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경기 침체… 김포·화성 등 미분양 속출

주택경기 침체와 건설사 구조조정, 보금자리주택 공급 등의 여파로 공공 택지개발지구의 아파트 용지에 대한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있다.특히 김포, 화성 등 2기 신도시와 같은 인기지역의 아파트 용지도 업체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13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따르면 올 들어 의정부 녹양, 고양 행신2지구 등 7개 택지지구에서 모두 25개 필지의 공동주택용지를 분양한 결과 화성 동탄 2신도시의 3필지만 매각됐고 나머지 22필지는 모두 미분양으로 남았다.특히 지난 7~9일 주택건설사업자를 대상으로 김포한강신도시 공동주택지 7필지에 대해 분양신청을 받았으나 신청회사가 전무했다.또 의정부 민락지구 공동주택용지 4필지 역시 신청회사가 한 곳도 없었다.화성 동탄2신도시의 경우 선수공급한 총 7필지 가운데 중소형 3필지만 분양됐을 뿐 나머지 중대형 3필지와 임대아파트용 한 필지는 팔리지 않았다.LH는 미분양을 대비해 땅값을 5년간 무이자로 분할상환하도록 하고 토지 리턴제라는 파격조건까지 제시했지만 건설사들의 반응은 차가웠다.토지 리턴제는 계약 체결 후 일정기간(1~2년)이 경과한 후 잔금 약정일까지 위약금 없이 계약해지를 허용하고 그 동안 낸 토지대금에 연 5%의 이자까지 제공하는 제도이다.이처럼 공동주택지가 안 팔리는 것은 불투명한 주택경기와 그에 따른 미분양 공포 및 금융기관의 건설사 구조조정이 겹치면서 위기의식이 커졌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LH 관계자는 수도권의 입지가 좋은 공동주택지마저 미분양이 장기화할 조짐이라며 비록 분양 조건을 개선해도 안 팔리는 상황이지만 더욱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비수기 전반적 약세속 우수 학군 지역 ‘꿈틀’

전세가격은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지난주 ▽신도시(-0.02%) ▽수도권(-0.01%)이 모두 미미하게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였다.1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신도시와 수도권은 거래 비수기 속에서 새 아파트 영향으로 약세를 더해갔다. 지역별로는 ▽산본(-0.17%) ▽하남(-0.13%) ▽군포(-0.13%) ▽안산(-0.11%) ▽남양주(-0.1%) 순으로 약세를 보였다. 산본과 군포시는 총 2천644가구의 대단지인 래미안하이어스가 9월 입주를 앞두고 있어 약세를 보였다. 목련한양, 수리한양이 250만~750만원 정도 떨어졌다. 하남시는 신장동 백조현대, 진도노르빌, 현대홈타운 등이 250만~500만원 하락했다.또 광명은 푸르지오하늘채, 래미안자이, 두산위브트레지움 등 새 아파트를 중심으로 소형 전세물건이 부족해 금주 0.29% 상승했다.한편 6월 들어 여름방학을 대비해 전세매물을 찾으려는 수요가 포착되고 있다. 아직 수도권 전체적으로 확산되려면 시간이 걸리겠지만 학군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곳은 한발 먼저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 방학 전후 성수기에 들어가면 전세매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인기 아파트들은 현재도 매물이 넉넉지 않고 이미 소폭 상승하기도 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