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경기도내 6억원을 초과한 고가 아파트 두 가구 중 한가구는 매매값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3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27일까지 도내에서 6억원이 넘은 고가 아파트의 매매값(평균가 기준)을 조사한 결과 연초 6억원을 넘었던 고가 아파트 12만6천824가구 가운데 절반 수준인 47.51%(6만259가구)의 매매값이 하락세를 보였다.도내에서는 성남시가 1만6천887가구(36.79%)로 최대였으며, 용인시 1만3천918가구(71.41%), 고양시 8천599가구(49.94%), 과천시 8천376가구(65.65%), 안양시 5천550가구(59.58%) 순으로 가격이 내렸다.하락세를 보인 이들 6억원 초과 아파트는 주로 버블세븐 지역이거나 신도시, 재건축 단지가 많은 곳에서 두드러졌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LH(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장 조성필)는 오는 15일부터 이틀간 화성 매송 야목리 일대에 공급되는 국민임대주택(649가구) 신청을 받는다.공급 물량은 화성매송지구내 전용면적 36㎡형(331가구), 46㎡형(122가구), 51㎡형(84가구)이며, 복도식으로 건설된다. 또 59㎡형은 112가구를 공급하며 계단식이다.신청시기는 3자녀 이상가구와 신혼부부, 국가유공자 등 우선공급과 1순위자는 15일에 접수하며, 23순위자는 16일 수원 화서동 소재 국민임대주택 상담센터에서 각각 접수받는다.국민임대주택은 무주택세대주로서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70%(4인 가족 기준 296만380원) 이하인 사람들이 청약할 수 있다. 또 토지 및 건축물가액 기준 1억2천600만원 이상을 보유하고 있거나 2천424만원이 넘는 자동차를 갖고 있어도 청약할 수 없다.당첨자는 오는 30일 국민임대주택 상담센터에 게시하며, LH 홈페이지(www.lh.or.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입주는 내년 4월 예정이다. 한편 LH는 최근 입주를 시작한 오산 누읍지구 국민임대 아파트 14개동(1천179가구)에 태양열을 이용해 각 가구에 온수를 공급하는 태양열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설치한다. 문의는 1600-7100./이형복기자 bok@ekgib.com
경기북부지역의 개별공시지가가 지난해에 비해 평균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2청은 3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0년도 개별공시지가를 결정 공시했다. 지역별로는 가평군이 4.4%의 인상률을 보여 가장 많이 올랐고, 구리시 4.2%, 남양주시가 3.9%로 뒤를 이었다. 가장 인상폭이 적은 지역은 의정부시로 1.6%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런 가운데 경기북부지역 10개 시군의 평균 개별공시지가는 경기도 전체 평균 인상률 3.1%과 전국 평균 인상률 3%에 비해서도 다소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도2청은 상대적으로 높은 인상률을 보인 가평군의 경우 관리지역의 세분화와 일부 용도지역의 변경이 지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또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과 도시 재정비촉진지구 지정에 따른 기대 심리와 주변지역의 거래가격이 지가 상승요인을 주도한 것으로 파악했다. 한편 이번에 결정 공시된 개별공시지가는 국세 및 지방세,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으로 활용도니다. 개별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토지소유자나 이해관계인은 오는 6월30일까지 각 시군구청이 읍면동주민센터에 이의신청하면 된다.
전국 개별공시지가가 지난해보다 평균 3% 이상 올랐다. 국토해양부는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전국 3,053만 필지에 대한 공시지가를 산정한 결과 평균 3.03% 상승했다고 30일 밝혔다. 공시지가는 올해 납부하는 토지관련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올해 토지 관련 보유세 부담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공시지가는 금융위기 여파로 10년만에 하락했으나 실물경기 회복과 뉴타운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올해는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국에서 개별공시지가가 가장 높은 곳은 서울시 중구 충무로 1가 24-2번지, 화장품 판매점(네이처 리퍼블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은 1m당 6,230만 원으로 2004년 이후 계속해서 최고가를 이어가고 있다. 개별공시지가가 가장 낮은 곳은 충북 단양군 단성면 양당리에 소재한 임야로 ㎡당 86원이었다. 16개 시.도별 상승률은 인천이 4.49%로 가장 높고, 서울 3.97%, 강원 3.14%, 경기 3.13% 인 것으로 조사됐다. 개별공시지가는 시장군수구청장이 토지소유자에게 우편으로 개별공지하며, 국토해양부 홈페이지, 관할 시군구청에서 열람할 수 있다. 이의가 있는 토지소유자는 6월 30일까지 토지소재지 시군구청에서 이의신청을 할수 있다.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새아파트 입주물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연내 입주할 아파트가 1만가구 이상 대기하고 있는 파주, 고양, 용인 지역의 매매, 전세가격이 다시 내렸다. 3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www.r114.co.kr)에 따르면 금주 ▽수도권(-0.07%) ▽신도시(-0.06%) 아파트 매매시장은 지난주 낙폭과 비슷한 수준이다.신도시는 ▽평촌(-0.12%) ▽분당(-0.06%) ▽산본(-0.06%) ▽일산(-0.04%) 순으로 하락했다. 평촌은 호계동 샘마을 중심으로 6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가격이 내렸다. 분당은 이매동 아름두산, 삼호 등이 500만~1천만원가량 떨어졌다. 급매물 위주로 문의는 조금씩 있지만 거래가 쉽지 않고 간혹 한두 건씩 거래되는 형편이다.수도권은 ▽파주(-0.25%) ▽고양(-0.16%) ▽용인(-0.16%) ▽하남(-0.12%) 등지가 하락했다. 파주, 고양, 용인, 광명 등은 연내 입주예정 물량이 많아 기존 아파트 가격 약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엿보인다.파주는 교하읍 숲속길마을6단지 동문굿모닝힐, 조리읍 동문그린시티, 한라비발디 등이 하락했다. 용인은 신봉, 성복, 상현동 등지의 새아파트 영향을 받아 일대 대형 가격이 하락세를 보였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세계적 건축가들이 설계한 성남판교 택지개발지구내 연립주택인 월든 힐스(Worlden Hills) 300가구를 공급한다30일 LH에 따르면 월든 힐스는 LH가 새로운 주거문화 개념의 주택 모델의 일환으로 한국판 베벌리힐스를 표방하고 있다.이 단지는 핀란드의 페카 헬린, 일본의 야마모토 리켄, 미국의 마크 맥 등이 경사지를 살린 자연적 건축기법을 도입해 다양하고 독창적이며 개성적인 32개 타입으로 건설한다.특히 테라스와 세대내 엘리베이터중정을 설치하고 아래층 지붕을 마당처럼 사용할 수 있는 단복층 구조다.공급 규모는 B5-1블록 전용면적 109~193㎡(98가구), B5-2블록 147~231㎡(100가구), B5-3블록 143~207㎡(102가구)이다.입주는 블록별로 올해 10월 또는 12월이며, 접수는 세 자녀 특별공급의 경우 9일, B5-2블록 분양사무실에서 하고 일반공급 123순위는 내달 15~17일 국민은행 및 금융결제원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하며 24일 당첨자를 발표한다. 문의 (031)8016-0291~2./이형복기자 bok@ekgib.com
전세시장도 전체적으로는 보합세를 띠었다. 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신도시(0.01%)가 미미하게 올랐고 ▽수도권(-0.02%)은 소폭 떨어졌다신도시는 ▲분당(0.03%) ▲중동(0.03%)이 상승했으며 ▽일산(-0.02%)이 소폭 내렸다. 평촌과 산본은 변동이 없었다.분당은 수내동 양지청구, 서현동 효자현대 등이 500만원가량 상승했다. 중동은 미리내한양, 금호, 롯데1단지 등 소형 중심으로 수요가 있으나 매물이 부족해 250만원가량씩 가격이 올랐다.수도권은 ▽파주(-0.31%) ▽양주(-0.2%) ▽고양(-0.12%) ▽안산(-0.1%) ▽의왕(-0.05%) ▽용인(-0.04%) 순으로 하락했다.파주, 고양시는 교하신도시와 신규택지 물량, 가까운 김포한강신도시까지 주변 공급량이 많아 약세가 이어졌다. 연내 입주물량이 많은 용인시도 신봉동 등 주요단지 중대형 가격이 거래 없이 약세를 보였다.▲광명(0.11%) ▲화성(0.07%) ▲광주(0.06%) ▲수원(0.05%) 등은 올랐다. 소형 실수요나 이주 계약자가 남아있는 곳들이 소폭 상승했다. 광명은 주공12단지, 하안동 주공2단지, 두산위브트레지움 등이 상승했다. 수원 서둔동 한신플러스는 고등동 재개발 이주 수요가 아직 남아있어 계약이 꾸준한 편이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경기지역 보금자리 주택의 분양가가 30% 이상 부풀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7일 경기권역 보금자리주택 분양원가는 3.3㎡당 600만원 수준이나 실제 분양가는 평균 880만원으로 3.3㎡당 280만원의 차이가 발생, 약 30%가 거품이라고 주장했다.경실련은 분양면적 82.5㎡ 기준 2억2천만원으로 책정된 분양가는 경실련 추정 분양가 1억5천만원에 비해 약 7천만원이 높다며 1~3차에 이르는 보금자리 약 17만가구 중 경기권역 15만가구에서 10조5천억원이 부풀려졌다고 추정했다.이어 주변 시세의 80~90%로 책정된 높은 분양가 때문에 2차 보금자리지구 중 경기권 4개 지역의 청약이 미달된 것이라고 지적한뒤 포준건축비만 적용해도 당장 분양가의 20%인 160만원 정도를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또 서민을 위한 주택정책이라는 취지가 무색하게 근거도 없는 분양가 책정은 반값아파트라는 당초 취지에 어긋난다며 분양원가 책정기준과 원가현황을 전면 공개해 수도권 아파트값 거품을 제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LH(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장 조성필)는 27일 군포 부곡당동2지구의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해 권유마케팅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권유마케팅은 군포 부곡지구 등의 기존 계약자가 미분양 가구를 타인에게 권유한 후 신규 계약이 이뤄질 경우 가구당 150만원(세금공제 후 117만원)의 분양유치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군포지역에서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가 분양 알선하고 계약을 성사시켰을 때도 분양유치금을 받게 된다. 현재 잔여가구 물량은 군포 부곡지구의 경우 전용면적 119㎡ 18가구, 군포 당동지구는 100~135㎡ 101가구로 총 119가구가 분양유치금 지급대상이다. 문의:(031)250-6060/이형복기자 bok@ekgib.com
집이 팔려야 적정 가격을 알려주죠분당의 한 공인중개사의 푸념이다. 주택거래가 실종되면서 최근 시세를 묻는 매도자나 매수자에게 적정 거래가격 등의 정보제공이 힘들어지고 있다. 특히 5개 신도시의 일부 단지는 몇 개월 동안 아예 거래가 단절, 상당수 부동산중개업소들이 개점휴업에 들어간 지 오래다.26일 국토해양부와 신도시내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일대 아파트 거래가 급감하면서 지난달 단 한건의 매매도 이뤄지지 않는 단지들이 속출했다.국토부가 지난 4월 한달 동안 5개 신도시의 아파트실거래를 조사한 결과 단 107건에 불과했다. 이들 신도시 아파트 단지가 390여개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4개 단지당 한건 꼴로 거래가 이뤄진 셈이다.게다가 4월 거래분 107건 중 87건이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로, 중대형 아파트의 매매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거래가 사실상 사라지면서 대부분 중개업소들이 단순히 매도호가에 의존해 시세를 추정하고 있으며, 일선 시장에서는 정부의 집값 통계에 대한 불신도 높아지고 있다.마땅한 거래 비교대상이 부족하자 정부가 시세 판단의 기본 통계로 삼고 있는 국민은행 시세와 실거래가격 사이 격차도 점점 커지고 있다.실제 분당 구미동 A아파트 105㎡형의 경우 지난주 국민은행 시세는 최고 5억6천500만원에 형성돼 있지만 이 아파트는 이미 4월 말 실거래가가 4억7천500만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한 달 가까운 시차와 함께 집값 하락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국민은행 시세와 실거래가 사이에 최고 1억원 가량 격차를 보인 것이다.분당 구미동의 한 부동산공인중개사는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문의는 간간이 오지만 대형의 경우는 문의조차 없다며 거래가 뚝 끊겨 정부가 제시하는 실거래가도 현 시세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