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열풍 악용 직원사칭 주식강매행위 기승

최근 직장인들사이에 주식투자증후군(stockholic)이 열병처럼 번지는 틈을 악용, 증권회사 직원 등을 사칭하며 코스닥(KOSDAQ) 등에 상장될 회사의 주식이라며 구매를 강요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우리사주제에 따라 회사 주식을 양도받은 양모씨(31·여·부천시 원미구 춘의동)는 “요즘 어떻게 알았는지 증권회사 직원이라며 상반기내로 코스닥과 같은 제3주식시장이 개설되는데 이 시장에 상장되기 전에 장외거래가 이뤄질 회사 주식을 대량 구입하면 연말께 큰 돈을 만질 수 있다고 조르는 바람에 근무에 지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사례는 인천시내 증권회사나 은행 등의 지점 부근 다방이나 식당 등지에서 빈발하고 있다. 은행원 김모씨(39·이천시 연수구 동춘동)는 사무실 인근 식당에서 동료들과 식사하던중 정장차림의 30대 남자로부터 증권감독원이 추천한 중소기업이 조만간 코스닥에 상장되는데 이번 기회에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으니 재테크의 일환으로 미리 사두라는 유혹을 받기도 했다. 이와관련, D증권 인천지점 관계자는 “증권회사나 인터넷 등을 통해 코스닥이나 제3주식시장 등에 상장될 예정인 회사들을 확인해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부평구 보급 쓰레기봉투 불량품 투성이

인천시 부평구에 보급되고 있는 쓰레기 봉투가 쉽게 찢어지는등 불량품이어서 시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18일 한국프라스틱공업조합에 따르면 쓰레기봉투의 손잡이가 끊어지는등 제품이 허술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쓰레기 봉투의 두께를 늘리는 등의 개선방안을 마련, 조합원들에게 제작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부평구 관내에 보급되고 있는 쓰레기봉투의 경우 대부분의 봉투가 세로로 찢어지는가 하면, 손잡이 부분이 손쉽게 떨어져 나가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주민 한모씨(35·부평구 십정동)는 “지난 12월 구입한 20ℓ들이 봉투에 조금만 쓰레기를 담아도 세로로 찢어져 다른 봉투에 쓰레기를 담은뒤 처리하고 있다” 며 “쓰레기 봉투값은 해마다 올리면서 개선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고 말했다. 또 음식업을 하는 이모씨(54·부평구 부평4동)는 “겨울철만 되면 쓰레기 봉투가 쉽게 찢어져 쓰레기를 담을 수 없을 뿐만아니라 100ℓ짜리 봉투는 손잡이가 약해 쓰레기를 담은뒤 처리하는데 애를 먹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구 관계자는 “고밀도로 제작된 봉투가 겨울철에 쉽게 찢어지는 경우가 있다” 며 “주민불편 해소를 위해 계절에 맞는 쓰레기봉투를 제작할 수 있도록 조합에 건의하겠다” 고 말했다./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한국어린이집 파행운영 정부보조금 유용

인천시 연수구 연수2동 582-2 H부인회 인천시지부가 설립한 민간보육시설인 한국어린이집(이사장 정예진)이 지난 97∼98년 사이에 근무하지도 않은 직원의 봉급명목으로 수천만원을 지출하는 등 정부보조금을 유용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연수구의회 추연어의원이 18일 조사발표한 ‘한국어린이집 국고보조금 유용의혹 조사’ 에서 밝혀졌다. 추의원은 지난 95년 개원한 한국어린이집(사)이 매년 1억2천만∼1억3천만원씩의 정부보조금을 받아 운영하면서 근무한 적이 없는 이모씨를 취사원으로 구청에 등록한 뒤 96년부터 3년간 정부보조금 2천286만원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 한국어린이집이 지난 95년 어린이집 건물 지하 50여평을 불법용도 변경해 4천만원의 임대보증금을 받고 성인용 사설에어로빅 시설로 임대해 준 뒤 어린이집 이사장 정씨가 이를 유용했다고 주장했다. 정씨는 또 98년 1월 에어로빅장을 폐장하면서 임차인에게 내준 보증금·권리금 4천500만원 중 2천만원을 모신협에서 대출받아 갚은 뒤 이를 어린이집 예산으로 갚도록 하는 등 파행 운영을 해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이사장은 연수구청·H부인회 등에 제출한 각종 서류에도 어린이집 원장을 대표자로 하고 구청 보조금지원 신청도 원장명의로 했으나 실제 예산운영은 정씨가 독단적으로 처리해 왔다. 이때문에 정이사장은 어린이집 개원 이후 5년간 3명의 원장을 바꾸면서 원장고용에 앞서 구두로 ‘예산운영에 일체 관여치 않는다’는 확약을 받아왔다고 전직 원장 A씨가 증언했다고 추의원은 밝혔다. 이와관련, 연수구 가정복지팀장은 “이미 96∼97년부터 한국어린이집의 보조금 전용 및 불법용도 변경 건과 관련해 말썽이 생겨 수차례 감사를 벌여왔으며 재조사를 벌인 뒤 비리가 드러나면 환수조치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시민단체 정치참여 가능 난립 가능성 커

선거법 87조의 폐지 또는 개정으로 시민단체의 정치참여가 가능해 짐에 따라 이번 총선에 미칠 시민단체의 영향력이 엄청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민단체의 난립 가능성은 물론, 단체구성 기준과 목적 등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특수 목적을 갖고 급조된 시민단체나 특정 정당후보를 낙선시키기 위한 유사 시민단체들이 선거참여를 빌미로 유언비어나 인신공격, 흑색선전을 일삼을 경우 유권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혼란을 가중시켜 오히려 정치불신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6일 4월 총선 후보자의 낙천과 낙선을 위해 발족된 ‘인천행동연대’에는 22개의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10여개 시민단체들이 가담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이들 시민단체들의 정체성과 목적 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N단체는 평소 사회활동이 거의 없을 뿐아니라 회원수는 30여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M모 연합이나 C모 모임은 사무실도 갖추지 않은 채 시민단체라는 이름을 내걸고 있다. 일부 다른 단체들은 전화연락도 제대로 안돼 시민단체로서의 상시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밖에 인천행동연대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시민단체도 조만간 이번 총선 참여를 선언하고 지역 정치인들에 대한 평가 및 문제점 공개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문에 인천행동연대가 이번 총선을 통해 지역정치 개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반면, 일부 단체의 돌발적 흑색선전이나 문제점 들춰내기식 헐뜯기로 선거 분위기를 해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공항운영권자 확정안돼 공항 운영차질

인천국제공항 개항이 임박하고 있으나 정치권과 중앙정부의 정책 혼선으로 공항운영권자를 결정하지 못해 오는 2001년 개항 이후 공항 운영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18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제정된 인천국제공항공사법에 의거, 공항 운영을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담당하도록 결정했다. 공항공사는 이에따라 인천국제공항 운영은 공항공사가 맡고 김포공항 등 국내 공항 운영은 한국공항공단이 공사로 전환, 운영을 담당하면서 국내 공항 운영의 경쟁체제를 구축해 상호 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그러나 지난 15대 국정감사에서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이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대한 감사를 통해 “양측 공사를 통합해 운영하는 것이 타당하다” 는 주장을 제기, 건설교통부가 현재까지 명확한 방침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인해 오는 2001년 개항할 인천국제공항의 운영이 개항 이후 제대로 이뤄질지에 상당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대한 대책이 올 상반기 중 마련돼야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와함께 공항 개항 이후 상주인원이 3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이들 인원들이 상주하게 될 공항배후지원단지의 용지분양이 지난해 말 기준 1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나 이 또한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공항운영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인치동기자 cdin@kgib.co.kr

인천 중등교사 임용 1차 합격자 명단

◇국어 △110001 김도연 △110007 이형우 △110012 유성희 △110015 김희정 △110018 박혜진 △110023 이향구 △110024 염미진 △110026 윤미숙 △110028 안기현 △110031 안정미 △110032 임경은 △110039 박정아 △110040 방성희 △110044 정영숙 △110049 권미숙 △110053 임주미 △110065 정영석 △110068 이소영 △110071 김경원 △110077 김종훈 △110083 최선영 △110084 유련하 △110089 이승현 △110098 김윤경 △110106 곽인지 △110107 이호영 △110108 장동섭 △110122 장선아 △110123 송경란 △110125 홍기연 △110131 김영미 △110144 한현진 △110145 박정원 △110156 김은경 △110181 김미연 △110184 박윤희 △110197 정희광 △110201 안진희 △110217 송희연 △110227 전지영 △110231 김영미 △110232 우정숙 △110234 한경아 △110250 류인희 △110280 오은하 △110296 이지원 ◇수학 △120016 엄희숙 △120021 강희경 △120024 강태옥 △120027 방병성 △120051 김수연 △120052 문미혜 △120053 윤혜경 △120059 김지연 △120062 신용대 △120063 장미경 △120064 김지현 △120066 이은숙 △120069 김인경 △120071 서순진 △120073 이미경 △120075 김명주 △120083 이선애 △120090 차인정 △120102 한경호 △120108 김민정 △120115 윤정아 △120134 최미경 △120161 김지영 △120167 이주향 △120184 윤호진 △120189 이영란 △120206 임현지 △120211 이양지 ◇물리 △130002 안성옥 △130004 이세미 △130014 조원영 △130030 조민호 △130035 안상옥 △130038 양승란 △130040 임흥석 △130042 김호수 △130043 김정화 ◇화학 △140002 신경주 △140003 홍수진 △140004 김혜정 △140010 김종관 △140013 윤지원 △140023 황유선 △140024 김문영 △140025 김현진 △140028 강성미 △140030 조수경 △140065 이현주 △140081 유현희 ◇생물 △150003 양채간 △150035 차후정 △150042 윤지혜 △150047 윤현정 △150049 이재봉 ◇지구과학 △160006 조윤지 △160008 강옥경 △160011 김해선 △160014 이현선 △160015 고봉천 △160016 홍은숙 △160025 강경옥 △160026 최경희 △160033 고은경 △160035 진미영 △160056 강미숙 △160057 송미라 ◇일반사회 △170001 최유정 △170002 이정선 △170005 곽해영 △170013 황진희 △170018 박명실 △170034 최금숙 △170037 전복순 △170040 박선주 △170041 이강숙 △170043 김응진 △170045 박현숙 △170048 조미정 △170066 강병철 △170070 이영화 △170075 김삼선 △170080 임성빈 △170082 조성자 △170090 김기환 △170094 임경은 △17102 오정숙 △170107 김현경 ◇역사 △180001 이승 △180004 이윤구 △180007 오윤철 △180028 이지현 ◇윤리 △200001 최상미 △200004 윤영희 △200007 홍인희 △200008 공민정 △200009 김영지 △200012 임정환 △200013 김유리 △200014 김미선 △200015 장정옥 △200017 김성심 △200018 강현주 △200020 권윤정 △200022 이현 △200025 정선희 ◇지리 △190004 이은경 △190006 이재경 △190016 박민선 △190024 박찬란 △190025 박형준 ◇체육 △210004 오훈식 △210010 제성준 △210020 이명근 △210025 김희영 △210028 조항찬 △210031 김정규 △210034 성유호 △210035 권기수 △210039 오정우 △210042 신남숙 △210056 박준희 △210057 김용우 △210066 박윤혁 △210069 김경범 △210070 이지성 △210077 이수행 △210085 김용구 △210099 권혁 ◇음악 △220005 문윤경 △210016 나유진 △220018 김미화 △220019 조영님 △220031 이미화 △220055 신도진 ◇미술 △230004 정홍미 △230010 송숙명 △230015 안정민 △230018 민미경 △230025 △최윤경 △230047 강혁 ◇영어 △240006 방현미 △240010 김영진 △240015 윤영선 △240031 최윤경 △240034 김정원 △240056 박수경 △240068 은혜련 △240079 남정우 △240095 권은희 △240100 임선영 △240102 고송연 △240107 정윤성 △240114 홍주연 △240119 오영진 △240123 이재숙 △240127 이영태 △240215 연정숙 ◇식품가공 △260001 김영주 △260004 장현숙 △260019 김상철 ◇전자계산 △250007 정경화 △250016 박미정 △250020 김효림 △250021 김세용 △250030 오현미 △250035 이현정 △250041 이광식 △250065 류은주 ◇디자인 △270004 이한나 △270009 김희영 △270025 한경주 △270029 신순영 △270052 민윤정 ◇토목 △280001 이인 △280002 송낙현 △280005 조명철 ◇전자 △300008 권선영 △300010 김인철 △300014 유성종 △300037 한현수 ◇전자계산기 △310001 박준응 △310006 김영미 ◇상업 △320066 차윤주 △320067 임수진 △320104 유재희 △320105 우경화 △320111 최지명 ◇어업 △330001 △김화섭 △330002 류대성 △330005 김종범 ◇항해(여자) △350001 박정하 △350002 김진옥 ◇〃 (남자) △340001 김건호 △340002 이영선 ◇냉동 △360003 장은화 △360004 조예지 △360006 박순의 △360007 이상진 ◇양호 △370004 엄경미 △370005 장원실 △370011 강영숙 △370013 편혜영 △370029 김숙경 △370037 이정모 △370052 정명란 △370054 남달리 △370057 김정민 △370064 이정선 ◇특수(정신지체) △380003 이귀선 △380004 이현정 △380005 남미향 △380010 임정민 △380013 도혜주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