 논의한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는 실외 마스크 의무는 전면 해제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방역 당국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외의 경우 50인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이미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스포츠 경기장에선 음식 섭취가 가능해진 상황에서 이러한 의무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다만,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대해서는 감염병 자문위 내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편 이창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 등 국내 연구팀은 내달 초 확진자가 급감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이정민기자

수요일 10주 만에 최저…보건소에 감염병 대응 전담 조직 신설 추진

코로나19 재유행 규모가 확연한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보건소에 감염병 대응 전담조직 신설을 추진한다.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4만1천286명 늘어 누적 2천450만2천968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발생한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4만7천918명)보다 6천631명 적다. 일주일 전이자 추석 연휴의 영향으로 확진자가 급증했던 지난 14일(9만3천960명)보다는 5만2천674명 줄었다. 수요일 발표 기준으로 지난 7월13일(4만240명) 이후 10주 만의 최저치다. 그러나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의 경우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위중증 환자 수는 494명으로 전날(497명)보다 3명 줄었으나 400명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59명으로 직전일(24명)보다 35명 급증했다. 아울러 경기지역에선 1만1천60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할 수 있게 개발된 개량백신 접종이 60세 이상과 면역저하자 등을 우선으로 다음 달 개시된다. 이번 추가접종엔 초기에 유행한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BA.1)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된 모더나의 2가 백신이 활용된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감염병 위기에 상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보건소에 감염병 대응 전담 조직을 만들기로 했다. 보건소의 기능을 기획·행정·위기대응 중심으로 바꾸고 진료 업무는 취약지·취약계층 중심으로 조정하는 등 전반적인 업무 재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조직과 인력 측면에서 비효율이 높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상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보건소의 감염병 상시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위기 상황 속에도 보건소의 핵심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행정체계를 정비하겠다”며 “보건소에 감염병 대응 전담 조직을 설치하고, 전문인력 배치기준 및 양성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위중증 및 사망자 감소세…대규모 행사 실외마스크 해제 검토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의 감소세가 확연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실외마스크 완전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4만7천917명이다. 1주일 전이자 추석 연휴 이후로 검사 건수가 적었던 지난 13일(5만7천286명)보다 9천369명 감소한 수치다. 2주일 전인 지난 6일(9만9천815명)과 비교해도 확진자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11명 감소한 497명, 사망자는 15명 적은 24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3천31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50인 이상의 행사와 집회 참석자들에 대한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고려하고 있다. 지난 5월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됐지만 여전히 스포츠 경기장, 콘서트장 등 50인 이상 시민이 참석하는 실외 행사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방역 당국이 이 같이 검토 중인 이유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보다 부담이 적으면서도 국민의 불편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외에도 방역 당국은 귀국 1일차 PCR(유전자증폭) 검사 해제를 살펴보고 있다. 한편 9월 첫째주(4∼10일)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 사례 비율은 10.18%로 10%를 돌파했다. 이정민기자

10주 만에 1만명대…일상 전환 논의 시작

코로나19 재유행 감소세가 뚜렷한 가운데 10주 만에 신규 확진자 수가 1만명대로 떨어졌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9천407명 늘어 누적 2천441만3천873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 3만4천764명에서 1만5천357명 줄어든 규모로 코로나19 재유행 초기인 지난 7월11일(1만2천672명) 이후 10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 수는 508명으로 전날(489명)보다 19명 늘어 사흘 만에 다시 500명대로 올라왔다. 전날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39명으로 직전일(46명)보다 7명 줄어 엿새 만에 30명대로 내려왔다. 연령대별 사망자는 80세 이상이 31명(79.5%), 70대 5명, 60대와 50대 각각 1명이고 30대도 1명도 발생했다. 경기지역에선 5천75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추석 연휴 직후 진단 검사 수가 늘며 잠깐 급증했던 신규 확진자 규모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확인된다. 아울러 코로나19 대응체계를 비상대응에서 일상대응으로 전환하는 논의도 속도를 더하고 있다. 국내에선 실내 마스크 의무나 확진자 격리 의무 해제 등 추가적인 방역 완화 조치가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예년보다 빠르게 인플루엔자(독감) 유행 주의보가 발령되면서 ‘트윈데믹’이 일상회복의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방역 당국은 이날부터 스카이코비원의 코로나19 추가 접종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돼 3차와 4차 접종 사용을 허용했다. 이정민기자

코로나19 확연한 감소세...방역당국 출국전략 사태 논의

코로나19 재유행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 사태의 출구전략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8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3만4천764명 늘어 누적 2천439만4천466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규모는 전날 4만3천457명보다 8천693명 감소했다. 1주 전 11일(2만8천200명)보다는 6천564명 많지만, 이날은 추석 당일(10일)에 진단 검사 건수가 감소했던 상황이 반영된 것이어서 단순 비교는 어렵다. 2주일 전인 지난 4일(7만2천122명)과 비교하면 3만7천358명 줄어 절반 이하 수준이 됐다. 지난 12일부터 이날까지 1주일간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3만6천923명→5만7천286명→9만3천962명→7만1천452명→5만1천874명→4만3천457명→3만4천764명 으로, 일평균 5만5천674명이다. 추석 연휴(9∼12일) 줄었던 신규 확진자 수는 연휴 직후 진단 검사 수가 늘면서 잠깐 급증했지만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위중증 환자 수는 489명으로 전날(477명)보다 12명 많았지만 사망한 환자는 46명으로 직전일(57명)보다 11명 줄었다. 경기도에서는 하루 도내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1천60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인 15일 1만3천857명보다 2천248명 줄어든 수치다. 이처럼 재유행이 확연한 감소세를 보이면서 국내외 방역 당국자들의 ‘출구전략’ 언급이 나오고 있다. 겨울철 또 한차례의 유행이 올 수 있으나 이미 백신, 치료제가 충분히 확보된 만큼 코로나19 대응 체계를 비상대응에서 일상대응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실내 마스크 의무나 확진자 격리 의무의 해제 등 추가적인 방역 완화 조치가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예년보다 빠르게 인플루엔자(독감) 유행 주의보가 발령되면서 ‘트윈데믹’이 일상회복의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정민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