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절기 추가 접종 간격 4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7만명대로 집계된 가운데 방역 당국이 겨울철 급속한 확산을 막고자 동절기 추가 접종간격을 단축한다.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7만2천873명)보다 2천549명 적은 7만324명이다. 다만 이날 확진자는 일주일 전인 지난 16일(6만6천569명)과 비교하면 3천755명, 2주일 전인 지난 9일(6만2천466명)보다는 7천858명 각각 많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 461명보다 16명 증가한 477명으로 닷새째 4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사망자는 53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9천80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24일부터 동절기 추가 접종의 간격을 좁힌다. 현행은 바로 이전 접종일 및 확진일로부터 120일(4개월)이 지난 시민들은 이를 맞을 수 있었지만 방역당국은 이 간격을 90일(3개월)로 바꾼 것이다. 애초 내달 말에서 내년 1월 사이로 예측됐던 겨울철 정점 시기가 빨리 올 수 있다는 전망이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고위험군 대상 오미크론 변이주에 대한 항체가 4차 접종 7주 후부터 감소한 것도 이 같은 방침의 배경이 됐다. 한편 이번달 셋째주(11월13~19일) 전국 코로나19 감염재생산지수는 1.10이다. 5주째 유행 확산을 의미하는 기준치인 ‘1’ 이상이 나오고 있다. 김은진기자

신규 확진 7만2천873명, 69일 만에 최다…위중증 나흘째 400명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만명대로 집계되며 69일 만에 최다 수치를 기록했다.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만2천873명으로 전날(2만3천91명)보다 4만9천782명 늘어 3.2배 수준으로 올랐다. 이날 신규 확진은 지난 9월14일(9만3천949명) 이후 69일 만에 최다 수치이며 일주일 전인 지난 15일(7만2천866명)과 비교하면 7명 많다. 또한 2주일 전인 8일(6만2천259명)보다는 1만614명 증가헀다. 위중증 환자는 461명으로 나흘째 400명대를 이어가고 있으며 사망자는 45명이다. 경기지역에선 2만72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는 28일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한 사회·경제적 지표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지난달 17일 위기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사회·경제 핵심 지표를 11월 중에 우선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중대본에서 매주 코로나19 위험도 평가를 하는 등 방역지표 위주의 평가를 하고 있지만 방역정책에 대한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지표는 없는 상태다. 이 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소상공인 등이 막대한 피해를 받았지만 방역정책이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다만 이번에 발표하는 지표를 방역정책에 곧바로 연계하지 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시범적으로 10개 내외의 지표를 도출해 7차 유행 과정에서 시범 적용 후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김은진기자

신규 확진 2만3천91명…오늘부터 백신 ‘집중 접종’ 기간

일일 신규 확진자가 나흘째 전주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며 증가세가 주춤하는 모양새다.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3천91명으로, 전날(4만6천11명)보다 2만2천920명 줄었다. 또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 전인 지난 14일(2만3천751명)에 비해 660명이 감소하면서 4일간 전주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신규 확진 증가세는 주춤하고 있지만 확진자 수 증감을 2∼3주 간격으로 반영하는 재원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수는 높은 수준이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451명)보다 14명 증가한 46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9월21일(494명) 이후 두 달 사이 가장 많은 수치다. 사망자는 35명이다. 경기지역에선 7천7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을 독려하기 위해 이날부터 ‘집중 접종’ 기간 운영에 나섰다. 겨울철 재유행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음에도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개량백신을 활용한 동절기 접종률은 오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0시 기준 60세 이상 고령층 중 동절기 추가접종 대상자의 접종률은 17.3%, 감염취약시설 관련자는 17.6%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은 중증·사망뿐만 아니라 후유증까지 낮춰준다”며 “부작용을 어느 정도는 감수하고 맞을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은진기자

국내 신규 확진 4만6천11명…한국, 누적 사망자 35위

국내 신규 확진자가 4만명대로 집계된 가운데 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3만명을 넘어섰다. 2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만6천11명으로, 전날(5만589명)보다 4천578명 줄었다. 일주일 전인 지난 13일(4만8천442명)보다는 2천431명 줄어들었다. 지난 18일부터 신규 확진자 수는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2주일 전인 지난 6일(3만6천665명)과 비교하면 9천346명이 많은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451명이며 사망자는 41명으로 이날까지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누적 사망자는 3만31명이다. 지난 4월 사망자 수가 2만명을 넘어선 뒤 7개월여 만에 3만명에 도달한 것이다. 누적 사망자가 3만명대를 넘어서면서 한국은 세계에서 누적 사망자 수가 35번째로 많은 국가로 파악됐다. 경기도내에선 이날 1만2천38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한편 누적 사망자가 3만명을 넘어섰지만, 방역의 유일한 대책인 백신 접종률은 오르지 않고 있다. 이는 위중증과 사망자 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 18일 0시 기준 동절기 추가접종 백신 접종률은 인구 대비 60세 이상이 12.4%, 전 연령대 4.3%에 그치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는 21일부터 내달 18일까지 4주간 ‘집중 접종기간’을 운영, 사전 예약 없이 당일 내원하면 언제든지 개량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했다. 김은진기자

신규 확진 5만5천437명…두 번 걸린 시민 치명률, 1회보다 낮아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지난주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한 가운데 약 두달 동안 가장 많은 사망자가 나왔다.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5만5천437명이다. 이는 전날(6만6천587명)보다 1만1천150명 적고, 일주일 전인 지난 10일(5만5천357명)보다는 80명 소폭 늘어난 것이다. 완만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증가폭은 줄어든 양상이다. 이날 양성 판정을 받은 시민은 2주일 전 지난 3일의 4만6천880명과 비교하면 8천557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위중증 환자는 380명이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67명으로 지난 9월25일(73명) 이후 53일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지역에선 1만5천694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재감염자의 치명률이 1회 감염자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지난 5일까지 이에 한 차례 감염된 시민은 2천442만1천951명이다. 이 중 2만7천584명이 숨을 거둬 1회 확진자의 치명률은 0.11%이다. 2회 감염자는 62만7천900명이었는데, 이 중 523명이 사망해 치명률은 1회 감염자보다 0.03%포인트 낮은 0.08%를 기록했다. 다만 3회 감염자에게서는 치명률이 큰 폭으로 올랐다. 1천853명 중 8명이 사망해 치명률은 0.43%를 기록했다. 1회 감염자(0.11%)의 4배, 2회 감염자(0.08%) 5배가 넘는 수준이다. 김은진기자

국내 확진 6만6천587명...21일부터 동절기 '집중 접종'

일일 신규 확진자가 6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오는 21일부터 4주간을 동절기 ‘집중 접종기간’으로 정하는 등 백신 접종을 촉구하고 나섰다. 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만6천587명으로 전날(7만2천883명)보다 6천296명이 적다. 하지만 수요일(발표일) 기준으로 지난 9월14일(9만3천949명) 이후 9주 만에 가장 큰 규모다. 또한 1주 전인 지난 9일(6만2천468명)보다는 4천119명, 2주 전인 지난 2일(5만4천734명)보다는 1만1천853명 늘며 증가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411명이며 사망자는 47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9천2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국무총리는 오는 21일부터 4주간 ‘코로나19 백신 집중 접종 기간’으로 정하고 접종률 제고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이태원 사고 및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이 본격화돼 5주째 확진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이같이 말했다. 다음 달 일일 20만명 규모 확진자 발생이 예상되는 가운데 추가접종을 통해 면역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집중 접종 기간에는 접종률이 높은 감염 취약시설의 정부 지원을 확대하고 접종 의료기관의 지정 요일제를 폐지, 접종자 병가 허용을 권장하는 등 접종 독려 방안을 세웠다. 김은진기자

두 달 만에 7만명대 재진입…국내 신규 확진자 7만2천883명

국내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두 달 만에 7만명대를 기록하면서 겨울철 재유행 양상이 뚜렷해졌다. 1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7만2천883명이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7만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9월15일(7만1천444명) 이후 약 두 달 만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2만3천765명)보다 4만9천118명 증가했으며 일주일 전인 지난 8일(6만2천260명)보다는 1만623명 늘었다. 또한 2주 전인 지난 1일(5만8천360명)과 비교하면 1만4천523명 많다. 위중증 환자는 412명이며 사망자는 39명이다. 경기지역에선 2만50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겨울철 코로나 유행에 대비해 예방적 항체주사제 이부실드의 투약 대상을 확대하고 투약 용량을 2배 증량했다.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지난 14일부터 이부실드 투약 대상을 현재 혈액암, 장기이식, 선천성 면역결핍증 환자 중 중증면역저하자에서 고형암, HIV, 류머티즘 환자로 확대했다. 이부실드는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으로는 항체 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사용한다. 치료가 아닌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주사제다. 추진단 관계자는 “겨울철 유행을 대비해 이부실드 투약 대상을 넓히고 용량을 늘렸다”며 “의료진은 변경된 지침을 잘 숙지해 투약 대상 환자에게 신속히 투약할 수 있도록 대상자들에게 적극 설명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은진기자

9주 만에 월요일 '최다'… 신규 확진 2만3천765명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월요일 기준 9주 만에 최다 수치를 기록한 가운데 동절기 추가접종률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3천765명으로 전날(4만8천465명)보다 절반가량으로 줄었다. 하지만 주말 진단 검사 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주중 진단 검사 수가 평일 수준을 회복하면 확진자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일주일 전인 지난 7일(1만8천665명)보다는 5천100명 많고 2주일 전인 지난달 31일(1만8천503명)과 비교하면 5천262명이 증가했다. 또한 월요일(발표일) 기준 지난 9월12일(3만6천917명) 이후 9주 만에 최다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413명이며 사망자는 44명이다. 경기지역에선 7천46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동절기 추가접종률이 12.7%에 불과하다며 접종에 적극적인 참여를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열린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정 위원장은 “올해 65세 이상 독감 접종률은 77%인데, 60세 이상 대상자(확진자 제외)의 동절기 예방접종률은 12.7%에 불과하다. 동절기 접종률이 앞선 4차 접종률 60.6% 이상은 반드시 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겨울은 개인의 면역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감염되면 중증으로 갈 위험성이 더 크다”며 “다른 독감 등 호흡기 감염병이 함께 유행하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진료를 받을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경고했다. 김은진기자

신규 확진 4만8천465명…14일부터 BA.4/5 기반 개량백신 접종

7차 유행이 본격화되면서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일요일 기준 10주 만에 최다 수치를 기록했다. 1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만8천465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5만4천328명)보다 5천863명 줄었지만 1주 전인 지난 6일(3만6천665명) 보다 1만1천800명 증가했으며 2주 전인 지난달 30일(3만4천491명)보단 1만3천974명 많다. 또 일요일(발표일) 기준으로 지난 9월4일(7만2천112명) 이후 10주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는 396명이며 사망자는 48명 발생했다. 경기도에선 1만3천26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14일부터 화이자의 BA.4/5 기반 개량백신 접종을 시작한다. 그동안 동절기 추가접종으로 도입된 개량백신은 BA.1을 기반으로 개발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으로 오미크론 변이 기반 개량백신 중 BA.4/5 기반 백신 접종은 이번이 처음이다. BA.4/5 기반 백신인 만큼 BA.5에 대한 예방능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전임상 실험에서 BA.4/5에 대한 감염예방능력이 기존 백신보다 2.6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7차 유행이 본격 진행됨에 따라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보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복지부는 14일 상황평가회의를 통해 접촉면회, 외출 관련 방역 조치 강화 등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김은진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