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농업기술센터 최명옥 생활지도사

“옛날 문화라고 생각하지만 실용성만 가미하면 언제든지 신세대 문화 상품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용인시 농업기술센터 최명옥 생활지도사(39). 지난해부터 전통규방공예 보급차원에서 무료 강좌를 개설하는 가운데 최근들어서는 한달에 한 차례씩 동호인 모임도 갖고 있다. 최씨가 일하는 용인시 농업기술센터에서 매주 한차례 열리는 이 강좌의 수강생 대부분이 부녀자들. 특히 최씨는 지난달 27일 농업진흥청에서 주관한 천연염색 세미나에서도 강사로 초빙될 정도로, 규방공예에 관한한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규방공예는 복주머니를 비롯해 골무, 실패, 바늘방석, 도장집 등 그 옛날 쉽게 볼 수 있던 우리 고유의 생활용품들로 주로 바느질로 만드는 것이다. 기계가 아닌 손으로 만드는 것이고 또 만들어진 모양새도 예쁘기 때문에 배우기를 꺼려하지만 기초만 익히면 응용도 가능하는 등 어렵지 않다. 최씨가 규방공예에 관심을 갖게 된 때는 지난 95년으로 7년전. 자투리 천을 모아 놓았다가 색깔에 맞춰 짜기 시작했던 것이 ‘입문 동기’가 됐는데 당시 흥미가 붙자 서울의 박물관과 인사동 거리를 누비며 정보를 수집하고 관련 서적도 모았다. 아직도 대학 사회교육원이나 언론사 문화센터에만 강좌가 개설되어 있는 등 대중화되지 않은 점을 볼때 최씨는 철저한 독학을 통해 오늘의 자리에 오른 것이다. 최씨는 “지갑이 보편화한 지금의 시대에 복주머니 자체로는 실용성이 없지만 복주머니를 예쁘게 만들어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허브향 등을 넣어주면 색다른 상품이 되면서 인기를 끌 수 있다”며 “색과 모양이 같더라도 아이디어만 있으면 여러 작품을 만들 수 있고 상품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주부 김미경씨(35·여주군 능서면)는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서양식 퀼트’는 재료 대부분이 수입품이기 때문에 값이 비싼편이지만 규방공예는 재료의 값이 싸고 손쉽게 구할 수 있다”며 “특히 우리 문화를 배운다는 측면에서도 괜찮다고 생각해 열심히 배우고 있다”고 말했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여주군 인사

◇보직변경 ▲지적과장 지종환 ▲지적과 지정담당 김학철 ▲〃 〃 신정우 ▲〃 지가관리담당 허옥희 지역경제과 교통지도담당 유광국 ▲환경보호과 청소담당 곽용석 ▲〃 오수관리담당 박제윤 ▲상하수도사업소 수도행정담당 김태수 ▲지적과 박대우 ▲〃 이원재 ▲〃 이국헌 ▲〃 정구준 ▲〃 어성건 ▲〃 안병희 ▲〃 장한응 ▲〃 박은미 ▲〃 최초원 ▲〃 남상관 ◇전보 ▲종합민원과장 정필영 ▲환경보호과장 정상구 ▲환경보호과 환경시설담당 김영서 ▲대신면 황보흥 ▲보건소 보건행정담당 경현 ▲상하수도사업소 시설관리담당 이관범 ▲종합민원과 창업민원담당 방영철 ▲〃 전근재 ▲상하수도사업소 강철진 ▲환경보호과 구원모 ▲상하수도사업소 황준동 ▲〃 박기수 ▲지역경제과 이영주 ▲건설과 박용철 ▲상하수도사업소 이성구 ▲여주읍 안창수 ▲환경보호과 전병조 ▲종합민원과 전성배 ▲총무과 이창선 ▲문화관광과 박수연 ▲지역경제과 한순희 ▲회계과 손창복 ▲지역경제과 안성진 ▲건설과 윤성태 ▲종합민원과 차현숙 ▲여주읍 최연숙 ▲회계과 유수열 ▲〃 노정아 ▲사회복지과 이애숙 ▲지적과 손명희 ▲환경보호과 김영완 ▲〃 박덕균 ▲〃 홍순찬 ▲〃 장인업 ▲지역경제과 문정인 ▲문화관광과 차광진 ▲지역경제과 황현숙 ▲건설과 서윤희 ▲회계과 간종간 ▲대신면 차형호 ▲농업기술센터 오경환 ▲상하수도사업소 홍선진 ▲〃 권택서 ▲〃 이재봉 ▲〃이광진 ▲〃 박성진 ▲〃 구성모 ▲건설과 원장희 ▲〃 이준철 ▲회계과 최영운 ▲보건소 신흥복 ▲〃 전찬영 ▲회계과 송인호 ▲〃 이재명 ▲건설과 구본정 ▲여주읍 최금택 ▲〃 신병국 ▲〃 박형우 ▲점동면 이동신 ▲가남면 임병수 ▲북내면 김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