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규 확진 3만4천987명…유행 확산세 전환, 개량백신 접종 예약 시작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3만명대를 넘어서면서 유행 확산세로 전환됐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만4천987명으로 전날(4만842명)보다 5천855명 감소했다. 전날보다 신규 확진자가 다소 줄어들었지만 일주일 전인 지난 20일(2만5천476명)과 비교하면 9천611명, 2주일 전인 지난 13일(2만6천936명)보다 8천51명 늘어 재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위중증 환자는 242명이며 사망자는 26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26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이날부터 18~59세 연령층도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할 수 있는 개량백신(2가 백신) 접종 사전 예약이 시작됐다. 방역당국은 7차 유행의 규모를 줄이는 데 백신 접종의 역할이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이날부터 동절기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대상을 기존의 건강취약계층에서 18세 이상 모든 성인 기초접종(1·2차) 이상 완료자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예약할 때는 3가지 백신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오미크론 초기 변이인 BA.1을 활용해 만든 모더나의 2가 백신과 BA.1 변이에 기반한 화이자 2가 백신, BA.4와 BA.5 변이를 활용한 화이자 2가 백신 등으로 모두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현재 접종 가능한 백신을 가장 조기에 맞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전했다. 김은진기자

‘이틀째 4만명대’…다음 달 14일부터 BA.5 개량 백신 접종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째 4만명대를 기록했다.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만842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날 신규 확진자(4만3천759명) 보다 2천917명 줄어든 수치지만 이틀째 4만명대를 유지했다. 일주일 전인 지난 19일(2만9천492명), 2주일 전인 지난 12일(3만517명)과 비교하면 각각 1만1천350명, 1만325명씩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242명이며 사망자는 26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2천2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인 BA.5를 기반으로 개발해 기존 백신보다 감염 예방 능력이 대폭 상승한 개량백신의 접종이 내달 14일부터 시작된다. 개량백신 접종 대상은 감염취약계층에서 18세 이상 모든 성인으로 확대된다. 개량백신에 거부감이 있다면 노바백스나 스카이코비원 등 유전자재조합(항원합성) 방식 백신으로 추가접종해도 된다. 추가된 접종 대상자의 사전예약은 27일 시작된다. 이에 따라 오미크론에 맞게 개발된 개량백신으로는 기존의 BA.1 기반 모더나 백신 외에 각각 BA.1와 BA.4/BA.5를 기반으로 개발된 화이자 백신 2종이 추가된다. 한편 코로나19 유행 추이가 반등했지만 주간 위험도는 5주 연속 ‘낮음’을 유지했다. 김은진기자

‘전날 3배’ 국내 신규 확진 4만3천759명…코로나 주요 증상 변경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전날에 비해 3배 이상 폭증하면서 4만명대에 진입했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만3천755명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1만4천302명)보다 2만9천457명 증가한 수치로 약 3배 이상이다. 일일 신규확진자가 4만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21일 이후 34일 만이다. 일주일 전인 지난 18일(3만3천223명)과 비교하면 1만536명 많고 2주일 전인 11일(1만5천466명)보다는 2만8천293명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255명이며 사망자는 17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2천88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주요 증상이 달라졌다는 결과가 공개됐다. 이날 코로나19 증상 추적 앱인 조에(ZOE)가 공개한 목록에 따르면 백신 2차 접종 확진자 기준 상위 5개 증상은 인후통, 콧물, 코막힘, 지속적인 기침, 두통으로 나타났다. 이전까지 주요 증상으로 꼽히던 후각 상실, 고열, 호흡 곤란이 각각 6위, 8위, 29위로 밀려나고 콧물 또는 재채기가 부상한 것이다. 한편 방역 당국과 전문가들은 진정세에 접어들었던 코로나19 유행이 겨울철에 다시 유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최근 코로나19 유행이 정체기를 벗어나고 있다”며 “주간 일평균 2만명선이 이어지다가 갑자기 증가 추세가 보이면 그때 비로소 재유행이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은진기자

국내 코로나 신규 확진 1만4천302명…정기석 "실내 마스크, 지금은 벗을 상황 아냐"

주말 검사 건수 영향으로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감소했지만 일평균 2만명대를 웃돌며 확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만4천302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날(2만6천256명)보다 1만1천954명 줄어든 수치지만 주말 진단 검사가 감소한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1주 전인 지난 17일(1만1천25명)과 비교하면 3천277명, 2주 전인 10일(8천974명)보다는 5천323명 각각 많다. 또한, 지난 18일부터 이날까지 일주일간 신규 확진자 수는 18일(3만3천223명), 19일(2만9천493명), 20일(2만5천382명), 21일(2만4천751명), 22일(2만6천906명), 23일(2만6천256명)으로 일평균 2만5천759명이다. 위중증 환자는 226명이며 사망자는 6명이다. 경기지역에선 4천59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기석 코로나19특별대응단장은 아직은 마스크를 벗을 시기가 아니라는 견해를 밝혔다. 정 단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부분 해제와 관련 “약 3개월만 참으면 실내 마스크에 대해선 크게 스트레스를 안 받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중교통이나 의료기관 등 시설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종료가 선언되더라도 한참이 지나야 실내 마스크를 안전하게 풀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단장은 “특정한 장소나 환경과 관계없이 위험을 어느 정도 감수해도 안전하다는 판단이 섰을 때는 과감하게 의무 부과를 해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은진기자

사흘 연속 일주일 전 대비 확진자 증가…겨울 재유행 가능성 솔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 연속 일주일 전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올 겨울 감염 재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3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2만6천256명 추가돼 누적 2천529만7천334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2만6천906명)보다 650명 소폭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1주일 전인 지난 16일(2만1천456명)보다 4천800명, 2주 전인 9일(1만7천646명)보다는 8천610명이 각각 많다. 신규 확진자는 지난 21일부터 사흘 연속 전주 대비 오름세를 기록 중이다. 증가폭도 21일 1천179명, 22일 4천74명, 23일 4천800명으로 커지고 있다. 이외에도 지난 18일에는 신규 확진자수(3만3천223명)가 1주 전인 11일(1만5천466명)의 2배로 뛰는 더블링 현상이 3개월 만에 다시 나타나기도 했다. 위중증 환자는 212명이며 사망자는 16명이다. 경기지역에선 7천60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잠잠해졌던 코로나19 재유행이 겨울철로 접어드는 11∼12월 다시 본격화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겨울 재유행의 규모 등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려우나 여름 재유행보다는 규모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반등세라기보다는 감소 추세가 주춤한 상태”라며 “증가세 전환 여부를 판단하려면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16∼20일 감염재생산지수가 1.09로 9주 만에 1 이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수치화한 지표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김은진기자

국내 신규 확진 2만5천431명…복지부 “마스크, 장소 구분해 착용 방안 검토”

일주일간 일평균 신규 확진자가 2만명대에 머물며 코로나19 유행은 정체기에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5천431명으로 전날(2만9천503명)보다 4천72명 줄어들었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일주일 전인 지난 13일(2만6천944명)과 비교하면 1천513명 적고 2주일 전인 6일(2만8천634명)보다 3천203명 감소했다. 지난 14일부터 일주일간 신규 확진자는 일평균 2만3천867명으로 현재 코로나19 유행은 정체기에 있다는 진단이다. 정기석 코로나19특별대응단장은 이번 유행이 주간 일평균 2만명대 확진자 수준에서 저점을 찍고 12월 초 재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위중증 환자는 249명이며 사망자는 23명이다. 경기지역에선 7천30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이날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마스크 착용 의무를 특정 장소에서만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기관, 대중교통, 사회복지시설 등 장소를 구분해 의무화하고 있는 해외 사례를 감안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방역당국은 해외에서 증가하는 신종 변이 검출률이 상승세를 보여 새 변이의 동시 출현이 이후 유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추이를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김은진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