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전문대 파행인사 감사원에 탄원

인천전문대 교수협의회(회장 제갈장) 소속 100여 교수들은 학교측이 교원인사, 기성회비 편성 등을 파행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이의 시정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감사원에 제출하는등 반발하고 있다. 인천전문대 교협소속 김원재 교수 등은 14일 인천시청 기자실을 방문, “학교당국이 교육공무원 임용법을 어겨가며 지난 97년 3월 52명의 교수 재임용시 정년을 2007년까지만 보장하는 등 파행 인사를 단행했다”며 시정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지난달 23일 감사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김교수 등은 또 “학교측이 인천전문대 기성회규약 규정에 어긋나게 지난 96년부터 98년까지 업무추진비 예산을 잘못 세웠고 사용내역에도 의혹이 간다”고 주장했다. 김교수 등은 이와함께 “지난 97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법적 근거도 없이 학사운영지도비로 6천800만원의 예산을 세워 사무국장 등 학교간부 3명이 수당성 경비로 편법 사용했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학교측은 “교협에서 주장하는대로 학사운영과정에 의혹이 있다면 이를 밝히기 위한 공개감사를 신청하자고 요구했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채 폭로전을 펴고 있다”고 비난했다. 특히 학교측은 “일부 교수들이 장석우 학장 체제이후 많은 개혁적인 학사일정에 불만을 갖고 학장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며 “교협측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말했다. 인천전문대 학내진통은 교협소속 교수들이 지난해 10월부터 파행적 학사일정에 대한 책임을 지고 학장사퇴를 요구,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한솔PCS 직원명의 강제개통 횡포

국내 굴지의 개인이동통신 사업자인 한솔PCS(018)사가 자사 대리점에 단말기를 판매하면서 대리점 직원명의로 이동전화를 강제개통해 물의를 빚고있다. 특히 한솔PCS사는 피해를 본 대리점에서 반발하자 단말기 판매 장려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겠다며 횡포를 부려 불법 명의변경을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한솔 PCS사와 대리점들에 따르면 개인이동통신 업체들이 휴대폰을 대리점에 대량으로 판매할 경우 대부분 가명의로 개통, 넘겨주고 한달안에 일시정지를 시킨뒤 대리점으로부터는 전화요금으로 5천원을 수납받고 있다. 그러나 한솔PCS측은 업체간 과당경쟁이 빚어지자 지 난97부터 대리점에 평균 500∼1천대의 단말기를 공급하면서 대리점주나 직원 등의 명의를 도용, 강제로 개통한뒤 단말기 값으로 1대당 1만8천원씩(기본요금·전화세포함)을 대리점측에 청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리점들은 최근 휴대폰가입자가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단말기 판매가 줄자 팔다남은 단말기도 요금을 전액 납부하는 피해를 입고 있다. 부천시 원미구 Y대리점의 경우 지난해 7월부터 5개월동안 대리점주나 직원명의의 단말기 5천대를 강제 넘겨받아 모두 5천여만원의 부채를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대리점 업주들은 “강제개통에 따른 부채금액을 감당할 수 없는 상태”라며 “이로 인해 재정이 악화돼 도산위기에 몰렸다”고 대책마련을 호소했다./김창학기자 chkim@kgib.co.kr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